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가사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학가사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최제우의 가사는 동학경전과 같이 지어졌는데 경전은 한문으로 되어 있고 가사는 한글로 되어 있어 가사가 몽매한 민중들에게 동학사상을 전파하기 위해 지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최제우의 가사는 경전과 같이 그가 순교한 1865년 이후 사적 기록으로 전하거나 구전되던 것을 1881년 6월 최시형에 의해 간행되었다.
산음인가 슈음인가 위국충신 긔장하다
가련하다 가련하다 우리부친 가련하다
긔미용담 죠흔승디 도덕문장 닥거여
산음슈음 아지마는 립신양명 못하시고
긔미산하 일뎡각을 룡담이라 일홈하고
산림쳐사 일포의로 후셰예 젼탄말가 <룡담가>
둘째, 최제우 이후의 동학가사는 동학의 변천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동학혁명을 기점으로 동학 내에서 도통전수를 둘러싼 이념적 갈등으로 인하여 동학은 분열하기 시작하였는데 동학형명이 실패로 돌아가자 동학이 붕괴 해산되므로 종식된 듯 하다가 최시형이 죽고 손병희가 도통을 전수하자 이에 반발한 동학의 원로들은 각기 독립된 교당을 설립, 노골적으로 손병희에 반발 대립하기 시작하였다. 1922년부터 100여편의 가사를 간행한 상주 동학교도 이 때 분리 독립하여 생겨난 교당이다. 이들 동학가사는 동학의 분열로 새로이 독립한 교당에서 그들의 도통연원이 최제우와 직결되는 정통성을 가진 것이고, 이를 천명하여 널리 전파하는 것이 교세 확장이나 교권확립을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가사를 창작하고 간행하였다 할 수 있다.
无極大道 无窮造化 天助時應 를라
弓乙太極 敬天敎로둘너노니 大道如天 分明하다 <논학가>
2. 동학가사의 내용상 특성
동학사상의 문학적 표현인 동학가사는 동학사상을 전파하기 위하여 지어졌기 때문에 동학의 종교적사상적 특성이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동학도들은 당시 지배층으로부터 고통과 시련을 받아왔던 서민들이었기에 동학가사에는 그들의 의식이 담겨있다. 그러므로 동학가사는 단순한 종교사상의 표현이라는 측면 외에 당시의 서민의식의 표현이라는 측면도 아울러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1) 현실비판을 통한 보국안민의 희원
만연해 있는 치정의 부조리, 허위와 허식으로 둘러 싸인 양반 지배층, 외세에 의해 주도되는 문명개화, 무력과 영웅을 숭상하는 사회 풍조 등 현실 사회의 모든 면을 폭로하고 비판하여 이를 개선하는 것만이 보국안민을 이룩할 수 있는 것이라는 의지와 바람을 보여준다.
만코만은 世上사 닷고 다라셔
順天逆天 分問하와 輔國安民 하여보쇼
奇險하다 奇險하다 我國運數 奇險하다 <명운가>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1.25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4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