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영어 변천에 대한 소고의 동기 및 목적
Ⅱ. 본론
1. 12C-16C 중세영어의 특성과 변화
1) 중세영어의 성립 배경
2) 중세영어의 특성
3) 음의 변화
(1) 자음의 변화
(2) 모음의 변화
4) 품사의 변화
(1) 문법변화
(2) 명사 굴절
(3) 대명사
(4) 형용사
(5) 부사
(6) 동사
(7) 접두사
(8) 접미사
2. 16C-19C 현대영어의 특성과 변화
1) 초기 현대영어의 성립 배경
2) 현대영어의 특성
3) 음의 변화
(1) 자음의 변화
(2) 모음의 변화
4) 현대영어의 문법과 변화
(1) 명사
(2) 형용사와 부사
(3) 인칭대명사
(4) 관계대명사와 의문대명사
(5) 동사
(6) 인칭과 수의 어미
(7) 전치사와 접속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12C-16C 중세영어의 특성과 변화
1) 중세영어의 성립 배경
2) 중세영어의 특성
3) 음의 변화
(1) 자음의 변화
(2) 모음의 변화
4) 품사의 변화
(1) 문법변화
(2) 명사 굴절
(3) 대명사
(4) 형용사
(5) 부사
(6) 동사
(7) 접두사
(8) 접미사
2. 16C-19C 현대영어의 특성과 변화
1) 초기 현대영어의 성립 배경
2) 현대영어의 특성
3) 음의 변화
(1) 자음의 변화
(2) 모음의 변화
4) 현대영어의 문법과 변화
(1) 명사
(2) 형용사와 부사
(3) 인칭대명사
(4) 관계대명사와 의문대명사
(5) 동사
(6) 인칭과 수의 어미
(7) 전치사와 접속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 hn, hr/이 /h/의 탈락으로 /l, n, r,/로 단음화 하였고, /hw/도 /w/가 되었고, 또 hit>it도 h(/s/) 14세기경 /t/앞에서 소실되었다. 그 예로 bright> brite, 고대 영어/mb/는 /b/가 탈락되어 /m/으로 쓰였다. 또 /j/는 /i/앞에서 탈락하였다. 접두사 ge-에서 보면 eboren>ibore.
아홉째, 어두의 /f, s, / 발음이 유성음화 되어 /v, z, o/로 되었다. 어중에서도 /f, s, / 가 /v, z, o/로 되어 후자는 새로운 음소로 독립되었다. 예로 wif>wives.
열번째, 14세기 말 복수 어미 또는 소유격 어미 -es도 유성음화 되었고, is, has, was의 s도 유성화 되었다.
열한번째. 고대 영어의 /o/가 중세 영어에서 /d/로 변하는 경우와 반대현상도 일어났다. 그예로 faeom>fadme, weder>weather.
(2) 모음의 변화
첫째, 중세 영어 모음 중 장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중 문자 ee(queen), oo(food)를 자주 사용하였다.
둘째, 단음 u는 중세 영어 후기에 m, n, u(v,w)가 근접해 있는 경우에 흔히 o로 쓰였다. come(OE cuman), wonder(OE wunder), tongue(OE tunge),
셋째, 프랑스어 철자 ou는 14세기 영어 장음 u-, 즉 예로는 hous(hs)로 표시하였다.
넷째, 중세 영어 필사생은 반모음 [y]애 대해 y를 사용했고, 읽기 쉽도록 m, n 같은 문자에 접근해 있을 때는 i의 이철로도 쓰였다. 예로 myn homcomynge(my home coming). 중세 영어 후기에 장음 i에 대해 y를 쓰는 경향이 있다. w는 또한 어말에서 u대신 사용하게 되었다.
다섯째, 모음의 발음 변화는 자음보다 복잡하다. 단모음 /ae/, /y/는 각각 /a/, /i/로 변했다.
(synn>synne, paet>pat). 장모음 //는
overline
// 로 //
overline y
는 비원순화 되어 /i/로, //는 /
overline
/로 각각 변했다(synn>ston, mys>miss).
여섯째, 고대 영어 시대의 이중모음이 /ea/는 /a/로, /eo/는
overline
//로, /a/는 //로, /o/는 //로 단모음화 되었다 feallan> fallan, heofon>heven, stream>streme.
일곱째, 중세 영어에 새로 이중모음이 생겼다. /u/를 제2요소를 갖는다 /aul/ awl, /eu/ newe, /u/ snau. /i/를 제 2요소로 갖는 이중모음도 있었다 /ai/ daei, /i/ wei, hei, wei, hei, /ei/ heih.
여덟째, 비강세 모음의 수평화(the leveling of unstresd vowels) 현상으로 영어의 굴절이 사라지고 오늘날과 같은 분석적 언어가 되었다. 즉 비강세 위치에 있는 고대영어의 모음 a, o, u가 중세 영어에서 모두 약화되어 e //가 되었다. 예들은 lama(lame)>lme, nacod(naked)>nked,sunu(son)>sune. 이 수평화된 어말의 //(schwa)는 북부지방에서 13세기에 그리고 중부나 남부에서는 그 후에 사라져 버렸다.
4) 중세영어의 문법과 변화
(1) 문법변화
중세 영어의 특징은 굴절의 약화이다. 즉 모음의 수평화, 어말의 //의 소실, 유추현상 때문이다. 즉 북구인의 언어나 노르만인의 언어는 사실 같은 인구어로서 서로 유사하기 때문에 영어가 이들 언어와 접촉함으로써 유추에 의해 굴절이 단순화되었다.
형용사 어미 -a와 -e가 모두 -e로 융합되었고, 고대 영어 약변화 형용사 어미 -an와 -um도 -en으로 융합되었다. 그리고 -ena, -ra도 -ene와 -re로 다시 -e로 되었다. 동사어미 -an, -on, -en이 모두 -en으로 된후에 -n이 사라져 현대 영어에서 부정형이나 과거, 과거분사의 의미가 없는 모양이 되었다. 명사도 -as, -es> -es로 -eo, -ao>-eth로 되었다.
Albert C.baugh,『영어발달사』,김순신 역, 한신문화사,1994.
언어가 다른 나라말에서 낱말은 빌려오되 문법은 빌려 오지 않는다는 것이 일반적인 관찰이다. 그러나 중세영어 문법에 있어 참으로 중요한 발달인 굴절의 쇠퇴와 형태의 혼란은 노르만 정복이 그런 변화에 유리한 조건을 초래했다는 점에 한해서만 정복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영어를 무식한 사람들의 언어로 만듦으로써 노르만 정복은 문법적인 변화가 방해없이 진행되도록 길을 터주었던 것이다.
(2) 명사굴절
명사 가운데서 고대 영어에서 구별 되었던 여성 단수 주격 -u가 복수 주격 -a와 융합하게 되었다. 단수 denu(valley)와 복수 dena(valleys)는 중세 영어 dne(어미-e)로 되었다. 또 약화된 -es가 일반적인 복수어미가 되었고 소유격어미 역시 -es로되어 현재에 사용된다. 여성 명사와 -r로 끝나는 인척 관계의 명사(-s없는 속격)는 이 시기에 그대로 남아 있었다.
오늘날까지 -s복수를 갖지 않은 명사들이 포함된다. 예로는 oxen, deer, feet이있다. 중세 영어에는 그후 사라져 버렸지만 -(e)n으로 끝나는 약변화 복수가 또한 많이 남아 있었다. 예로 eyen(eyes). 고대 영어에서 종성이었던 일부 장음절어는 불변화 복수형으로 나타났다. 특히 sheep, deer, hors같은 동물 명칭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중 가장 지속적인 것은 모음변이의 복수다. 그예로 men, feet, geese,teeth, mice.
결론적으로 명사는 복수와 소유격에는 -s를 사용하고 그 밖의 격에서는 -s가 없는 두가지 형태로 축소되었다. 이 외의 모든 격의 어미는 상실했다. 따라서 문법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서 전치사, 접속사 같은 불변화사(particle)가 필요하게 되었고 어순히 고정되었다.
(3) 대명사
인칭 대명사
는 고대 영어의 굴절을 거의 유지하고 있었다. 각각 다른 성과 격에 대하여 별개의 형태가 있어야 할 필요성이 더 커졌고 따라서 고대영어에 존재하였던 구별의 대부분은 보유됐다. 그러나 여격(與格)[여ː
아홉째, 어두의 /f, s, / 발음이 유성음화 되어 /v, z, o/로 되었다. 어중에서도 /f, s, / 가 /v, z, o/로 되어 후자는 새로운 음소로 독립되었다. 예로 wif>wives.
열번째, 14세기 말 복수 어미 또는 소유격 어미 -es도 유성음화 되었고, is, has, was의 s도 유성화 되었다.
열한번째. 고대 영어의 /o/가 중세 영어에서 /d/로 변하는 경우와 반대현상도 일어났다. 그예로 faeom>fadme, weder>weather.
(2) 모음의 변화
첫째, 중세 영어 모음 중 장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중 문자 ee(queen), oo(food)를 자주 사용하였다.
둘째, 단음 u는 중세 영어 후기에 m, n, u(v,w)가 근접해 있는 경우에 흔히 o로 쓰였다. come(OE cuman), wonder(OE wunder), tongue(OE tunge),
셋째, 프랑스어 철자 ou는 14세기 영어 장음 u-, 즉 예로는 hous(hs)로 표시하였다.
넷째, 중세 영어 필사생은 반모음 [y]애 대해 y를 사용했고, 읽기 쉽도록 m, n 같은 문자에 접근해 있을 때는 i의 이철로도 쓰였다. 예로 myn homcomynge(my home coming). 중세 영어 후기에 장음 i에 대해 y를 쓰는 경향이 있다. w는 또한 어말에서 u대신 사용하게 되었다.
다섯째, 모음의 발음 변화는 자음보다 복잡하다. 단모음 /ae/, /y/는 각각 /a/, /i/로 변했다.
(synn>synne, paet>pat). 장모음 //는
overline
// 로 //
overline y
는 비원순화 되어 /i/로, //는 /
overline
/로 각각 변했다(synn>ston, mys>miss).
여섯째, 고대 영어 시대의 이중모음이 /ea/는 /a/로, /eo/는
overline
//로, /a/는 //로, /o/는 //로 단모음화 되었다 feallan> fallan, heofon>heven, stream>streme.
일곱째, 중세 영어에 새로 이중모음이 생겼다. /u/를 제2요소를 갖는다 /aul/ awl, /eu/ newe, /u/ snau. /i/를 제 2요소로 갖는 이중모음도 있었다 /ai/ daei, /i/ wei, hei, wei, hei, /ei/ heih.
여덟째, 비강세 모음의 수평화(the leveling of unstresd vowels) 현상으로 영어의 굴절이 사라지고 오늘날과 같은 분석적 언어가 되었다. 즉 비강세 위치에 있는 고대영어의 모음 a, o, u가 중세 영어에서 모두 약화되어 e //가 되었다. 예들은 lama(lame)>lme, nacod(naked)>nked,sunu(son)>sune. 이 수평화된 어말의 //(schwa)는 북부지방에서 13세기에 그리고 중부나 남부에서는 그 후에 사라져 버렸다.
4) 중세영어의 문법과 변화
(1) 문법변화
중세 영어의 특징은 굴절의 약화이다. 즉 모음의 수평화, 어말의 //의 소실, 유추현상 때문이다. 즉 북구인의 언어나 노르만인의 언어는 사실 같은 인구어로서 서로 유사하기 때문에 영어가 이들 언어와 접촉함으로써 유추에 의해 굴절이 단순화되었다.
형용사 어미 -a와 -e가 모두 -e로 융합되었고, 고대 영어 약변화 형용사 어미 -an와 -um도 -en으로 융합되었다. 그리고 -ena, -ra도 -ene와 -re로 다시 -e로 되었다. 동사어미 -an, -on, -en이 모두 -en으로 된후에 -n이 사라져 현대 영어에서 부정형이나 과거, 과거분사의 의미가 없는 모양이 되었다. 명사도 -as, -es> -es로 -eo, -ao>-eth로 되었다.
Albert C.baugh,『영어발달사』,김순신 역, 한신문화사,1994.
언어가 다른 나라말에서 낱말은 빌려오되 문법은 빌려 오지 않는다는 것이 일반적인 관찰이다. 그러나 중세영어 문법에 있어 참으로 중요한 발달인 굴절의 쇠퇴와 형태의 혼란은 노르만 정복이 그런 변화에 유리한 조건을 초래했다는 점에 한해서만 정복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영어를 무식한 사람들의 언어로 만듦으로써 노르만 정복은 문법적인 변화가 방해없이 진행되도록 길을 터주었던 것이다.
(2) 명사굴절
명사 가운데서 고대 영어에서 구별 되었던 여성 단수 주격 -u가 복수 주격 -a와 융합하게 되었다. 단수 denu(valley)와 복수 dena(valleys)는 중세 영어 dne(어미-e)로 되었다. 또 약화된 -es가 일반적인 복수어미가 되었고 소유격어미 역시 -es로되어 현재에 사용된다. 여성 명사와 -r로 끝나는 인척 관계의 명사(-s없는 속격)는 이 시기에 그대로 남아 있었다.
오늘날까지 -s복수를 갖지 않은 명사들이 포함된다. 예로는 oxen, deer, feet이있다. 중세 영어에는 그후 사라져 버렸지만 -(e)n으로 끝나는 약변화 복수가 또한 많이 남아 있었다. 예로 eyen(eyes). 고대 영어에서 종성이었던 일부 장음절어는 불변화 복수형으로 나타났다. 특히 sheep, deer, hors같은 동물 명칭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중 가장 지속적인 것은 모음변이의 복수다. 그예로 men, feet, geese,teeth, mice.
결론적으로 명사는 복수와 소유격에는 -s를 사용하고 그 밖의 격에서는 -s가 없는 두가지 형태로 축소되었다. 이 외의 모든 격의 어미는 상실했다. 따라서 문법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서 전치사, 접속사 같은 불변화사(particle)가 필요하게 되었고 어순히 고정되었다.
(3) 대명사
인칭 대명사
는 고대 영어의 굴절을 거의 유지하고 있었다. 각각 다른 성과 격에 대하여 별개의 형태가 있어야 할 필요성이 더 커졌고 따라서 고대영어에 존재하였던 구별의 대부분은 보유됐다. 그러나 여격(與格)[여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