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궁 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 궁 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줄거리

Ⅱ. 작품의 설명

Ⅲ. 근원

Ⅳ. 작품상의 특성
1. 중모리
2. 단중모리
3. 아니리
4. 중모리
5. 중모리
6. 아니리
7. 자진모리
8. 자진중모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호령하는 대목부터 육지에 나와 자라에게 욕하는 대목까지를 꼽는다. 특히 토끼가 자라에게 욕하는 대목은 경드름이라고 말하는 독특한 음악 어법으로 짜여져 있다. 경드름이란 경조라고도 하는데 서울 소리의 스타일을 의미한다. 이것은 본디 19세기 초에 활약한 여덟 명창에 들었던 염계달의 \"더늠\"(특징적 음악 어법)으로 전해오는데, 대개 중모리 장단으로 짜여져 있고 \"즐겁고 경쾌하게\"라는 악성 기호의 의미가 있다. 출처 : http://www.0671.co.kr/tour/pansori/pansori22.htm판소리 마당-판소리의 고장 남원
<중모리>
\"제기를 붙고 발기를 갈 녀석 뱃속에 달린 간을 어찌내고드린단 말이냐 미련허드라 미련허드라 너그 용왕이 미련허드라 너그 용왕 실겁기 날같고 내 미련키 너그 용왕같거드면 영락없이 즉을걸 내 밑궁기 서이 아니였드라면 내 목숨이 살어나리 내 돌아간다 내가 돌아간다 백운청산으로 나는 간다\"
<아니리>
별주부 기가맥혀
\"아이고 퇴공 간 좀 팥낱만큼만 띠여주고 가란말이요 \"
가든 토끼 힐끗 돌아서며
\"너 이놈 별주부야 너를 담박에 내민 바위에다 옹기짐을 부시듯 콱 부셔 죽일 일이로되 수로만리를 나를 업고 다닌 정성으로 너를 살려줄 것이니 이 다음에는 다시 그런 보초떼기 없는 짓을 하지말어라 그리고 네 정성이 지극허니 너의 용왕에 먹일 약이나 하나 일러주마. 수궁에 들어가면 암자라 이뿐놈 많이 쌓였드구나 하루 일천오백마리씩만 잡아서 석달 열흘간 먹이고 복쟁이 쓸갤르 천석을 만들어서 양일간에 다 먹으면 죽던지 살던지 양단간에 끝이 날 것이다.자 나는 간다 어서 들어가거라\"
- 토끼가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1.2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4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