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41건

명령문 :듣는 사람에게 무엇을 시키거나 행동을 요구하는 양식.\'-아라/-어라, -게, -오, -ㅂ시오\' 등 예) 선회야, 집에 가거라. (4) 청유문 :듣는 사람에게 같이 행동할 것을 요구하는 양식.\'-자, -세, -ㅂ시다\' 등 예) 빨리 가자. (5) 감탄문 :홀로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어미가 주요 문법적 기능을 담당. -시제도 어미에 의해 정해짐. -서술문, 의문문, 명령문의 여부 어미로 결정. -경어법도 어미들에 의해 구분됨. . 한국어는 끝까지 들어봐야 안다! . -한국어는 형용사도 어미를 취함. 즉 형용사도 동사와 거의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문법 1. 조어법 : 중세어에서 지적되었던 용언 어간의 유리적 성격이 근대어에 와서 없어졌다. 그 결과 용언 어간이 그대로 부사로 쓰인다거나, 두 용언 어간의 합성이라든가 하는 현상은 근대어에서 볼 수 없게 되었다. 2. 곡용 : 중세어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어미 : 잡니, 먹으니 한 단어 안 : 모다, 2. 聲調(高低)가 있음 : 四聲法. 傍點을 붙임 3. 문법 체계가 복잡함 : 된소리(ㅄ, ㅂ, ㅅ)- (쌀), (꿈), () 4. 순국어가 많음 : 가람, 즈믄, 온, 나조(夕), 뫼 16세기 (임진왜란) 과도기 국 어 1. 모음조화가 문란해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2.10.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의문문은 인도-유럽어와 같은 유형을 띤다. 예)“영이 왔니?” → “예,왔어요.” “아니오,오지 않았어요.” “영이 안 왔니?” → “예,안 왔어요.” “아니오,왔어요.” “이 소나무가 산호 같지 않니?” → “예,산호 같아요.” “아니오,산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의문문에서는 내용과 판단에 관계없이 모두 ‘-ㄴ다’의 어미 형태 ? 마즈면 맞고 아니이면 아니로쇠! 술태: 힘은 효원이가 좋고.. 근성은 윤복이가.. 술태: 힘 효원ㅣ 됴 됴다/ Ⅰ. 들어가기에 앞서--------------------- 3 1. 드라마에 대해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400원
  • 등록일 2009.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문법적 의존관계를 바탕으로 하는데, 지시, 대치, 생략 등이 결속구조의 중요한 고리에 해당한다. 응집성은 텍스트 기저의 구성요소인 개념 또는 관계들을 유기적으로 조직함으로써, 텍스트의 구성체가 서로 수용 가능하고 적합성을 띠게 하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2.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문사가 맨 앞으로 나간다. Do you think + Who is he? Who do you think he is 5) 수사의문문 형식은 의문문이지만 내용은 평서문과 같은 것 Who can do so ? = No one can do so. Who doesn\'t know the fact ? = Everyone knows the fact. 6) 명령문 [동사원형 + ~ ] 직접명령(2인칭)과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의 음운변화 1. 파찰음(된소리) 2. 마찰음 -*γ 3. 유음(3단계) Ⅳ. 근대국어(근대한국어)의 파생형용사 1. 어기와 그 성격 2. 접미사와 그 성격 Ⅴ. 근대국어(근대한국어)의 의문어미 Ⅵ. 근대국어(근대한국어)의 ㄱ탈락 참고문헌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문자는 소실되었으나 음가는 남아 있다. 이때에는 자음군이 어두에 올 수 있었다. 어두자음군에는 ㅂ계 어두자음군과 ㅄ계 어두자음군이 있었는데, 이들은 근대국어에 와서 된소리로 통일되었다. 또 ㅅ이 사용된 합용병서도 있었는데 이들은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7.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전 1 2 3 4 5 다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