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목차
당사통속연의 46회 융성한 은혜를 버린 장과노는 산으로 돌아가고 성대한 잔치를 열어 강매비는 가지를 바친다
당사통속연의 47회 매비는 양영을 근심해 교서각을 철거하고 나희석과 길온은 반대당을 그물질해 나쁘게 형벌 남용을 했다
당사통속연의 48회 양귀비는 안록산 아이를 씻어주며 부끄러움을 남기며 매비는 그윽한곳에 갇혀 사마상여처럼 장문부를 쓰다
당사통속연의 47회 매비는 양영을 근심해 교서각을 철거하고 나희석과 길온은 반대당을 그물질해 나쁘게 형벌 남용을 했다
당사통속연의 48회 양귀비는 안록산 아이를 씻어주며 부끄러움을 남기며 매비는 그윽한곳에 갇혀 사마상여처럼 장문부를 쓰다
본문내용
裴肯自誣?
이 배즘긍자무
自 [zi w] 自行承妄加于己的不之
이옹과 배돈복이 어찌 스스로 자백하겠는가?
偏經這助桀爲虐的羅希奭,不分白,擅加刑訊,又將二人先後杖斃。
편경저조걸위학적나희석 불분조백 천가형신 우장이인선후장폐
助桀虐 [zhu Jie wei nue] ①걸왕(桀王)을 도와 잔학한 짓을 하다 ②악인을 도와 나쁜 일을 하다
이 악인을 도와 나쁜짓하는 나희석은 흑백을 구분하지 않고 마음대로 형벌과 고문을 가해 또 2사람이 선후로 맞아 죽었다.
當遣人密報林甫,已經了結李, 裴,林甫更凶惡得,當卽奏請分遣御史,賜皇甫惟明, 韋堅等自盡,且令希奭順道往宜春,按視李適之。
당견인밀보임보 이경료결이 배 임보경흉악득흔 당즉주청분견어사 사황보유명 위견등자진 차령희석순도왕의춘 안시이적지
了 [liojie] ①결말이 나다 ②해결하다 ③끝나다
按視:조사하여 살핌
응당 사람을 보내 비밀리에 이임보에게 보고하니 이미 이옹과 배돈복을 끝내 이임보는 다시 매우 흉악해 다시 주청해서 어사를 보내고 황보유명과 위견등을 자진하게 하며 나희석을 그 길로 의춘에 보내 이적지를 조사해 살펴보게 했다.
適之料知難免,仰藥自殺。
적지료지난면 앙약자살
이적지는 면하기 어려움을 알고 독약을 마시고 자살했다.
連玄宗舊臣王,因與李邕向來交往,也平白地牽連進去,由郡太守任內,貶爲江華司馬,活活的被希奭逼死。
연현종구신왕거 인여이옹향래교왕 야평백지견연진거 유업군태수임내 폄위강화사마 활활적피희석핍사
活活 [huo huo] [부] (~的)산채로. 생떼같이
현종의 오랜 신하인 왕거는 이옹과 전투어 왕래를 해서 까닭없이 연관되어 업군태수 임지에서 강화사마로 좌천되어 생떼같이 나희석에게 핍박당해 죽었다.
林甫又恐王忠嗣入相,復設法陷害,先說他沮撓軍計,繼且說他密謀興兵,擁立太子。
임보우공왕충사입상 부설법함해 선설타조요군계 계차설타밀모흥병 옹립태자
沮 [j nao] 阻 ① 저지(하다) ② 방해(하다) ③ 제지(하다) ④ 억제(하다)
이임보는 또 왕충사가 재상으로 들어올까 두려워 다시 방법으로 음해하여 먼저 그가 군계책을 방해한다고 계속해서 그와 비밀모의로 병사를 일으켜 태자를 옹립했다.
昏糊塗的唐玄宗,竟召忠嗣入都,令三法司審訊。
혼궤모호적당현종 경소충사입도 령삼법사심신
혼미하고 애매모호한 당나라 현종은 마침내 왕충사를 도읍에 불러들여 3사를 시켜 심문하게 했다.
忠嗣部將哥舒翰,隨至都中,登殿鳴,情願將自己官爵,贖忠嗣罪。
충사부장가서한 수지도중 등전명원 정원장자기관작 속충사죄
[mingyun] ①억울함을 호소하다 ②불평을 말하다
왕충사의 부장인 가서한도 따라 도읍에 이르러서 대전에 올라 억울함을 호소하고 진실로 자기 관작으로 왕충사 죄를 대속한다고 했다.
玄宗尙未肯信,欲起入禁中,急得翰連忙頭,聲淚俱下。
현종상미긍신 욕기입금중 급득한연망개두 성루구하
당현종은 아직 믿지 못하고 대궐로 들어가려다 급히 가서한이 바삐 머리를 조아리고 울음과 눈물을 모두 떨구었다.
玄宗也被感悟,乃詔三法司道:“吾兒向處深宮,得與外人通謀?這定是蜚語構陷,朕豈肯遽信?”
현종야피감오 내조삼법사도 오아향처심궁 즘득여외인통모 저정시비어구함 짐기긍거신마
당현종도 감격해 깨닫고 3법사에게 조서를 내렸다. “내 아들이 전에 깊은 궁궐에 있다 어찌 외부인과 음모를 통하겠는가? 이는 반드시 유언비어를 날조하니 짐이 어찌 급히 믿겠는가?”
三司又奏言:“擁兵入闕,或出謠傳,沮撓軍心,確有實據,仍請依法論罪。”
삼사우주언 옹병입궐 혹출요전 저요군심 확유실거 잉청의법논죄
[yaochuan] ①헛소문을 전하다 ②풍설 ③풍설을 퍼뜨리다 ④풍문
3사는 또 상주해 말했다. “병사를 거느리고 대궐에 들어옴이 혹은 헛소리를 전할수 있지만 군심을 방해함은 확실히 근거가 있으니 법대로 죄를 논하시길 청합니다.”
玄宗終爲所惑,貶忠嗣爲漢陽太守。
현종종위소혹 폄충사위한양태수
당현종은 종내 미혹당해 왕충사를 한양태수로 좌천시켰다.
最可怪的是楊愼矜,倚附林甫,害死韋堅等人,得轉任戶部侍,後來漸爲林甫所嫉,竟嗾使中丞王。
최가괴적시양신긍 의부임보 해사위견등인 득전임호부시랑 후래점위임보소질 경주사중승왕홍
害死 [hais] ① 살해하다 ② 몹시 괴롭히다
(돌쇠뇌, 석궁 홍; -총14획; hong)
가장 기괴한 것은 양신긍으로 이임보에게 붙어 위견등 사람을 몹시 괴롭혀 호부시랑으로 승진하다 neldp 점차 이임보의 질시를 받아 마침내 중승 왕홍을 사주하게 했다.
密奏一本,謂:“愼矜系隋煬後裔,與術士史敬忠交通,妄談讖緯,謀復祖業。”
밀주일본 위 신긍계수양후예 여술사사경충교통 망담참위 모복조업
비밀 상주는 다음과 같다. “양신긍은 수나라 양제의 후예로 술사이던 사경충과 교류하여 망령되게 참위를 말하며 조상 유업을 회복하길 도모합니다.”
一個大逆不道的罪名,加置愼矜身上,不愼矜不死,兄弟同罪,妻子長流。
일개대역부도적죄명 가치신긍신상 불파신긍불사 형제동죄 처자장류
不 [bu pa] ① 무서워하지 않다 ② (bupa) 설사 …일지라도
한 대역무도한 죄명이 양신긍 몸에 더해지니 양신긍이 죽지 않더라도 형제가 같은 죄니 처자가 오래 눈물을 흘렸다.
(愼矜自伊戚,原不足惜,但小人凶終隙末,更堪憤歎。)
신긍자이이척 원부족석 단소인흉종극말 경감분탄
*《시경》 〈소명(小明)〉에, “마음의 근심함이여, 스스로 근심을 끼쳤도다.〔心之憂矣 自伊戚〕”라고 한 말이 보인다.
隙末 [ximo] ① 우정을 지키지 못하다 ② 끝에 가서 사이가 나빠지다
양신긍은 스스로 근심할 짓을 하여 원래 애석하기 부족하나 단지 소인의 흉한 결말은 더욱 분노하고 한탄스럽다.
玄宗尙林甫爲大忠臣,且將天下的歲貢,盡作賞賜。
현종상임보위대충신 차장천하적세공 진작상사
당현종은 이임보를 대충신으로 여기고 천하의 해마다 공물을 가지고 모두 상으로 하사했다.
林甫越加專恣,內引楊國忠,外進安祿山,定要將唐室江山,葬送他二人手中。
임보월가전자 내인양국충 외진안록산 정요장당실강산 장송타이인수중
이임보는 더욱 마음대로 하며 안으로 양국충을 끌어들이고 외부로 안록산을 등용해 반드시 당나라 황실 강산을 2사람 수중에 장례치르게 했다.
小子有詩歎道:不是奸臣不引奸,爪牙遍布廟堂間.
소자유시탄도 불시간신불인간 조아편포조당간
遍布 [bianbu] ① 도처에 널리 분포하다 ② 널리 퍼지다
내가 시로 다음과 같이 한탄한다. 간신이 간신을 끌어당기지 않으면 앞
이 배즘긍자무
自 [zi w] 自行承妄加于己的不之
이옹과 배돈복이 어찌 스스로 자백하겠는가?
偏經這助桀爲虐的羅希奭,不分白,擅加刑訊,又將二人先後杖斃。
편경저조걸위학적나희석 불분조백 천가형신 우장이인선후장폐
助桀虐 [zhu Jie wei nue] ①걸왕(桀王)을 도와 잔학한 짓을 하다 ②악인을 도와 나쁜 일을 하다
이 악인을 도와 나쁜짓하는 나희석은 흑백을 구분하지 않고 마음대로 형벌과 고문을 가해 또 2사람이 선후로 맞아 죽었다.
當遣人密報林甫,已經了結李, 裴,林甫更凶惡得,當卽奏請分遣御史,賜皇甫惟明, 韋堅等自盡,且令希奭順道往宜春,按視李適之。
당견인밀보임보 이경료결이 배 임보경흉악득흔 당즉주청분견어사 사황보유명 위견등자진 차령희석순도왕의춘 안시이적지
了 [liojie] ①결말이 나다 ②해결하다 ③끝나다
按視:조사하여 살핌
응당 사람을 보내 비밀리에 이임보에게 보고하니 이미 이옹과 배돈복을 끝내 이임보는 다시 매우 흉악해 다시 주청해서 어사를 보내고 황보유명과 위견등을 자진하게 하며 나희석을 그 길로 의춘에 보내 이적지를 조사해 살펴보게 했다.
適之料知難免,仰藥自殺。
적지료지난면 앙약자살
이적지는 면하기 어려움을 알고 독약을 마시고 자살했다.
連玄宗舊臣王,因與李邕向來交往,也平白地牽連進去,由郡太守任內,貶爲江華司馬,活活的被希奭逼死。
연현종구신왕거 인여이옹향래교왕 야평백지견연진거 유업군태수임내 폄위강화사마 활활적피희석핍사
活活 [huo huo] [부] (~的)산채로. 생떼같이
현종의 오랜 신하인 왕거는 이옹과 전투어 왕래를 해서 까닭없이 연관되어 업군태수 임지에서 강화사마로 좌천되어 생떼같이 나희석에게 핍박당해 죽었다.
林甫又恐王忠嗣入相,復設法陷害,先說他沮撓軍計,繼且說他密謀興兵,擁立太子。
임보우공왕충사입상 부설법함해 선설타조요군계 계차설타밀모흥병 옹립태자
沮 [j nao] 阻 ① 저지(하다) ② 방해(하다) ③ 제지(하다) ④ 억제(하다)
이임보는 또 왕충사가 재상으로 들어올까 두려워 다시 방법으로 음해하여 먼저 그가 군계책을 방해한다고 계속해서 그와 비밀모의로 병사를 일으켜 태자를 옹립했다.
昏糊塗的唐玄宗,竟召忠嗣入都,令三法司審訊。
혼궤모호적당현종 경소충사입도 령삼법사심신
혼미하고 애매모호한 당나라 현종은 마침내 왕충사를 도읍에 불러들여 3사를 시켜 심문하게 했다.
忠嗣部將哥舒翰,隨至都中,登殿鳴,情願將自己官爵,贖忠嗣罪。
충사부장가서한 수지도중 등전명원 정원장자기관작 속충사죄
[mingyun] ①억울함을 호소하다 ②불평을 말하다
왕충사의 부장인 가서한도 따라 도읍에 이르러서 대전에 올라 억울함을 호소하고 진실로 자기 관작으로 왕충사 죄를 대속한다고 했다.
玄宗尙未肯信,欲起入禁中,急得翰連忙頭,聲淚俱下。
현종상미긍신 욕기입금중 급득한연망개두 성루구하
당현종은 아직 믿지 못하고 대궐로 들어가려다 급히 가서한이 바삐 머리를 조아리고 울음과 눈물을 모두 떨구었다.
玄宗也被感悟,乃詔三法司道:“吾兒向處深宮,得與外人通謀?這定是蜚語構陷,朕豈肯遽信?”
현종야피감오 내조삼법사도 오아향처심궁 즘득여외인통모 저정시비어구함 짐기긍거신마
당현종도 감격해 깨닫고 3법사에게 조서를 내렸다. “내 아들이 전에 깊은 궁궐에 있다 어찌 외부인과 음모를 통하겠는가? 이는 반드시 유언비어를 날조하니 짐이 어찌 급히 믿겠는가?”
三司又奏言:“擁兵入闕,或出謠傳,沮撓軍心,確有實據,仍請依法論罪。”
삼사우주언 옹병입궐 혹출요전 저요군심 확유실거 잉청의법논죄
[yaochuan] ①헛소문을 전하다 ②풍설 ③풍설을 퍼뜨리다 ④풍문
3사는 또 상주해 말했다. “병사를 거느리고 대궐에 들어옴이 혹은 헛소리를 전할수 있지만 군심을 방해함은 확실히 근거가 있으니 법대로 죄를 논하시길 청합니다.”
玄宗終爲所惑,貶忠嗣爲漢陽太守。
현종종위소혹 폄충사위한양태수
당현종은 종내 미혹당해 왕충사를 한양태수로 좌천시켰다.
最可怪的是楊愼矜,倚附林甫,害死韋堅等人,得轉任戶部侍,後來漸爲林甫所嫉,竟嗾使中丞王。
최가괴적시양신긍 의부임보 해사위견등인 득전임호부시랑 후래점위임보소질 경주사중승왕홍
害死 [hais] ① 살해하다 ② 몹시 괴롭히다
(돌쇠뇌, 석궁 홍; -총14획; hong)
가장 기괴한 것은 양신긍으로 이임보에게 붙어 위견등 사람을 몹시 괴롭혀 호부시랑으로 승진하다 neldp 점차 이임보의 질시를 받아 마침내 중승 왕홍을 사주하게 했다.
密奏一本,謂:“愼矜系隋煬後裔,與術士史敬忠交通,妄談讖緯,謀復祖業。”
밀주일본 위 신긍계수양후예 여술사사경충교통 망담참위 모복조업
비밀 상주는 다음과 같다. “양신긍은 수나라 양제의 후예로 술사이던 사경충과 교류하여 망령되게 참위를 말하며 조상 유업을 회복하길 도모합니다.”
一個大逆不道的罪名,加置愼矜身上,不愼矜不死,兄弟同罪,妻子長流。
일개대역부도적죄명 가치신긍신상 불파신긍불사 형제동죄 처자장류
不 [bu pa] ① 무서워하지 않다 ② (bupa) 설사 …일지라도
한 대역무도한 죄명이 양신긍 몸에 더해지니 양신긍이 죽지 않더라도 형제가 같은 죄니 처자가 오래 눈물을 흘렸다.
(愼矜自伊戚,原不足惜,但小人凶終隙末,更堪憤歎。)
신긍자이이척 원부족석 단소인흉종극말 경감분탄
*《시경》 〈소명(小明)〉에, “마음의 근심함이여, 스스로 근심을 끼쳤도다.〔心之憂矣 自伊戚〕”라고 한 말이 보인다.
隙末 [ximo] ① 우정을 지키지 못하다 ② 끝에 가서 사이가 나빠지다
양신긍은 스스로 근심할 짓을 하여 원래 애석하기 부족하나 단지 소인의 흉한 결말은 더욱 분노하고 한탄스럽다.
玄宗尙林甫爲大忠臣,且將天下的歲貢,盡作賞賜。
현종상임보위대충신 차장천하적세공 진작상사
당현종은 이임보를 대충신으로 여기고 천하의 해마다 공물을 가지고 모두 상으로 하사했다.
林甫越加專恣,內引楊國忠,外進安祿山,定要將唐室江山,葬送他二人手中。
임보월가전자 내인양국충 외진안록산 정요장당실강산 장송타이인수중
이임보는 더욱 마음대로 하며 안으로 양국충을 끌어들이고 외부로 안록산을 등용해 반드시 당나라 황실 강산을 2사람 수중에 장례치르게 했다.
小子有詩歎道:不是奸臣不引奸,爪牙遍布廟堂間.
소자유시탄도 불시간신불인간 조아편포조당간
遍布 [bianbu] ① 도처에 널리 분포하다 ② 널리 퍼지다
내가 시로 다음과 같이 한탄한다. 간신이 간신을 끌어당기지 않으면 앞
추천자료
채동번의 중국 청나라 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7회 8회 9회 한문 및 한글번역 64페이지
채동번의 중국역사소설 전한통속연의 21회 22회 23회 24회 한문 및 한글번역 페이지 89
채동번의 중국 서한 역사소설 전한통속연의 41회 42회 43회 44회 86페이지 한문 및 중국어 단...
채동번의 중국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55회 56회 57회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중국어해설
채동번의 청나라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64회 65회 66회 한문 및 한글번역 중국어 단어 해설 7...
채동번의 청나라 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79회 80회 81회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채동번의 서한역사소설 전한통속연의 69회 70회 71회 72회 한문 및 한글번역 92페이지
채동번의 중국서한역사소설 전한통속연의 65회 66회 67회 68회 한문 및 한글번역 91페이지.hwp
당나라 역사소설 당사통속연의 22회 23회 24회 한문 및 한글번역 76 페이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