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소화기계 구조와 기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문] 소화기계 구조와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추 높이의 제3협착
② 혈액공급
-근위식도: inf. thyroid artery가지에서 오며 정맥혈은 sup. vena cava로 감
-중위식도: thoracic aorta 가지에서 오며 정맥혈은 무명계로 감
-원위식도: Lt. gastric artery 사지에서 오며 정맥혈은 위정맥을 경유하여 문정맥으로 감
무명정맥과 문정맥 사이에는 매우 중요한 잠재적 문합을 볼 수 있으며 문정맥 혈압이 높졌을 때 압력이 낮은 무명정맥으로 정맥혈이 유입된다. 이때 흔히 식도에 정맥류를 만든다
③ 기능
-입으로부터 위장까지 음식물 운반
-소화관 내용물의 역류 방지(괄약근)
상부 식도 괄약근(UES): 식도벽 자체의 탄력성과 괄약근의 수축에 의해 닫혀져 있으며 괄약근 수축이 억제되고 suprahyoid muscle에 의해 후두가 앞으로 움직이면 열린다.
하부 식도 괄약근(LES): 근육자체의 tone에 의해 닫혀지며 신경경로 통해 이완된다.
2) 위
① 위의 구조
-복부 상단, 신체 중앙의 좌측 1/4 부위와 횡격막 바로 아래에 있는 소화관의 폐쇄된 J자 모양
-위로는 식도, 아래로는 소장과 연결
-위는 전면과 후면의 두 면이 있고 위의 오목한 오른쪽 면인 소만은 식도의 오른쪽과 볼록한 왼쪽 면인 대만은 식도 왼쪽과 연결된다.
-위는 분문, 위저, 위체, 유문으로 나눠진다.
cardia: 식도와 위 사이의 좁은 원형모야의 고리
fundus: 위가 팽창할 때 위체 부위는 식도, 위 접합부로부터 수평으로 늘어난다. 위체와 구분되는 mucosa 가 있으며 공기가 있다.
body: 가장 큰 부분. 팽창된 중앙부분.
pyloric part: 위의 마지막 부분-깔때기 모양. 보다 넓은 유문동과 유문관으로 나눠짐.
② 위벽의 구조
-mucosa: 위체의 점막에는 소만과 평행한 rugae라 불리는 많은 주름이 있다. 위가 비어있을 때 뚜렷하며 음식으로 가득찰 때는 사라진다.
fundus 쪽에 더욱 발달
움푹 파인 곳을 위공이라 하고 그 기저부에 위선이 개구
단순원주형 상피조직
표면점액세포가 점액을 분비하여 자기 소화방지
cardiac region: mucos cell이 주성분. 그 외 약간의 벽세포로 구성된 cardiac gland가 있음
body 및 fundus에 있는 fundic glands는 mucous neck cell(산성 점액과 dipeptidase를 분비), parietal cell(염산과 내재인자를 분비), chief cell(papsin, renin, gastric lipase 등의 효소를 분비), enteroendocrine cell APUD cell(호르몬 유사물질을 분비)로 구성되어 있다.
-submucosa: 분비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muscularis: 3층, 연동운동, 평활근
inner oblique: cardia와 body에서 잘 발달됨.
middle circular layer: 위의 양쪽 sphincter 부위에서
outer longitudinal layer
-serosa: 대만과 소만에서 각각 대망과 소망에 연속
③ 위분비
-gastrin: 위가 음식물로 확장될 때 방출
-pepsin: 음식물에 의해 자극, 단백질 분해, pH 3.5에서 가장 활발
-mucous: 강산을 중화, 위내막 보호
-secretion: 1500~3000ml of gastric juice per day
④ Blood supply
celiac artery 복강동맥, 정맥 귀환은 간으로 portal system을 통해 이루어진다.
⑤ 신경지배
위로의 외인성 신경은 부교감신경(미주신경)과 복강신경총을 통한 교감신경이다.
-미주신경 자극: 산, gastrin, pepsin 등의 위액 분비 증가, 위의 운동활동증가
-교감신경: 위액분비와 위운동억제
⑥ 기능
-storage
-mixing
-emptying: 음식물 덩어리를 저장하며 위액과 혼합하여 음식물을 용해한다. chyme으올 만들어 서서히 십이지장으로 배출(식후 약 30~40분부터)
3) 소장
① 구조
-길이: 약 6.5cm, 직경: 2.5~4cm, gastric pylorus-ileocecal valve
-소장벽의 구조(4겹의 막)
가. 내부점막
상피층은 단순원주상피로 고유층과 더불어 villi형성
고유층에는 장선존재
a. 표면상피
단층원주세포: 미세융모, 종말제가 있으며 소화효소도 분비
술잔세포: 점액분비 세포
b. 장샘
단층원주세포와 술잔세포
미분화세포
산호성 과립세포: lysozyme을 함유하는 호산성 과립이 존재
위창자내분비세포
c. 림프소절: 회장에는 Peyer\'s patch가 있어서 근점막층을 뚫고 점막하조직층까지 위치
나. 점막하 조직: 십이지장에 복합관상선인 Brunner\'s gland가 있다.
다. 근육층: 내환층, 외종층
라. 외부장막층: 복막구성, 복벽과 골반강을 덮고 있다. 십이지장, 회장종말부 제외
-구조적 특징
소장흡수면적을 증가시키는 구조: 윤상주름, villi, 미세융모
원위부로 가면서 구조적 변화가 있다.: 배세포수 증가, 융모 감소, 임파조직 증가
② 구분
-duodenum: dir 25cm, retroperitoneal-첫부분 제외 pancreas head 부위를 감싼 C자 형태
첫번째 부분: 약 5cm, pylorus에서 우측 후방으로 올라간 모양
두번째 부분: retroperitoneal 첫 번째 부분의 우측으로 내려간 모양, 약 7cm.
pyloric ring으로부터 약 9~10츠정도 되는 duodenum에 bile duct와 pancreatic가 개구
세번째 부분: 대동맥, 대정맥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돌아간 모습, 약 7~9cm
네번째 부분: 길이가 다양하고 세 번째 부분과 구분하기 어렵다. 왼쪽으로 올라가 duodenojejunal flexure를 이룸.
-jejunum: 십이지장을 제외한 근위부의 40%, 약 2.5cm
후복벽을 가르질러 duodenojejunal flexure에서 Rt. iliac fossa 까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비스듬히 mesentery가 있어 공장, 회장지지
glucose, 수용성 vit, 단백질, 지방흡수, mucosal fold가 뚜렷하고 회장보다 넓으며 벽이 두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5.05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80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