|
2.7. 쌍화점
2.8. 만전춘별사
2.9. 정석가
2.10. 처용가
2.11. 청산별곡
3. 고려 가요에 대한 논의
3.1. 명칭 및 장르론
3.2. 작자 및 수용자론
3.3. 형식 및 발생론
3.4. 형태 및 율격론
3.5. 미의식
4. 참고문헌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산별곡>의 “얄리얄리 얄라성”과 같은 고대가요의 후렴을 분석을 한 결과는 ‘아,이’음, 그리고 ‘ㄹ,ㅇ’음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를 통해 볼 때 이들이 우리 민족이 좋아하는 음소로 볼 수 있고 그 결과 <아리랑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산별곡>의 ‘얄라셩’ 등에 쓰였다. ‘다링디리’는 젓대의 구음으로 <대왕반>, <잡처용>, <삼성대왕>, <내당> 등에 사용되었다. ‘l\'소리를 통해 길게 여운을 남기면서 이후의 여음에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이로써 보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산별곡
▲어부사시사(윤선도)
▲불국사기행(현진건)
▲무량수전배흘림기둥에 서서(최순우)
▲까마귀 싸우는 곳에 (시조)
▲묻노라 (시조)
▲산은 옛 산이로되(시조)
▲천만리 머나먼 길(시조)
▲욕심 난다 하고 (시조)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5.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산별곡(靑山別曲)
(2)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3) 진달래꽃
(4) 유리창
(5) 광야(曠野)
Ⅰ. 단원 개관
◇ 단원 학습 목표 ◇
<관련 교육과정>
Ⅱ. 대단원 교수ㆍ학습 운영 방안
1. 교수ㆍ학습 계획 (8차시)
Ⅲ. 대단원 평가 계획
1. 평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산별곡의 “얄리얄리 얄라성”과 같은 고대가요의 후렴을 분석한 결과 ‘아’ ‘이’ 음, 그리고 ‘’ ‘’ 음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를 통해 볼 때 이 음소들이 우리 민족이 좋아하는 음소로 볼 수 있고 아리랑은 바로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산별곡」-8연,「서경별곡」-14연
⑵ 연의 구성이 전절, 후절로 나뉨(전절이 더 큼, 전 대절 후 소절 구조)
⑶ 후소절의 노랫말(후렴구)이 매 연마다 반복
⑷ 후소절의 노랫말은 ‘위’, ‘아으’, ‘아소님하’ 같은 감탄구로 시작
⑸ 3음보율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5.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곡고리새여 아아, 왔구나 꾀꼬리새여
므습다 綠事니 어찌하여 녹사님은 1)가시리
2)동동
3)만전춘
4)사모곡
5)상저가
6)서경별곡
7)쌍화점
8)유구곡
9)이상곡
10)정과정
11)정석가
12)정읍사
13)청산별곡
14)처용가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6.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005 1. 속악가사와 소악부의 세계
1.1. 속악가사의 성격
1.2. 처용가
1.3. 동동
1.4. 상저가
1.5. <가시리>, <서경별곡>, <청산별곡>의 성격
1.6. 소악부
1.7. 참요의 문제점
2. 설화, 무가, 연극의 양상
2.1. 설화
2.2. 무가
2.3. 연극
참고문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산별곡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Ⅰ. 들어가며
Ⅱ. 자연소재 차원에서의 ‘돌’ (상징적 의미를 지니지 않은 작품)
1. 송순 <면앙정가>
2. 최치원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3. 이색 <부벽루>
4. 김종직 <보천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