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비자행동과 마케팅의 정의와 둘의 연관성
2. 스타벅스에 관한 설명과 왜 스타벅스를 선호하는지 그리고 이를 바라보는 시각
3. 지름신의 정의와 유래 그리고 지름신이 강림한 소비자의 행동적 특성
4. 합리적인 소비 방안
2. 스타벅스에 관한 설명과 왜 스타벅스를 선호하는지 그리고 이를 바라보는 시각
3. 지름신의 정의와 유래 그리고 지름신이 강림한 소비자의 행동적 특성
4. 합리적인 소비 방안
본문내용
집행하는데 기본적인 단서가 됩니다.
열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속담이 괜히 있는게 아니겠지요? 맞습니다. 소비자도 마찬가지입니다. 소비자의 속마음을 알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그들이 좋아하는 장소가 어디인지, 좋아하는 잡지가 무엇인지, 어떤 스타일의 삶을 살아가는지는 구분할 수 있습니다.
대체로 소비자는 속을 알 수 없는 블랙박스입니다. 기업들은 그 박스 안에 뭐가 있는지 알고자 수많은 돈을 뿌리고 있는 것입니다.
소비자 행동 연구 및 분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한 예
제품생산
드럼세탁기: 과거의 통돌이 세탁기(위로여는 것)의 경우엔 문제가 되지 않았던 사항이나, 소비패턴 및 삶의 질 향상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수요증가 관련하여 국내업체(S사,L사)에서도, 드럼을 프리미엄품목으로 육성. 하우젠과 트롬이라는 브랜드 탄생.
-전반전: 거의 광고대결이었음. 드럼과 유사한 브랜드명을 선정한 L사의 광고가 꽤 선전함. 하우젠 브랜드 트롬보다 인지도 낮음. 당시 하우젠은 신생프리미엄브랜드 M/S에서 뒤짐. S사에서 눈을 돌린것은 제품의 편의성 향상(광고는 뭐 여전히 했지만...)
①실사용자 행태연구: 세탁기를 쓰는 고객의 대부분은 여성(특히 30~50대 주부층) 여성인 경우 키가 155~165미만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드럼의 문을 열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혀야 할 뿐 아니라, 드럼의 일반적인 형태(네모 각진모양)에서는 상태창(LCD창)을 확인할려면, 약간의 불편함이 존재.
②제품형태 및 불편사항 개선: 우선 드럼을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문을 열듯이 열수 있도록 드럼의 높이를 높임(제품자체를 키운 것이 아니라, \"허리사랑수납함 이라는 받침대를 옵션으로 제공) LCD창이 전면에 위치했을 경우, 불편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라운드형으로 디자인하여 LCD창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바로 확인이 가능토록 설계.
-후반전: 웰빙바람.... 하우젠과 트롬의 M/S가 바뀌게 된 결정적인 계기 웰빙이슈는 소비자의 소비패턴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디자인이 이쁘더라도 건강증진을 옵션으로 제공하는 제품을 선호하게 된 거죠. 웰빙 이후 세탁기에는 은나노기술(쉽게 말해서 은의 항균기능을 세탁에 접목한 기술)의 경쟁이 있었습니다. ...이부분은 타사제품 비방이 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이야기는 피하겠습니다. 아무튼 좀더나은 은나노기술을 보유한 하우젠이 승리할 뿐, 아니라 M/S도 바꿨습니다.
상기와 같이 제품생산시에도 상당한 시나리오와 설정을 통한 고객행태를 반영하는 제품을 생산합니다.(그 어떤 회사든!!!)
제품유통
흔히 보셨던 가전매장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매장에서는 다양한 소비자행동연구와 분석/적용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계속 드럼을 예로 들겠습니다.(웃자고 하는 이야기 같지만 사실입니다ㅡㅡ;;)
우선 드럼을 집중해서 팔아야겠다고 판단되는 경우(주력연출의 예)
①매장 전면왼쪽에 진열 -이유:사람들의 경우 오른손잡이가 더 많죠? 그럼 오른손잡이들이 축구를 할때는
어느 발로 공을차나요? 당연히 오른발입니다. 주로쓰는 쪽이 더 힘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멈칫하다 좌우 중 방향을 틀어야 한다면, 어디로? 당연히 왼발을 축으로 오른발이 내딛게 됩니다....^^ 그러면 왼쪽 이해되시죠?
②제품상담은 고객의 오른쪽에서 할 것 -이유: 사람은 무의식적으로 급소를 보호합니다. 님이 매장에 들어섰는데, 물건을 사러온 것이긴 하지만, 낯선곳에 낯선사람을 대해야 하는 상황임에 틀림없습니다. 이때 매장의 직원이 님의 심장이 있는 왼쪽에 서게 된다면, 고객은 편안함보다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죠.(대인관계 어디에서든 동일합니다.) 따라서 매장직원들은 오른쪽에서 상담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종 리서치(=외주)를 통한 고객의 의견을 수렴..... -예를 들면 현장리서치를 통한 구매를 한 고객과 그렇지 않은 고객의 비중을 나눠 연령대, 소득수준 그리고 매장에서의 만족도(직원,연출,등)부분을 체크하여 실영업에 반영 매출향상노력하고 있습니다.(물론 결과값에 따라 마케팅의 방향은 재설정되구요)
가장 흔한 해석은 이로고가 그리스 신화에 나타난 꼬리가 두개달린 인어 “사이렌”표현
사이렌이 아름다운 노래로 뱃사람 유혹한것처럼 커피로 고객유혹하겠다는 뜻 내포.
하지만 사이렌은 예전부터 커피운반선에 다는 깃발에 그려졌기 때문에 “커피를 안전하게 수호해온다”는 뜻이 있다는 설명도있다
또 다른 해석은 고대 이집트에서 숭배된 풍요의 여신“이시스”라는 설명도 있다
2. 스타벅스는 시골의 작은 커피
열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속담이 괜히 있는게 아니겠지요? 맞습니다. 소비자도 마찬가지입니다. 소비자의 속마음을 알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그들이 좋아하는 장소가 어디인지, 좋아하는 잡지가 무엇인지, 어떤 스타일의 삶을 살아가는지는 구분할 수 있습니다.
대체로 소비자는 속을 알 수 없는 블랙박스입니다. 기업들은 그 박스 안에 뭐가 있는지 알고자 수많은 돈을 뿌리고 있는 것입니다.
소비자 행동 연구 및 분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한 예
제품생산
드럼세탁기: 과거의 통돌이 세탁기(위로여는 것)의 경우엔 문제가 되지 않았던 사항이나, 소비패턴 및 삶의 질 향상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수요증가 관련하여 국내업체(S사,L사)에서도, 드럼을 프리미엄품목으로 육성. 하우젠과 트롬이라는 브랜드 탄생.
-전반전: 거의 광고대결이었음. 드럼과 유사한 브랜드명을 선정한 L사의 광고가 꽤 선전함. 하우젠 브랜드 트롬보다 인지도 낮음. 당시 하우젠은 신생프리미엄브랜드 M/S에서 뒤짐. S사에서 눈을 돌린것은 제품의 편의성 향상(광고는 뭐 여전히 했지만...)
①실사용자 행태연구: 세탁기를 쓰는 고객의 대부분은 여성(특히 30~50대 주부층) 여성인 경우 키가 155~165미만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드럼의 문을 열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혀야 할 뿐 아니라, 드럼의 일반적인 형태(네모 각진모양)에서는 상태창(LCD창)을 확인할려면, 약간의 불편함이 존재.
②제품형태 및 불편사항 개선: 우선 드럼을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문을 열듯이 열수 있도록 드럼의 높이를 높임(제품자체를 키운 것이 아니라, \"허리사랑수납함 이라는 받침대를 옵션으로 제공) LCD창이 전면에 위치했을 경우, 불편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라운드형으로 디자인하여 LCD창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바로 확인이 가능토록 설계.
-후반전: 웰빙바람.... 하우젠과 트롬의 M/S가 바뀌게 된 결정적인 계기 웰빙이슈는 소비자의 소비패턴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디자인이 이쁘더라도 건강증진을 옵션으로 제공하는 제품을 선호하게 된 거죠. 웰빙 이후 세탁기에는 은나노기술(쉽게 말해서 은의 항균기능을 세탁에 접목한 기술)의 경쟁이 있었습니다. ...이부분은 타사제품 비방이 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이야기는 피하겠습니다. 아무튼 좀더나은 은나노기술을 보유한 하우젠이 승리할 뿐, 아니라 M/S도 바꿨습니다.
상기와 같이 제품생산시에도 상당한 시나리오와 설정을 통한 고객행태를 반영하는 제품을 생산합니다.(그 어떤 회사든!!!)
제품유통
흔히 보셨던 가전매장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매장에서는 다양한 소비자행동연구와 분석/적용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계속 드럼을 예로 들겠습니다.(웃자고 하는 이야기 같지만 사실입니다ㅡㅡ;;)
우선 드럼을 집중해서 팔아야겠다고 판단되는 경우(주력연출의 예)
①매장 전면왼쪽에 진열 -이유:사람들의 경우 오른손잡이가 더 많죠? 그럼 오른손잡이들이 축구를 할때는
어느 발로 공을차나요? 당연히 오른발입니다. 주로쓰는 쪽이 더 힘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멈칫하다 좌우 중 방향을 틀어야 한다면, 어디로? 당연히 왼발을 축으로 오른발이 내딛게 됩니다....^^ 그러면 왼쪽 이해되시죠?
②제품상담은 고객의 오른쪽에서 할 것 -이유: 사람은 무의식적으로 급소를 보호합니다. 님이 매장에 들어섰는데, 물건을 사러온 것이긴 하지만, 낯선곳에 낯선사람을 대해야 하는 상황임에 틀림없습니다. 이때 매장의 직원이 님의 심장이 있는 왼쪽에 서게 된다면, 고객은 편안함보다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죠.(대인관계 어디에서든 동일합니다.) 따라서 매장직원들은 오른쪽에서 상담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종 리서치(=외주)를 통한 고객의 의견을 수렴..... -예를 들면 현장리서치를 통한 구매를 한 고객과 그렇지 않은 고객의 비중을 나눠 연령대, 소득수준 그리고 매장에서의 만족도(직원,연출,등)부분을 체크하여 실영업에 반영 매출향상노력하고 있습니다.(물론 결과값에 따라 마케팅의 방향은 재설정되구요)
가장 흔한 해석은 이로고가 그리스 신화에 나타난 꼬리가 두개달린 인어 “사이렌”표현
사이렌이 아름다운 노래로 뱃사람 유혹한것처럼 커피로 고객유혹하겠다는 뜻 내포.
하지만 사이렌은 예전부터 커피운반선에 다는 깃발에 그려졌기 때문에 “커피를 안전하게 수호해온다”는 뜻이 있다는 설명도있다
또 다른 해석은 고대 이집트에서 숭배된 풍요의 여신“이시스”라는 설명도 있다
2. 스타벅스는 시골의 작은 커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