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PICC
2. Hickman cath.
3. Chemo port
4. C - line
2. Hickman cath.
3. Chemo port
4. C - line
본문내용
터와 정맥관 사이 연결부위에 있 는 접착테이프로 교환한다.
드레싱 위에 드레싱 교환 날짜를 기록하고 물품을 정리한 뒤 손을 씻고 피부 상태, 드 레싱의 종류 및 방법을 기록한다.
합병증 종류
원인 및 증상
예 방
기흉(Pneumthorax)
혈흉(Hemothorax)
-바늘 삽입 시 늑막이나 혈관파열로 인해 발생
-호흡곤란, 기침, 흉통
카테터 위치를 X-ray로 확인
감 염
-침습적 절차로 인한 감염의 가능성 있음. 특히 터널형, 이식형 포트에 생기는 감염은 심각한 문제를 유발한다.
삽입 시 철저한 무균술의 수행과 삽입 부위의 드레싱 교환, 수액세트 교환으로 감염의 가능성을 줄임
공기 색전증
(air embolism)
-카테터 삽입 중 혹은 제거 시에 발생
-흉통, 저산소증, 무호흡, 빈맥, 저혈압
대상자의 자세를 트렌데렌버그 체위를 취해주고 발살바수기를 사용함으로써 중심정맥압을 높임으로써 예방할 수 있음.
만약 발생하면 대상자의 머리를 낮추며 좌측위로 20~30분 동안 있게 하는데 이는 공기를 우심방에 위치하게 하며 심막천자를 통해 이를 제거함
★★(7)중심 정맥관의 합병증
cf> air embolism >허파안의 실핏줄 속으로 공기가 들어가고 이 기포들이 혈관을 따라 심장으로 들어갔다가 다시 뇌동맥으로 들어가 거기에서 기포들이 모여 커지면서 뇌동맥을 막게 된다.
이렇게 공기 기포들이 뇌동맥을 막아 뇌로 산소공급이 중단되거나 방해받는 것이 공기 색전증
(8)중심정맥관 Lumen
중심 정맥 관에는 Lumen이 1개에서 3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는 약물 투약, 채혈의 목적에 따라 그 사용 용도가 다르다. 보통 사용되는 것이 2-way Lumen이다. 갈색과 흰색으로 구분되는데, 갈색은 큰 혈관과 연결되고 흰색은 얇은 혈관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갈색 lumen은 채혈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흰색 lumen은 주로 약물투여에 이용된다.
①채혈 : 손을 씻고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한다. 헤파린 캡을 소독 한 후 무균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헤파린 캡을 열고 lumen의 수액을 5cc정도 버린 후 새 주사기로 원하는 양의 채혈을 한다. 그리고 무균적으로 생리식염수를 주입(flush)한 후 헤파린 희석액 4cc를 넣는다. 혈액을 채취할 때는 양쪽 lumen으로 들어가는 수액을 모두 잠근 후 채혈하고 반드시 생리식염수 주입 후에 주입하던 수액을 연결한다.
②투여 : 항암제, 항생제, TPN의 지속적 투여
드레싱 위에 드레싱 교환 날짜를 기록하고 물품을 정리한 뒤 손을 씻고 피부 상태, 드 레싱의 종류 및 방법을 기록한다.
합병증 종류
원인 및 증상
예 방
기흉(Pneumthorax)
혈흉(Hemothorax)
-바늘 삽입 시 늑막이나 혈관파열로 인해 발생
-호흡곤란, 기침, 흉통
카테터 위치를 X-ray로 확인
감 염
-침습적 절차로 인한 감염의 가능성 있음. 특히 터널형, 이식형 포트에 생기는 감염은 심각한 문제를 유발한다.
삽입 시 철저한 무균술의 수행과 삽입 부위의 드레싱 교환, 수액세트 교환으로 감염의 가능성을 줄임
공기 색전증
(air embolism)
-카테터 삽입 중 혹은 제거 시에 발생
-흉통, 저산소증, 무호흡, 빈맥, 저혈압
대상자의 자세를 트렌데렌버그 체위를 취해주고 발살바수기를 사용함으로써 중심정맥압을 높임으로써 예방할 수 있음.
만약 발생하면 대상자의 머리를 낮추며 좌측위로 20~30분 동안 있게 하는데 이는 공기를 우심방에 위치하게 하며 심막천자를 통해 이를 제거함
★★(7)중심 정맥관의 합병증
cf> air embolism >허파안의 실핏줄 속으로 공기가 들어가고 이 기포들이 혈관을 따라 심장으로 들어갔다가 다시 뇌동맥으로 들어가 거기에서 기포들이 모여 커지면서 뇌동맥을 막게 된다.
이렇게 공기 기포들이 뇌동맥을 막아 뇌로 산소공급이 중단되거나 방해받는 것이 공기 색전증
(8)중심정맥관 Lumen
중심 정맥 관에는 Lumen이 1개에서 3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는 약물 투약, 채혈의 목적에 따라 그 사용 용도가 다르다. 보통 사용되는 것이 2-way Lumen이다. 갈색과 흰색으로 구분되는데, 갈색은 큰 혈관과 연결되고 흰색은 얇은 혈관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갈색 lumen은 채혈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흰색 lumen은 주로 약물투여에 이용된다.
①채혈 : 손을 씻고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한다. 헤파린 캡을 소독 한 후 무균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헤파린 캡을 열고 lumen의 수액을 5cc정도 버린 후 새 주사기로 원하는 양의 채혈을 한다. 그리고 무균적으로 생리식염수를 주입(flush)한 후 헤파린 희석액 4cc를 넣는다. 혈액을 채취할 때는 양쪽 lumen으로 들어가는 수액을 모두 잠근 후 채혈하고 반드시 생리식염수 주입 후에 주입하던 수액을 연결한다.
②투여 : 항암제, 항생제, TPN의 지속적 투여
추천자료
간호사국가고시- 아동간호학 총정리
[성인간호학] 심부정맥혈전증(DVT)
[간호학]신생아중환자실Check list
모성 간호학 간호사 국가고시 총정리
[아동간호학] 아동의 통증관리
[간호학특론B]중산층과 빈곤층 각 1인씩 총 2인을 선정하여 과제유형에 따라 사례분석하시오 ...
[정신간호학] 간호진단 7개 모음 !!
[아동간호학] 고위험신생아 case study 간호과정
[지역사회간호학] Chapter2. 지역사회 간호과정 요약 정리
[정신간호학][Mental retardation][정신지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간호학개론] 간호와 철학 (간호의개념, 간호의 영역, 철학이란 무엇인가, 간호의 철학적 접근)
[아동간호학] 크룹 케이스 스터디 croup case study (일반적 사항, 병력, 크루프(Croup) 질병...
[아동간호학] <유아 학령전기 인지발달비교> 유아와 학령전기아동의 인지발달 비교 - 피아제(...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성장과 발달의 이론 - 학습이론(행동주의이론, 사회학습이론), 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