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시대구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사시대구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어사시대구분의 필요성
2. 국어사의 시대구분에 대한 여러 견해
1) 외사의 구분을 통한 시대구분
2) 언어사실에 입각하여 시대구분하는 견해
3. 국어사 시대구분의 차이에 나타나는 배경적 요소들

본문내용

중요시하는 태도들과 달리 임진란 이전 시기에 소위 임란 이후의 언어변화라고 하는 것들이 이루어졌기에 임진란에 절대적 비중을 둔 태도를 거부하며 16세기를 중세와 근대국어의 과도기로 본다. 그 구분은 다음과 같은데 내사- 원근법적 시대구분이라 부를 수 있다.
(국어의 형성)- 고대국어- 전기중세국어- 후기중세국어- 근대국어- 현대국어
(신라어) (10-14세기) (15-16세기) (17-19세기) (20세기~)
이 시대구분은 고대국어를 신라어로 한정한 점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기문 교수는 고구려어의 특징을 밝히는 등 나름대로 고구려, 백제어 등에 대해서도 기술을 베풀고 그 층위를 한국어의 전층에 간직한 것으로 기술하고 있으니, 광의의 국어에 이들이 포함됨을 밝혔고, 고
대국어 단원 앞인 국어의 형성 단원에서도 상세히 밝히고 있다.
이기문의 견해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겠다.
(2) 이기문- 1961, 國語史槪設
국어사의 시대구분은 그 대부분이 언어사의 시대구분 방법론을 결하고 있어, 정치사적인 것이 아니면 문화사적인 것이었다. 또한 고어를 세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왕조의 이름을 따서 신라어, 고려어, 이조어라 하였으나 이는 정치사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런데 언어는 점진적으로 계속적으로 진화하는 것이므로, 그 역사를 어느 시점에서 분명히 구획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러므로 언어사상의 특기할 만한 대사건의 존재는 시대구분에 편의를 제공하며, 이러한 사건을 계기로 시대구분을 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원칙하에서 다음과 같은 시대구분이 이루어졌다.
고대국어
중세국어 전기; 고려초- 훈민정음 이전
중세국어 후기; 훈민정음 편찬- 16세기 말
근대국어 전기; 17세기 초- 18세기 푸반(영조시대까지)
근대국어 후기; 그후
(현대국어)
이상의 각 시대에는 간략한 언어사적 특징이 제시되어 있다. 중세국어의 특징으로는 음소 z와 b, 어두자음군 및 된소리의 발달을 들고 있으며, 근대국어의 특징으로서는 중세국어의 특징이 모두 없어졌다는 점과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등을 들고 있다.
이로써 이기문에 나타난 시대구분은 언어사를 토대로 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다만 각 시대의 특징으로 제시된 주요 내용이 음운론적인 항목들이라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위와 같은 시대구분은 일단 음운사적 기준에 상당한 비중이 놓여있었던 것으로 판단되기도 한다.
다음으로 살펴볼 것은 박병채(1989)의 견해이다. 지금까지의 국어사의 시대구분에서 고대국어에 대해서만은 고대라는 개념의 포괄성 때문에 많은 이들이 삼국의 언어를 다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이기문 교수의 설정이 일반화된 지금 박병채는 이와 다른 특이한 시대구분으로는 고대를 넓게 설정하고 있다.
(3) 박병채-1989, 국어발달사
국어의 역사적 기술에 있어서 우선 고려되어야 할 것은 왕조사적 시대구분을 과감히 탈피하는 일이다. 언어의 외적인 요인인 왕조의 교체라는 전환점에 기준을 둘 때, 정작 핵심이 되는 언어의 내적 요인에서 오는 변화의 실상이 흐려질 염려가 있기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2.11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00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