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근종(uterine myoma) 케이스 스터디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궁근종(uterine myoma)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건강사정
3. 신체 검진
4. 활력징후 외 자료
5. 간호기록지
6. 임상검사 (laboratory findings)
7. 투약하고 있는 약물
8. 기타 진단검사
9. 현재까지의 간호사정 자료 요약
10. 간호과정
11. 참고문헌

본문내용

날짜: 2016년 05월 16일
간호진단 2) 수술과 관련된 불안
사정
주관

자료
“수술하면 많이 아플까요?”
“마취하니깐 괜찮겠죠..?”
“수술 후에는 괜찮을까요?”
객관

자료
- v/s 측정 시 대상자 손이 떠는 것을 관찰함
- 수술 날(5/16) 아침에 아무 말도 없이 천장을 계속 바라보거나 눈을 계속 감고 있는 모습을 관찰함
- 상태불안척도(STAI)점수 58점
간호목표
단기 목표 : 대상자는 수술 직전에 불안하지 않다고 말한다.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까지 더 이상 불안하지 않다고 말한다.
계획
<진단적>
1. 대상자에게 나타나는 불안의 징후를 사정한다.
2. 상태-특성 불안척도 (State - Trait Anxiety Inventory)를 이용하여 대상자를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3. 차분한 태도를 유지하면서 대상자에게 불안한 이유에 대해 천천히 물어본다.
<치료적>
1. 대상자가 수술실 가기 전까지 불필요한 노출은 최소화 한 채 이불을 잘 덮어준다.
2. 환경적 자극을 최소화하며, 조용한 장소에 있도록 해준다.
<교육적>
1. 대상자에게 불안한 느낌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경청한다.
2. 대상자에게 수술과정과 수술 전, 후 간호에 대해 설명해주어 수술에 관한 불안을 감소시켜준다.
3. 수술과정에 대해 자세히 적혀져있는 설문지를 주어서 대상자가 읽어보도록 해준다.
이론적
근거
<진단적>
1. 불안으로 인해 행동적(눈맞춤 저하, 안절부절 못함 등), 정서적(두려움, 초조함, 말이 빨라짐 등), 생리적(손떨림, 발한증가, 떨리는 목소리 등)으로 변화가 나타난다.
2. 스필버거의 상태 - 특성 불안척도(STAI)는 정신장애가 없는 정상인이나 임상적으로 불안한 환자에게 불안을 판별해 주는 유용한 검사로 정서적 불안 특성을 묻는 20개 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STAI는 현재까지 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자기보고형 검사이다.
3. 불안은 상호 전달되는 특징을 지녔으므로 조용하고 차분한 간호사의 태도는 환자를 차분하게 할 수 있다. 각각의 불안한 이유에 대해 알맞은 간호를 제공해줄 수 있다.
<치료적>
1. 추운 환경과 체온의 하강은 불안감과 그로 인해 나타나는 떨림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자극적인 환경은 불안 수준을 증가시켜줄 수 있다.
<교육적>
1. 불안을 말로 표현하면 그렇지 않았을 경우보다 훨씬 편안함을 느끼고, 경청은 말하는 이에게 안정감을 심어줄 수 있는 치료적 의사소통 기술이다.
2. 치료과정에의 정보 전달은 무엇을 할지 모르는 막연한 불안감을 덜어주고 또한 건강 상태에 대한 위협을 덜 수 있다.
3. 말로 설명해주고 난 후에 수술과정에 대해 자세히 적혀져 있는 설문지를 줌으로서 이해하기가 더 쉽고, 자세히 아는데 도움을 준다.
수행
<진단적>
1. 대상자에게 말이 지나치게 많은지, 혹은 지나치게 없는지, 눈꺼풀이나 손가락, 전신 등 떨림이 있는지, 멍하니 한 곳을 응시하거나 계속 눈을 감고 있는지 등을 관찰하였다.
2. 상태불안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를 이용하여 불안을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 결과 해석 (성인 기준)
52점-56점 : 상태불안 수준이 약간 높음
57점-61점 : 상태불안 수준이 상당히 높음
62점 이상 : 상태불안 수준이 매우 높음
날짜
5/16
09:00
5/16
13:00
5/17
09:00
5/18
09:00
5/19
09:00
5/20
09:00
STAI
58점
48점
40점
36점
30점
28점
3. 대상자에게 질문을 할 때 차분한 태도를 유지하면서 천천히 물어보았다.
<치료적>
1. 대상자가 수술가기 전까지 이불로 잘 덮어주어 체온유지를 도와주었다.
2. 간호처치 또는 필요시 커튼을 쳐주고, 간호처치 외에는 방문을 닫아주어 환경적 자극을 최소화하였다.
<교육적>
1. 대상자에게 불안함에 대해서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경청하였다.
2. 대상자에게 수술 과정과 수술 전, 후 간호에 대해 설명해주어 치료 과정에 대해 모르는 막연한 불안감을 감소시켜주었다.
(“근종 절제술은 미혼, 젊은 여성, 아기를 원하는 여성, 자궁을 남기기 원하는 여성이 하는 수술로 수술 후 약 40%에서 임신이 되며, 제거 후 자궁벽이 약해지거나 또는 근종을 재형성할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수술 과정은 근종 부분을 절개하고 근종을 외피에서 들어내 제거한 후에 그 부분을 봉합해줍니다. 수술 직후에는 금식을 하고 4시간 후부터 물만 드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술 부위에 통증 감소시키기 위해서 복대로 지지해주고 모래주머니로 지혈해줄 것입니다.”)
3. 수술과정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적혀져있는 설문지를 주어서 대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평가
<진단적>
1. 대상자는 처음에 한 마디를 제외하곤 아무 말 없이 천장을 계속 바라보거나, 눈을 계속 감고 있다가, 수술실 가기 직전에는 불안해하는 모습이 감소되었다.
2. 상태불안척도(STAL)점수가 5/16 58점에서 5/20 28점으로 감소하였다.
3. 대상자는 수술과정과 수술 후에 대해서 걱정된다고 말하였다.
<치료적>
1. 대상자가 수술실 가기 전까지 불필요한 노출은 최소화 한 채 이불을 잘 덮어준다.
2. 환경적 자극을 최소화하여 불안수준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교육적>
1.대상자는 수술 직전에 불안하지 않다고 말하였다.
2. 대상자는 치료과정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감소되었다.
3. 대상자가 설문지를 읽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11. 참고문헌
최연순 외(2016), 제8판 모성간호학Ⅰ, 수문사
정문숙 외(2005), 여성건강간호학, 정담미디어
이영숙 외(2014), 여성건강간호학Ⅰ, 현문사
이영숙 외(2014),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임숙빈 외(2015), 제7판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KIMS 의약정보센터 : http://www.kimsonline.co.kr/
드러그인포 : http://www.druginfo.co.kr/
보건복지부 : http://www.mohw.go.kr/front_new/index.jsp
네이버 지식백과 : http://terms.naver.com/index.nhn?mobile
  • 가격2,2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8.09.28
  • 저작시기201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40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