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목차
9/1 이러닝의 e모양, e꼴(1)(온라인강의)
9/2 이러닝의 e모양, e꼴(2)(온라인강의)
▪1교시 학습내용
1.이러닝은 어떤 모양 어떤 꼴?
2.다양한 측면의 이러닝 유형
3.교수-학습 방법에 의한 유형 구분
▪2교시 학습내용
1. 수업운영에 의한 유형 구분
2. 멀티미디어 활용에 의한 유형 구분
10/1 학창시절엔 미처 몰랐던 것들, 학창시절의 이러닝(1)(온라인강의)
10/2 학창시절엔 미처 몰랐던 것들, 학창시절의 이러닝(2)(온라인강의)
▪1교시 학습내용
1.학창시절의 이러닝
2.중앙교수학습센터-에듀넷
▪2교시 학습내용
1.사이버가정학습체제
2.EBS 수능강의 인터넷 서비스
11/1 내가 이러닝을 알아야 하는 3가지 이유(1)(온라인강의)
11/2 내가 이러닝을 알아야 하는 3가지 이유(2)(온라인강의)
▪1교시 학습내용
1.이유 1 : 대학에서의 이러닝은 이미 보편화되었다. ▪2교시 학습내용
1.이유 2 : 이러닝만으로 수업을 하는 대학이 있다.
2.이유 3 : 앞으로 평생 이러닝과 더불어
12/1 이러닝의 변신은 무죄! 온라인군 오프양을 만나다~!(1)(온라인강의) - 블렌디드 러닝
12/2 이러닝의 변신은 무죄! 온라인군 오프양을 만나다~!(2)(온라인강의)
▪1교시 학습내용
1.블렌디드 러닝이란?
2.왜 블렌디드 러닝을 하는가?
3.어떻게 블렌디드 할 것인가?
▪2교시 학습내용
1.블렌디드 러닝은 어떤 유형이 있는가?
2.블렌디드 러닝을 학교수업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13/1 교과서의 종말...and 교과서의 탄생(1)(온라인강의) - 디지털 교과서
13/2 교과서의 종말...and 교과서의 탄생(2)(온라인강의)
▪1교시 학습내용
1. 디지털 교과서 개념
2. 디지털 교과서 정의
3. 디지털 교과서 역할 및 특성
▪2교시 학습내용
1. 디지털 교과서의 주요 기능
2. 디지털교과서와 서책형 교과서 차이점
3. 디지털 교과서 유형
4. 디지털 교과서 개발 추진 현황 및 개발 계획
14/2 SNS와 이러닝(1)(온라인강의)
14/2 SNS와 이러닝(2)(온라인강의)
▪1교시 학습내용
1.SNS 개념 및 특징
2.SNS 형태 및 유형
▪2교시 학습내용
1.소셜 러닝 개념 및 특징
2.SNS의 교육적 활용
15/1 학습! 스마트하게 S.M.A.R.T. 하자
15/2 학습! 스마트하게 S.M.A.R.T. 하자
▪1교시 학습내용
1.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정의
2.스마트러닝의 주요 특징
▪2교시 학습내용
1. 스마트러닝의 유형
2. 스마트 테크놀로지의 발전
9/2 이러닝의 e모양, e꼴(2)(온라인강의)
▪1교시 학습내용
1.이러닝은 어떤 모양 어떤 꼴?
2.다양한 측면의 이러닝 유형
3.교수-학습 방법에 의한 유형 구분
▪2교시 학습내용
1. 수업운영에 의한 유형 구분
2. 멀티미디어 활용에 의한 유형 구분
10/1 학창시절엔 미처 몰랐던 것들, 학창시절의 이러닝(1)(온라인강의)
10/2 학창시절엔 미처 몰랐던 것들, 학창시절의 이러닝(2)(온라인강의)
▪1교시 학습내용
1.학창시절의 이러닝
2.중앙교수학습센터-에듀넷
▪2교시 학습내용
1.사이버가정학습체제
2.EBS 수능강의 인터넷 서비스
11/1 내가 이러닝을 알아야 하는 3가지 이유(1)(온라인강의)
11/2 내가 이러닝을 알아야 하는 3가지 이유(2)(온라인강의)
▪1교시 학습내용
1.이유 1 : 대학에서의 이러닝은 이미 보편화되었다. ▪2교시 학습내용
1.이유 2 : 이러닝만으로 수업을 하는 대학이 있다.
2.이유 3 : 앞으로 평생 이러닝과 더불어
12/1 이러닝의 변신은 무죄! 온라인군 오프양을 만나다~!(1)(온라인강의) - 블렌디드 러닝
12/2 이러닝의 변신은 무죄! 온라인군 오프양을 만나다~!(2)(온라인강의)
▪1교시 학습내용
1.블렌디드 러닝이란?
2.왜 블렌디드 러닝을 하는가?
3.어떻게 블렌디드 할 것인가?
▪2교시 학습내용
1.블렌디드 러닝은 어떤 유형이 있는가?
2.블렌디드 러닝을 학교수업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13/1 교과서의 종말...and 교과서의 탄생(1)(온라인강의) - 디지털 교과서
13/2 교과서의 종말...and 교과서의 탄생(2)(온라인강의)
▪1교시 학습내용
1. 디지털 교과서 개념
2. 디지털 교과서 정의
3. 디지털 교과서 역할 및 특성
▪2교시 학습내용
1. 디지털 교과서의 주요 기능
2. 디지털교과서와 서책형 교과서 차이점
3. 디지털 교과서 유형
4. 디지털 교과서 개발 추진 현황 및 개발 계획
14/2 SNS와 이러닝(1)(온라인강의)
14/2 SNS와 이러닝(2)(온라인강의)
▪1교시 학습내용
1.SNS 개념 및 특징
2.SNS 형태 및 유형
▪2교시 학습내용
1.소셜 러닝 개념 및 특징
2.SNS의 교육적 활용
15/1 학습! 스마트하게 S.M.A.R.T. 하자
15/2 학습! 스마트하게 S.M.A.R.T. 하자
▪1교시 학습내용
1.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정의
2.스마트러닝의 주요 특징
▪2교시 학습내용
1. 스마트러닝의 유형
2. 스마트 테크놀로지의 발전
본문내용
학습목표성취여부에대한평가자료활용
수준별 보충/심화학습 자료 제공
주요기능
기능설명
저작도구 기능
학습자가 원하는 내용을 제작/편집/출력
텍스트, 그림, 음악, 동영상 편집 등
다양한 정보자원과의 연계 기능
엄선된 국가지식 DB 연계
정치/경제/사회/문과 기관이 소유한 학습용 콘텐츠 연계
기타 기능
엄선된 국가지식 DB 연계
상기 기능에 불포함된 교수학습에 필요한 기능
디지털 교과서 vs 서책형 교과서
디지털교과서
서책형교과서
동영상,가상현실 등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
자료유형
텍스트와 이미지 중심의
평면적이고 선형적인
학습자료
새로운 사실과 지식 신속한 반영
자료변형
자료가 고정되어
변환 어려움
다양한 교육자료나 DB와의 연계
자료수집
교과서 외의 자료를
찾기 위한 많은 시간과
비용요구
정보기기(TPC,데스크탑PC등
내용 전달 매체
인쇄 매체
교과내 학년 간, 타교과 연계학습가능
다른 교과와의 관계
교과 간 서로 단절된 개별적인 학습 교재
교사,학생,컴퓨터간 다방향 학습가능
학습 방향
지식 전달 위주의 단방향 학습
학생중심 수업활동과 자기주도적 학습 실험
수업 효과
학습자의 능력에 따른 수업이 어려운 일제 수업
2교시
3) 디지털 교과서 유형
유형
특징
사례
패키지형
l패키지 소프트웨어 형태로 개발 및 유통
디스켓이나 CD롬으로 유통
페이지 넘기기, 밑줄 긋기 등 기초적인 수준의 인터랙티브 기능 제공
대부분 오프라인으로 제공
D-ROM 교과서
D-ROM 교육 소프트웨어
유형
특징
사례
전자책형
l전자책 전용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전자책 콘텐츠
기존의 종이책을 디지털로 변환한 형태로, 인터랙티브한 기능은 거의 제공되지 않음
Pub(국제 전자책 표준), AZW(아마존 전용 전자책 표준) 등의 포맷 사용
lAmazon, Barns & Noble 등 전자책 단말기의 전자책 콘텐츠
유형
특징
사례
솔루션형
l윈도우, 리눅스 등의 운영체제를 탑재한 데스크탑 PC, 태블릿 PC에서 사용되는 설치형 소프트웨어나 웹 서비스 등으로 구현
동영상, 이미지, 사운드, 웹페이지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생들과 정보 교환, 교사와의 상호작용 등 적극적인 인터랙티브 기능 탑재
웹 기반 학습
l국내 교육과학기술부의 디지털 교과서 시범 사업 개발 솔루션
유형
특징
사례
애플리케이션형
l안드로이드, iOS 태블릿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
동영상, 이미지, 사운드, 웹페이지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요소 체험 및 조작, SNS 기능 등 인터랙티브 기능 탑재
상시적인 온라인 접속 기능 제공
l애플 앱스토어,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용 디지털 교과서 애플리케이션
애플 iBooks 제공 디지털 교과서
4) 디지털 교과서 개발 추진 현황 및 개발 계획
날짜
현황
2011
l초등 5·6학년 (사회·과학)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수정·개발 진행 중
2010
l초등 4학년(사회·과학), 중학교 1학년 (영어·과학),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개발
2009
l윈도우/리눅스 공동 활용 통합 플랫폼 개발
’09년도 디지털교과서 기능 고도화 및 추가개발 시범 사업
초등 수준별 영어 디지털교과서 개발 사업 완료
※ 초등3~6학년 대상 수준별, 맞춤별 학습 지원
디지털교과서 중앙 인프라 시범 구축 및 서비스 환경 구축 ISP 수립
날짜
현황
2008
l공개 s/w 기반(리눅스) 디지털교과서 서비스 환경 구축 사업 완료
초등학교 6학년 4개 과목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시범 개발 완료
※ 국어·수학·사회·과학 (영어·음악 검정 전환으로 제외)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시범 개발 완료
※ 국어·사회·과학·음악·영어(이상 5종 신규), 수학(수정·보완)
윈도우 기반 디지털교과서 공통 플랫폼 개발 완료
2007
디지털교과서 원형(prototype) 평가 및 현장 적합성 검토
디지털교과서 원형(prototype) 시범 개발 완료
※ 초등 5학년 9개 과목 및 플랫폼 3종 개발
디지털교과서 개발 집행 계획 수립(교과부)
디지털교과서 常用化 추진방안 발표
년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학교
수
5개교 48개 학급
(초등)
20개교 82개 학급
(초등)
1112개교 운영
(초등)
132개교 운영
(초등 122개교, 중등 10개교
디지털 교과서 개발 계획(안)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초등학교
1, 2학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방향 정립 및 교수학습 모델 개발 등
디지털교과서 개발
디지련교과서 적용
3, 4학년
2009교육과정
서책형교과서 적용/
디지털교과서 개발
디지털교과서 적용
5, 6학년
2009교육과정
서책형교과서 적용/ 디지털교과서 개발
중학교
디지털교과서 개발
디지털교과서 적용
고등학교
영어
디지털교과서 개발
디지털교과서 적용
기타과목
2009교육과정 서책형 교과서 적용
디지털교과서 개발
평가하기
Q1. 서책형 교과서의 내용은 물론 용어사전, 평가문항, 풍부한 학습자료 등을 포함하고 있고, 이를 문서자료 뿐만 아니라 동영상, 애니메잉션, 가상현실 등의 멀티미디어와 통합해 제공하며,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과 학습자의 특성 및 능력 수준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도록 구현된 학습용 교재를()라고 한다.
답: 디지털 교과서
Q2.다음 중 디지털 교과서의 주요 기능에 속하지 않는 것은? 4번
1.멀티미디어 기능
2.참고자료 기능
3.상호작용 기능
4.상담 기능
Q3. 다음 중 디지털 교과서와 서책형 교과서에 대한 비교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번
1.디지털 교과서는 동영상, 가상현실 등 멀티미디어 학습자료가 제공되지만, 서책형은 텍스트 중심의 평면적 학습자료를 제공한다.
2.디지털교과서는 새로운 사실이나 지식을 신속히 반영할 수 있지만, 서책형교과서는 자료가 고정되어 변환이 어렵다.
3.디지털 교과서는 교과 내에서 타 학년간 연계학습이 가능하지만, 서책형 교과서는 교과간 연계학습이 가능하다.
4.디지털 교과서는 교사,학생,컴퓨터간 다
수준별 보충/심화학습 자료 제공
주요기능
기능설명
저작도구 기능
학습자가 원하는 내용을 제작/편집/출력
텍스트, 그림, 음악, 동영상 편집 등
다양한 정보자원과의 연계 기능
엄선된 국가지식 DB 연계
정치/경제/사회/문과 기관이 소유한 학습용 콘텐츠 연계
기타 기능
엄선된 국가지식 DB 연계
상기 기능에 불포함된 교수학습에 필요한 기능
디지털 교과서 vs 서책형 교과서
디지털교과서
서책형교과서
동영상,가상현실 등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
자료유형
텍스트와 이미지 중심의
평면적이고 선형적인
학습자료
새로운 사실과 지식 신속한 반영
자료변형
자료가 고정되어
변환 어려움
다양한 교육자료나 DB와의 연계
자료수집
교과서 외의 자료를
찾기 위한 많은 시간과
비용요구
정보기기(TPC,데스크탑PC등
내용 전달 매체
인쇄 매체
교과내 학년 간, 타교과 연계학습가능
다른 교과와의 관계
교과 간 서로 단절된 개별적인 학습 교재
교사,학생,컴퓨터간 다방향 학습가능
학습 방향
지식 전달 위주의 단방향 학습
학생중심 수업활동과 자기주도적 학습 실험
수업 효과
학습자의 능력에 따른 수업이 어려운 일제 수업
2교시
3) 디지털 교과서 유형
유형
특징
사례
패키지형
l패키지 소프트웨어 형태로 개발 및 유통
디스켓이나 CD롬으로 유통
페이지 넘기기, 밑줄 긋기 등 기초적인 수준의 인터랙티브 기능 제공
대부분 오프라인으로 제공
D-ROM 교과서
D-ROM 교육 소프트웨어
유형
특징
사례
전자책형
l전자책 전용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전자책 콘텐츠
기존의 종이책을 디지털로 변환한 형태로, 인터랙티브한 기능은 거의 제공되지 않음
Pub(국제 전자책 표준), AZW(아마존 전용 전자책 표준) 등의 포맷 사용
lAmazon, Barns & Noble 등 전자책 단말기의 전자책 콘텐츠
유형
특징
사례
솔루션형
l윈도우, 리눅스 등의 운영체제를 탑재한 데스크탑 PC, 태블릿 PC에서 사용되는 설치형 소프트웨어나 웹 서비스 등으로 구현
동영상, 이미지, 사운드, 웹페이지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생들과 정보 교환, 교사와의 상호작용 등 적극적인 인터랙티브 기능 탑재
웹 기반 학습
l국내 교육과학기술부의 디지털 교과서 시범 사업 개발 솔루션
유형
특징
사례
애플리케이션형
l안드로이드, iOS 태블릿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
동영상, 이미지, 사운드, 웹페이지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요소 체험 및 조작, SNS 기능 등 인터랙티브 기능 탑재
상시적인 온라인 접속 기능 제공
l애플 앱스토어,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용 디지털 교과서 애플리케이션
애플 iBooks 제공 디지털 교과서
4) 디지털 교과서 개발 추진 현황 및 개발 계획
날짜
현황
2011
l초등 5·6학년 (사회·과학)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수정·개발 진행 중
2010
l초등 4학년(사회·과학), 중학교 1학년 (영어·과학),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개발
2009
l윈도우/리눅스 공동 활용 통합 플랫폼 개발
’09년도 디지털교과서 기능 고도화 및 추가개발 시범 사업
초등 수준별 영어 디지털교과서 개발 사업 완료
※ 초등3~6학년 대상 수준별, 맞춤별 학습 지원
디지털교과서 중앙 인프라 시범 구축 및 서비스 환경 구축 ISP 수립
날짜
현황
2008
l공개 s/w 기반(리눅스) 디지털교과서 서비스 환경 구축 사업 완료
초등학교 6학년 4개 과목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시범 개발 완료
※ 국어·수학·사회·과학 (영어·음악 검정 전환으로 제외)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시범 개발 완료
※ 국어·사회·과학·음악·영어(이상 5종 신규), 수학(수정·보완)
윈도우 기반 디지털교과서 공통 플랫폼 개발 완료
2007
디지털교과서 원형(prototype) 평가 및 현장 적합성 검토
디지털교과서 원형(prototype) 시범 개발 완료
※ 초등 5학년 9개 과목 및 플랫폼 3종 개발
디지털교과서 개발 집행 계획 수립(교과부)
디지털교과서 常用化 추진방안 발표
년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학교
수
5개교 48개 학급
(초등)
20개교 82개 학급
(초등)
1112개교 운영
(초등)
132개교 운영
(초등 122개교, 중등 10개교
디지털 교과서 개발 계획(안)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초등학교
1, 2학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방향 정립 및 교수학습 모델 개발 등
디지털교과서 개발
디지련교과서 적용
3, 4학년
2009교육과정
서책형교과서 적용/
디지털교과서 개발
디지털교과서 적용
5, 6학년
2009교육과정
서책형교과서 적용/ 디지털교과서 개발
중학교
디지털교과서 개발
디지털교과서 적용
고등학교
영어
디지털교과서 개발
디지털교과서 적용
기타과목
2009교육과정 서책형 교과서 적용
디지털교과서 개발
평가하기
Q1. 서책형 교과서의 내용은 물론 용어사전, 평가문항, 풍부한 학습자료 등을 포함하고 있고, 이를 문서자료 뿐만 아니라 동영상, 애니메잉션, 가상현실 등의 멀티미디어와 통합해 제공하며,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과 학습자의 특성 및 능력 수준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도록 구현된 학습용 교재를()라고 한다.
답: 디지털 교과서
Q2.다음 중 디지털 교과서의 주요 기능에 속하지 않는 것은? 4번
1.멀티미디어 기능
2.참고자료 기능
3.상호작용 기능
4.상담 기능
Q3. 다음 중 디지털 교과서와 서책형 교과서에 대한 비교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번
1.디지털 교과서는 동영상, 가상현실 등 멀티미디어 학습자료가 제공되지만, 서책형은 텍스트 중심의 평면적 학습자료를 제공한다.
2.디지털교과서는 새로운 사실이나 지식을 신속히 반영할 수 있지만, 서책형교과서는 자료가 고정되어 변환이 어렵다.
3.디지털 교과서는 교과 내에서 타 학년간 연계학습이 가능하지만, 서책형 교과서는 교과간 연계학습이 가능하다.
4.디지털 교과서는 교사,학생,컴퓨터간 다
추천자료
[교육] 사이버학습과 평생교육
[교육학]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사이버 가정학습체제 운영방안
컴퓨터 통신과 인터네트 사이버 시험 기말고사 자료 2020
미국과 미국인(문명과 야만의 두 얼굴) 기말고사 사이버 자료
<정보사회와 컴퓨터과 지도안> Ⅱ. 컴퓨터와 인사하기 3. 출발! 사이버 세상
청주대 광고로 배우는 아이디어 발상법 기말 (9-15)
청주대 광고로 배우는 아이디어 발상법 중간고사 (1-7)
[교육과 사회][평생교육으로서의 사이버대학]
청주대 <프랑스 문화와 예술> 중간고사 (1-7주차)
청주대 <환경과학> 중간고사 (1-7주차)
청주대 관광산업의 이해 01-07 (업데이트)
청주대 현대생활과 패션 9-15
청주대 관광산업의 이해 9-1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