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11건

[ㅐ], [ㅗ], [ㅚ], [ㅜ], [ㅟ], [ㅡ], [l]가 있다. 또한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 바뀌거나 혀가 움직이는 이중모음에 해당되는 모음으로는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가 있다. 결론 -훈민정음과 한글맞춤법에서의 자모체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7.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가장 우수한 문자임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6) 1997년 10월1일, 유네스코에서 우리나라 훈민정음을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하기에 이르렀다. 7) 유네스코(UNESCO: 유엔 교육-과학-문화 기구)는 1989년 6월 21일 세종대왕상을 재정했다. ▶세종대왕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는 국어의 역사상 국어에 변화를 일으킨 가장 큰 사건은 훈민정음의 창제가 이 시기에 일어나게 되었다. 훈민정음의 창제로 오랜 세월 동안 입말로만 사용되어 오던 국어가 비로소 글말의 위치로 올라서게 되었다. 그리하여 어형이 고정되고,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7.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소리자리에 어떠한 소리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서, 이 소리를 [ㅇ]로 적었던 것인데, 그 이유는 초·중·종 세 소리를 갖춘 한자음의 틀에 맞추기 위해서였다고 생각된다. ㄴ. [ㆁ] [ ㆁ]은 \'어긋니소리\'로서 훈민정음 제자해에, \"혀뿌리가 목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4.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는 구절이 나온다. 여기에서 東京(동경)은 ‘셔불, 세벌, 새벌, 서울’이라는 뜻 이다. 또, 明(밝다), 月(달)은 뜻을, 欺(기), 朗(랑)는 음을 사용하였다. 2. 중세국어 표기법 15세기 국어의 표기가 잘 나타난 문헌은 ‘훈민정음’이다. 이때부터 본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는 듯 한 논설들이 더러 나타나기도 하나, 그러나 객관 타당성을 띤 설득력이 있는 것이 별로 없어 안타깝기만 하다. 그러므로 우리말의 역사는 훈민정음이 만들어지고 난 뒤로부터 추적하는 것이 안전한 방법이다. 그렇다고 우리가 그 이전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가 한 번 어울리면 초출자(初出字), 두 번 어울리면 재출자(再出字)가 된다. ▶종성⇒ [종성부용초성 - 終聲復用初聲]◀ 종성 글자는 따로 만들지 않고, \'종성은 다시 초성을 사용한다\'는 규정을 원칙으로 한다. 이처럼 훈민정음 해례편 제자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월에 몸소 훈민정음 곧 한글을 만들어냄으로써 유감없이 빛을 내었다. 세종 임금은 왕립 연구소라 할 집현전에 모아 기른 인재들 가운데 일부-정인지, 최항, 박팽년, 신숙주, 강희안, 이개, 이선로, 성삼문 등-를 궁중의 언문청 또는 정음청에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운》의 한자음 표기에 사용되었다. 이 훈민정음 초성체계에 대하여 훈민정음 해례 초성해 첫머리에 정음초성은 곧 운서(韻書)의 자모이다(正音初聲卽韻書之字母也)라고 하였는데, 이는 정음의 초성체계가 중국 음운학(音韻學)의 자모체계와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는 주로 글자 모양(字體)의 유사성을 가지고 언급한 것이다. 후에 영조 때의 황윤석(黃胤錫)은 『운학본원(韻學本源)』에서 “우리 훈민정음의 근원은… 결국 범자의 범위 내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위 세 학자의 기록은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