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양상을 보여 주었고, 그럼으로써 당대 현실을 부정적으로 보는 입장을 분명하게 나타내 보이고 있다. 그의 작품에서 언급한 실직 인텔리를 대표하는 작중인물들은 작가 자신과 동일한 환경과 처지에 있는 지식인들로서, 결국 그의 작품의 특성은 스스로 자조할 수 밖에 없는 시대를 풍자해 가고 있는 것이며 사회에 적응하려고 노력을 해도 설 자리가 없는 당대 사회 현실을 간접적으로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작중 인물의 자학을 통해서 일제 탄압의 불합리성을 은연중에 건드려 볼 정도일 뿐 그리 강렬하지가 않다. 그러나 이 작품들이 문제의 해결책이 다소 피상적이라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은 일제치하 교육제도의 모순과 그에 파급되는 인텔리의 실업 문제를 직시하고 비판하려는 날카로운 작가의식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채만식의 풍자정신은 일제의 강압 때문에 직접적 비판을 피하게 하는 한계를 갖게 했지만 그것은 그 당시 ‘무력한 지식인’이 사회문제로 나타난 상황을 철저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묘사하고 있었다. 채만식의 풍자정신을 소극적 대응으로 보는 것에 그칠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그 안에 숨어 있는 진정한 작가의식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