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치료대상 및 방법
Ⅲ. 보건소 방문 만성질환자들의 보완요법 이용률
Ⅳ. 분석 및 고찰
Ⅴ. 요약 및 결론
참고 문헌
Ⅰ. 서 론
Ⅱ. 치료대상 및 방법
Ⅲ. 보건소 방문 만성질환자들의 보완요법 이용률
Ⅳ. 분석 및 고찰
Ⅴ. 요약 및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보완요법을 이용하였다.
가장 많이 이용한 보완요법을 종류별로 보면 침술이 47.0%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그 다음이 한약(26.3%), 건강보조기구(21.8%), 민간요법(21.4%), 물리치료(9.5%), 건강보조식품(8.4%), 약초(7.7%), 수지침(3.2%), 단전호흡(1.1%), 기공치료(0.7%)의 순이었다.
보완요법을 이용한 장소로는 한의원이 42.8%로 가장 많았고, 이용한 이유로서는 치료를 위해서가 61.8%, 증상완화가 26.0%로 대부분의 환자들이 치료와 증상완화를 위해서 이용하였으며, 지난 1년간 보완요법 이용에 지출한 비용은 9만원 이하가 40.3%로 가장 많았고, 50만원 이상도 31.2%이었다.
보완요법 이용 후 56.1%가 만족하다고 대답했고, 6.0%는 부작용을 경험했다고 하였다. 보완요법을 이용한 사람들의 74.0%가 계속 이용하겠다고 하였으며, 56.1%는 다른 사람에게 권유할 의향이 있다고 하였다.
정통의료와 비교한 보완요법의 이점으로는 33.5%가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준다, 21.2%는 몸을 보호해 준다, 19.2%가 효과가 좋다라고 하였다. 또한 조사대상자 가운데 보완요법에 대한 교육을 희망하는 사람은 34.0%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볼 때 만성질환자들의 상당수(47.5%)가 지난 1년간 자신들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보완요법을 이용하였고, 비록 부작용 경험률이 6.0%정도 되지만 보완요법에 대한 만족도가 비교적 높고, 계속적으로 이용할 의사가 높기 때문에 보건기관이나 의료인들의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되며, 부작용이 없고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보완요법 프로그램 개발에 노력을 기울려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보안요법의 효능를 확인하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하고, 적절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참고 문헌
오홍근. 대체의학 시술의 국내현황. 대한의사협회지 1998;41(12):1222-1228
김태환: 미국의 대체의학 연구현황. 대한의사협회지, 41(12):1229-1232, 1998.
김석범: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전략개발을 위한 심포지움, 쪽 135-160, 1999.
남문석, 김경래, 조재화, 이경미, 박현영: 설문조사에 의한 성인 당뇨병 환자의 민간요법실태. 당뇨병, 18(3):242-248, 1994.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1996.
박종구, 김춘배, 최서영, 김달래, 전세일, 이선동, 이종찬, 강명근, 조경숙: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시론: 세계의 동향과 보건정책적 시사. 보건행정학회지, 10(1):1-30, 2000. 송미숙, 전기홍, 송현종, 박인휘, 유승철: 수원시 주민의 대체의학 수용실태 조사. 예방의학회지, 32(2):162-169, 1999.
손행미: 만성질환자의 대체요법 촉구경험: 자기몸 다스림 관점.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오홍근: 대체의학 시술의 국내현황. 대한의사협회지, 41(12):1222-1228, 1998.
오홍근: 대체의학. 한국대체의학회지, 1(1):6-13, 1998.
유왕근: 서구 각국의 대체의료에 관한 연구동향: 미국을 중심으로 .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5(2):235-256, 1998.
이은옥 등: 관절염환자의 자기관리. 신광출판사, 서울, 1999.
이여진: 만성질환자의 대체요법 이용실태조사연구.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9.
이건세: 우리나라 환자의 대체의학 이용현황. 대한의사협회지, 41(12):1233-1242, 1998.
이정권: 대체의학 현실과 과제. 대한의사협회지, 40:1203-1206, 1997.
이정권: 대체의학에 대한 의사의 태도. 대한의사협회지, 41(12):1239-1242, 1998.
정양수: 일반인의 대체의료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7.
정유석, 박일환, 유선미, 김기성, 정혜원 등: 고혈압환자의 전통의학 및 민간요법 이용: 천안진료중심 연구망 내원환자 분석. 가정의학회지, 19(2):141-148, 1998.
정연강, 백미현, 백경아: 직장여성의 향기요법에 관한 주관성 연구. 대한간호, 39(5):75-85, 2000.
지역사회간호학회 출판 편찬위원회: 보건학 강좌. 수문사, 서울, 1992.
최윤정, 정해원, 최수용: 일부 병원에 내원한 암환자들의 대체의학 사용에 관한 연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4(1):167-181, 1998.
홍해걸: 언론기관 종사자들의 대체의료에 관한 인식도 및 신뢰도 조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보건대학원, 199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인의 건강과 의료이용실태: 1995년도 국민건강 및 보건의식행태조사. 1995.
Berman BM, Singh BK, Kao L, Singh BB, Ferentz KS, Hartnoll SM: Physicians attitude toward complementary or alternative medicine; A regional survey. J Am Board Fam Pract, 39 : 545 - 550, 1995.
Eisenberg DM, Kessler RG, Foster C: Unconventional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New England J Medicine, 328:246-252, 1993.
Fisher P, Ward A: Complementary medicine in Europe. BMJ, 309:107-111, 1994.
Gordon JS: Alternative medicine and the family physician. American Family physician, 54:2205-2212, 1996.
Jonas WB: Alternative medicine. Journal of Family Practice, 45:34-37, 1997.
MacLennan AH, Wilson DH, Taylor AW: Prevalence and cost of alternative medicine in Australia. Lancet, 347:569-573, 1996.
가장 많이 이용한 보완요법을 종류별로 보면 침술이 47.0%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그 다음이 한약(26.3%), 건강보조기구(21.8%), 민간요법(21.4%), 물리치료(9.5%), 건강보조식품(8.4%), 약초(7.7%), 수지침(3.2%), 단전호흡(1.1%), 기공치료(0.7%)의 순이었다.
보완요법을 이용한 장소로는 한의원이 42.8%로 가장 많았고, 이용한 이유로서는 치료를 위해서가 61.8%, 증상완화가 26.0%로 대부분의 환자들이 치료와 증상완화를 위해서 이용하였으며, 지난 1년간 보완요법 이용에 지출한 비용은 9만원 이하가 40.3%로 가장 많았고, 50만원 이상도 31.2%이었다.
보완요법 이용 후 56.1%가 만족하다고 대답했고, 6.0%는 부작용을 경험했다고 하였다. 보완요법을 이용한 사람들의 74.0%가 계속 이용하겠다고 하였으며, 56.1%는 다른 사람에게 권유할 의향이 있다고 하였다.
정통의료와 비교한 보완요법의 이점으로는 33.5%가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준다, 21.2%는 몸을 보호해 준다, 19.2%가 효과가 좋다라고 하였다. 또한 조사대상자 가운데 보완요법에 대한 교육을 희망하는 사람은 34.0%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볼 때 만성질환자들의 상당수(47.5%)가 지난 1년간 자신들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보완요법을 이용하였고, 비록 부작용 경험률이 6.0%정도 되지만 보완요법에 대한 만족도가 비교적 높고, 계속적으로 이용할 의사가 높기 때문에 보건기관이나 의료인들의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되며, 부작용이 없고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보완요법 프로그램 개발에 노력을 기울려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보안요법의 효능를 확인하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하고, 적절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참고 문헌
오홍근. 대체의학 시술의 국내현황. 대한의사협회지 1998;41(12):1222-1228
김태환: 미국의 대체의학 연구현황. 대한의사협회지, 41(12):1229-1232, 1998.
김석범: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전략개발을 위한 심포지움, 쪽 135-160, 1999.
남문석, 김경래, 조재화, 이경미, 박현영: 설문조사에 의한 성인 당뇨병 환자의 민간요법실태. 당뇨병, 18(3):242-248, 1994.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1996.
박종구, 김춘배, 최서영, 김달래, 전세일, 이선동, 이종찬, 강명근, 조경숙: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시론: 세계의 동향과 보건정책적 시사. 보건행정학회지, 10(1):1-30, 2000. 송미숙, 전기홍, 송현종, 박인휘, 유승철: 수원시 주민의 대체의학 수용실태 조사. 예방의학회지, 32(2):162-169, 1999.
손행미: 만성질환자의 대체요법 촉구경험: 자기몸 다스림 관점.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오홍근: 대체의학 시술의 국내현황. 대한의사협회지, 41(12):1222-1228, 1998.
오홍근: 대체의학. 한국대체의학회지, 1(1):6-13, 1998.
유왕근: 서구 각국의 대체의료에 관한 연구동향: 미국을 중심으로 .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5(2):235-256, 1998.
이은옥 등: 관절염환자의 자기관리. 신광출판사, 서울, 1999.
이여진: 만성질환자의 대체요법 이용실태조사연구.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9.
이건세: 우리나라 환자의 대체의학 이용현황. 대한의사협회지, 41(12):1233-1242, 1998.
이정권: 대체의학 현실과 과제. 대한의사협회지, 40:1203-1206, 1997.
이정권: 대체의학에 대한 의사의 태도. 대한의사협회지, 41(12):1239-1242, 1998.
정양수: 일반인의 대체의료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7.
정유석, 박일환, 유선미, 김기성, 정혜원 등: 고혈압환자의 전통의학 및 민간요법 이용: 천안진료중심 연구망 내원환자 분석. 가정의학회지, 19(2):141-148, 1998.
정연강, 백미현, 백경아: 직장여성의 향기요법에 관한 주관성 연구. 대한간호, 39(5):75-85, 2000.
지역사회간호학회 출판 편찬위원회: 보건학 강좌. 수문사, 서울, 1992.
최윤정, 정해원, 최수용: 일부 병원에 내원한 암환자들의 대체의학 사용에 관한 연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4(1):167-181, 1998.
홍해걸: 언론기관 종사자들의 대체의료에 관한 인식도 및 신뢰도 조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보건대학원, 199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인의 건강과 의료이용실태: 1995년도 국민건강 및 보건의식행태조사. 1995.
Berman BM, Singh BK, Kao L, Singh BB, Ferentz KS, Hartnoll SM: Physicians attitude toward complementary or alternative medicine; A regional survey. J Am Board Fam Pract, 39 : 545 - 550, 1995.
Eisenberg DM, Kessler RG, Foster C: Unconventional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New England J Medicine, 328:246-252, 1993.
Fisher P, Ward A: Complementary medicine in Europe. BMJ, 309:107-111, 1994.
Gordon JS: Alternative medicine and the family physician. American Family physician, 54:2205-2212, 1996.
Jonas WB: Alternative medicine. Journal of Family Practice, 45:34-37, 1997.
MacLennan AH, Wilson DH, Taylor AW: Prevalence and cost of alternative medicine in Australia. Lancet, 347:569-573, 1996.
추천자료
- 적혈구와 백혈구와 관련된 질환
- 각종 성인병들의 원인, 증상 및 예방책
- 아토피 피부염 증상 및 치료와 예방
- [암][암 증상][암 치료][암 예방][항암][항암치료][암의 정의][암의 종류][암의 발생원인][암...
- [근골격계질환][직업병]근골격계질환의 개념, 근골격계질환의 특징, 근골격계질환과 근골격계...
- 당뇨병과 식사요법
- [간호학]만성신부전캐이스
- 호흡기질환(호흡기장애) 폐결핵과 폐렴, 호흡기질환(호흡기장애) 폐암, 호흡기질환(호흡기장...
- [소화기질환, 식도염, 소화성궤양, 간염, 식이섬유, 소화기, 궤양, 병태생리]소화기질환과 식...
- [만성통증, 만성통증 개념, 만성통증 환자평가, 만성통증 재활중재, 만성통증 재활치료]만성...
- 치매 (치매란? , 치매의 원인, 알츠하이머병 치매, 혈관성 치매, 임상증상, 합병증, 진단검사...
- [심부전증] 심부전의 원인과 증상 및 합병증, 심부전 치료방법(생활요법, 약물요법, 식사요법...
- [식사요법] 식사요법(식이요법)의 의의(정의), 올바른 식사지침 및 식사구성(식단구성)
- [간호학] 비뇨기계 염증성 질환 대상자의 간호 (신우신염 방광염 요관 및 요도염 사구체 신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