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목차
9주차 사림세력의 등장과 민족의 시련
10주차 조선 사회의 문화
11주차 조선 후기 사회의 변화상
12주차 개화세력의 성장
13주차 대한제국과 민족의 수난
14주차 독립운동과 민족문화의 수호
15주차 대한민국의 수립과 민주주의의 성장
10주차 조선 사회의 문화
11주차 조선 후기 사회의 변화상
12주차 개화세력의 성장
13주차 대한제국과 민족의 수난
14주차 독립운동과 민족문화의 수호
15주차 대한민국의 수립과 민주주의의 성장
본문내용
통치방법
고등팜무관을 중심으로 하여 4대국 대표에 의한 위임 통치
인민위원회에 행정권을 부여
한국의 정치인
한국인의 정치참여를 부인하며 시정국이 통치한다
한국인으로 구성된 임시정부를 구성하고 시정국은 그들을 후원한다
탁치기간
5~10년
5년한도 이내
⑶좌·우익의 갈등
①우익
이승만·김구등의 우익세력은 대대적인 신탁통치 반대운동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신탁통치반대 국민총동원위원회가 결성
국민들은 반탁의 굳은 의지를 보임→반탁운동은 거의 전국적으로 파급
②좌익
초반 신탁통치 반대
본질은 임시정부 수립에 있다고 파악, 1946년 1월부터 신탁통치를 포함한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 결정을 지지하는 운동을 전개
사회주의 계열이 29개의 좌파와 중도좌파 단체 통합 ‘민족주의 민족전선’을 결성하여 모스크바 협정의 지지를 주장
⑷우익과 좌익의 각 세력 통합
①남조선 민주의원(1946.2.14) : 우익세력의 통일
김구와 임정 중심인 비상국민회의와 이승만과 한민당 중심인 대한 독립 촉성 중앙 국민회의의 두 계통이 미군정의 미소공동위원회 대비책과 연결되어 남조선 민주의원을 구성해 우익세력의 통일을 이룸
남조선 민주의원은 의장에 이승만, 부의장에 김구·김규식이 선출되었고, 좌익계를 제외한 인사들이 총망라됨
이승만의 사퇴와 김규식의 좌·우합작운동으로 민주의원은 쇠퇴하고 ‘남조선과도 입법의원’이 성립
②민족주의 민족전선(1946.2.15) : 좌익 통일전선
좌익진영은 찬탁노선의 좌익진영을 규합하고 미·소 공동위원회 개최에 대비하기 위해 1946년 2월 15일에 결성
민족주의 민족전선은 계속 찬탁운동을 전개하다가 조선공산당이 이승만과 미군정의 단독정부수립노선에 대응 ‘신전술’을 채택
이를 계기로 활동이 위축되었고 1949년 북조선 민전과 통합 조국통일민주주의 전선으로 흡수
⑸제 1차 미·소공동위원회(1946.3)
미·소가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공동위원회를 서울에서 개최
①미국
찬탁, 반탁고 자유 의사표시의 한 방법이므로 모든 정치 단체 참여시켜야 함
소련이 제출한 북쪽 정당, 단체에 우익단체가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38도선 철폐와 남북 경제적 통일 문제를 논의하자고 제의
②소련
신탁통치 결정 지지 정치단체만 공동위원회와의 협의대상으로 참여시키자고 주장
미국이 제출한 남한 20개 단체가 모두 3상회의를 반대하는 정당, 단체라고 주장
38도선문제는 장차 수립될 임시정부에서 다룰문제이고 경제문제는 3상회의 결정사항이 아님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협의에 참가 정당, 사회단체 초청문제로 결렬
⑹제 1차 미·소 공동위원회 결렬 이후의 정세
①조선정판사 위조지폐사건(1946.5)
미군정은 ‘민족주의 민족전선’에 포함된 단체 중 조선공산당이 위조지폐를 만들어 유통시켰다고 발표
미군정은 공산당을 본격 탄압하여 간부 체포령을 내리고 해방일보 폐간
조선공산당이 강경노선으로 선회, 여운형 중심의 온건노선은 민족주의 민족전선에서 탈퇴
②이승만의 정읍발언(1946.6)
1946년 6월 3일 전라북도 정읍 연설에서 남한만이라도 단독정부를 수립하자고 발언
단독정부 수립을 주장하는 극우세력과 좌우합작 모색하는 온건 우익세력으로 분화
⑺제 2차 미·소 공동위원회(1947.5)
미소 대표가 서울과 평양을 오가며 논의하였으나 트루먼 독트린으로 냉전 시작, 회의가 난관에 부딪힘
①미국
미, 영, 중, 소 4개국 회의를 요구
보통선거에 의한 남북 각각의 입법기관 설치를 제의
대표들로 구성되는 통일 임시정부가 미, 소 양군 철수 문제와 완전한 독립국가 수립문제를 4개국과 협의하게 하자는 제안
②소련
반탁정당, 1만명 이하 군소 단체는 대상에서 제외 주장
임시정부 수립문제를 4개국 회의로 가져감은 부당하다고 주장
남북 별개 입법기관 구성은 분열 조장으로 거부
제 2차 미·소 공동위원회가 결렬되자 미국은 한반도 문제를 유엔에 상정
미·소 공동위원회 실패=남북 통일임시정부 수립 실패
2.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1)대한민국 정부 수립과정
⑴유엔의 활동
①한국 독립문제 유엔 이관
1947년 9월 17일 미국은 한반도 문제를 제 2회 유엔 총회에 상정
②유엔 총의회 결의
미국은 유엔한국입시위원단 구성
유엔 감시하에 인구 비례에 따른 총선거 실시 후 정부 수립시 미소 양군 철수 주장
소련의 반대에도 불구, 절대 다수로 가결
③유엔 한국임시위원단 방한
1948년 1월 한국 임시위원단 활동 시작
소련이 주둔하는 북한 공산당은 이를 거부
④유엔 소총회의 결의
북한에 들어갈 수 없게 된 사실을 유엔에 보고
접근 가능 지역만이라도 선거 실시, 독립정부 수립을 결정
⑵독립정부 수립의 반대 - 남북 협상
①남북 지도자 회의 제안
김구와 김규식이 남북협상 방안을 한국 임시위원단에 제의
남한 단독정부 수립 반대 성명 발표후 김일성, 김두봉에게 남북 지도자 회의 제안
북한은 규모를 확대하여 열것을 수정 제안-북한 정권 수립 정당화 수단으로 이용하려고 한 것
②남북협상 개최(1948.4)
10일간에 걸쳐 회의가 평양에서 개최
③결의문 채택
남북 56개 정당·사회단체 대표 695명이 참가
남한 단독정부수립 반대, 미소 양군 철수 요구 결의문 채택, 성과가 없었음
④통일정부 수립노력의 실패
김구, 김규식은 돌아온 후 5.10총선에 불참
통일 독립 촉성회(1948.7)를 결성하여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노력 지속
1949년 김구는 안두희에 의해 암살, 김규식은 6.25전쟁시 납북으로 실패
⑶제주 4·3사건(1948.4.3)
①배경
1947년 3·1운동 기념집회과정에서 경찰의 발포로 제주도민 6명이 사망
제주도민과 미군정, 우익 갈등 심화
②경과
경찰, 서북청년단이 제주도민 탄압
좌익 중심으로 제주도민 봉기
미군정은 군대로 진압
③제주도 양민 희생
진압과정에서 도민의 10%(3만여명)희생
발발 1년만에 종결
일부지역에서 5.10총선거 무산
2)대한민국 정부 수립
①5.10선거
유엔 결정에 따라 1948.5.10 최초 남한 전역 총선거 실시
북한 몫의 100석 제외 198명 제헌의원 선출
②헌법 제정
제헌 국회 의원들은 제헌의회를 구성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함
헌법을 제정하여 7월 17일에 공포
③정부 수립
7월 20일 제헌의회에서 국회의원들의 간접선거를 통해 이승만을 초대 대통령
고등팜무관을 중심으로 하여 4대국 대표에 의한 위임 통치
인민위원회에 행정권을 부여
한국의 정치인
한국인의 정치참여를 부인하며 시정국이 통치한다
한국인으로 구성된 임시정부를 구성하고 시정국은 그들을 후원한다
탁치기간
5~10년
5년한도 이내
⑶좌·우익의 갈등
①우익
이승만·김구등의 우익세력은 대대적인 신탁통치 반대운동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신탁통치반대 국민총동원위원회가 결성
국민들은 반탁의 굳은 의지를 보임→반탁운동은 거의 전국적으로 파급
②좌익
초반 신탁통치 반대
본질은 임시정부 수립에 있다고 파악, 1946년 1월부터 신탁통치를 포함한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 결정을 지지하는 운동을 전개
사회주의 계열이 29개의 좌파와 중도좌파 단체 통합 ‘민족주의 민족전선’을 결성하여 모스크바 협정의 지지를 주장
⑷우익과 좌익의 각 세력 통합
①남조선 민주의원(1946.2.14) : 우익세력의 통일
김구와 임정 중심인 비상국민회의와 이승만과 한민당 중심인 대한 독립 촉성 중앙 국민회의의 두 계통이 미군정의 미소공동위원회 대비책과 연결되어 남조선 민주의원을 구성해 우익세력의 통일을 이룸
남조선 민주의원은 의장에 이승만, 부의장에 김구·김규식이 선출되었고, 좌익계를 제외한 인사들이 총망라됨
이승만의 사퇴와 김규식의 좌·우합작운동으로 민주의원은 쇠퇴하고 ‘남조선과도 입법의원’이 성립
②민족주의 민족전선(1946.2.15) : 좌익 통일전선
좌익진영은 찬탁노선의 좌익진영을 규합하고 미·소 공동위원회 개최에 대비하기 위해 1946년 2월 15일에 결성
민족주의 민족전선은 계속 찬탁운동을 전개하다가 조선공산당이 이승만과 미군정의 단독정부수립노선에 대응 ‘신전술’을 채택
이를 계기로 활동이 위축되었고 1949년 북조선 민전과 통합 조국통일민주주의 전선으로 흡수
⑸제 1차 미·소공동위원회(1946.3)
미·소가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공동위원회를 서울에서 개최
①미국
찬탁, 반탁고 자유 의사표시의 한 방법이므로 모든 정치 단체 참여시켜야 함
소련이 제출한 북쪽 정당, 단체에 우익단체가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38도선 철폐와 남북 경제적 통일 문제를 논의하자고 제의
②소련
신탁통치 결정 지지 정치단체만 공동위원회와의 협의대상으로 참여시키자고 주장
미국이 제출한 남한 20개 단체가 모두 3상회의를 반대하는 정당, 단체라고 주장
38도선문제는 장차 수립될 임시정부에서 다룰문제이고 경제문제는 3상회의 결정사항이 아님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협의에 참가 정당, 사회단체 초청문제로 결렬
⑹제 1차 미·소 공동위원회 결렬 이후의 정세
①조선정판사 위조지폐사건(1946.5)
미군정은 ‘민족주의 민족전선’에 포함된 단체 중 조선공산당이 위조지폐를 만들어 유통시켰다고 발표
미군정은 공산당을 본격 탄압하여 간부 체포령을 내리고 해방일보 폐간
조선공산당이 강경노선으로 선회, 여운형 중심의 온건노선은 민족주의 민족전선에서 탈퇴
②이승만의 정읍발언(1946.6)
1946년 6월 3일 전라북도 정읍 연설에서 남한만이라도 단독정부를 수립하자고 발언
단독정부 수립을 주장하는 극우세력과 좌우합작 모색하는 온건 우익세력으로 분화
⑺제 2차 미·소 공동위원회(1947.5)
미소 대표가 서울과 평양을 오가며 논의하였으나 트루먼 독트린으로 냉전 시작, 회의가 난관에 부딪힘
①미국
미, 영, 중, 소 4개국 회의를 요구
보통선거에 의한 남북 각각의 입법기관 설치를 제의
대표들로 구성되는 통일 임시정부가 미, 소 양군 철수 문제와 완전한 독립국가 수립문제를 4개국과 협의하게 하자는 제안
②소련
반탁정당, 1만명 이하 군소 단체는 대상에서 제외 주장
임시정부 수립문제를 4개국 회의로 가져감은 부당하다고 주장
남북 별개 입법기관 구성은 분열 조장으로 거부
제 2차 미·소 공동위원회가 결렬되자 미국은 한반도 문제를 유엔에 상정
미·소 공동위원회 실패=남북 통일임시정부 수립 실패
2.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1)대한민국 정부 수립과정
⑴유엔의 활동
①한국 독립문제 유엔 이관
1947년 9월 17일 미국은 한반도 문제를 제 2회 유엔 총회에 상정
②유엔 총의회 결의
미국은 유엔한국입시위원단 구성
유엔 감시하에 인구 비례에 따른 총선거 실시 후 정부 수립시 미소 양군 철수 주장
소련의 반대에도 불구, 절대 다수로 가결
③유엔 한국임시위원단 방한
1948년 1월 한국 임시위원단 활동 시작
소련이 주둔하는 북한 공산당은 이를 거부
④유엔 소총회의 결의
북한에 들어갈 수 없게 된 사실을 유엔에 보고
접근 가능 지역만이라도 선거 실시, 독립정부 수립을 결정
⑵독립정부 수립의 반대 - 남북 협상
①남북 지도자 회의 제안
김구와 김규식이 남북협상 방안을 한국 임시위원단에 제의
남한 단독정부 수립 반대 성명 발표후 김일성, 김두봉에게 남북 지도자 회의 제안
북한은 규모를 확대하여 열것을 수정 제안-북한 정권 수립 정당화 수단으로 이용하려고 한 것
②남북협상 개최(1948.4)
10일간에 걸쳐 회의가 평양에서 개최
③결의문 채택
남북 56개 정당·사회단체 대표 695명이 참가
남한 단독정부수립 반대, 미소 양군 철수 요구 결의문 채택, 성과가 없었음
④통일정부 수립노력의 실패
김구, 김규식은 돌아온 후 5.10총선에 불참
통일 독립 촉성회(1948.7)를 결성하여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노력 지속
1949년 김구는 안두희에 의해 암살, 김규식은 6.25전쟁시 납북으로 실패
⑶제주 4·3사건(1948.4.3)
①배경
1947년 3·1운동 기념집회과정에서 경찰의 발포로 제주도민 6명이 사망
제주도민과 미군정, 우익 갈등 심화
②경과
경찰, 서북청년단이 제주도민 탄압
좌익 중심으로 제주도민 봉기
미군정은 군대로 진압
③제주도 양민 희생
진압과정에서 도민의 10%(3만여명)희생
발발 1년만에 종결
일부지역에서 5.10총선거 무산
2)대한민국 정부 수립
①5.10선거
유엔 결정에 따라 1948.5.10 최초 남한 전역 총선거 실시
북한 몫의 100석 제외 198명 제헌의원 선출
②헌법 제정
제헌 국회 의원들은 제헌의회를 구성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함
헌법을 제정하여 7월 17일에 공포
③정부 수립
7월 20일 제헌의회에서 국회의원들의 간접선거를 통해 이승만을 초대 대통령
추천자료
한국미술문화체험 기말고사 청주대학교 사이버강의 (9주-15주)
(청주대학교 사이버강의) 한국사 중간고사 족보 (1주차 ~ 7주차)
청주대 한국사 사이버 강의 기말고사(9주차~15주차)
<기말고사> 청주대학교 스마트한 학습으로의 여행 족보 (9주 ~ 15주차)
청주대 CJU 사이버강의 한국사 기말고사 족보 9주차~15주차
청주대 사이버강의 기말 - 스마트한학습으로의여행 9 ~ 15주차
청주대학교 스마트한학습으로의 여행 사이버강의 기말고사 족보 9주차 ~ 15주차
청주대 한국사 사이버강의 기말고사 족보
(청주대학교 사이버강의) 러시아 문화산책 기말고사 족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