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케이스-중풍케이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방케이스-중풍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망문문절

★ 주된 증상

★ 치료 방향

★ 설진 맥진 체질분류

★ 환자의 기대 수준

★ 침 요법

★ 복약 간호

★ 중풍 환자의 식사 요법

★ 섭생 지도

★ 물리치료

★ 중풍 환자의 간호 관리

본문내용

가운 과일 등도 삼가야 한다.
(7) 약재에 따른 금기 음식
① 감초 - 돼지, 생배추, 해초류
② 길경, 오매, 오수유 - 돼지
③ 단사, 경분 - 모든 피, 잉어
④ 단삼, 복령, 복신 - 식초, 모든 신맛의 음식
⑤ 당귀 - 물기 많은 가루 음식(국수등)
⑥ 맥문동 - 붕어, 도미
⑦ 목단피 - 마늘, 호유( 고수 열매)
⑧ 박하 - 자라고기
⑨ 반하, 창포 - 염소, 양, 엿
⑩ 백출, 창출 - 참새고기, 청어, 배추, 복숭아, 자두
⑪ 부자 오두 - 메주, 좁쌀
⑫ 별갑 - 비름나물
⑬ 세신 , 여로 - 모든 고양이와 짐승의 고기, 생채
⑭ 소엽, 천문동, 용골 - 잉어
⑮ 우슬 - 쇠고기
★ 중풍 환자의 식사 요법
(1) 영양학적 식사 요법
인간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관심사는 양호한 상태의 건강 유지이며 이것은 우리가 섭취하고 있는 음식들과 깊은 관계가 있다. 즉, 몸속에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사용되어 생명을 유지시켜 주고 건강을 증진시켜주는 영양소의 식품 구성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중풍을 일으킬수 있는 영양소로는 나트륨, 포화 지방. 콜레스테롤, 중성지방등이 있다. 이들은 주로 우리몸에 필요한 성분들이지만 과량 섭취시에는 고혈압과 같은 성인병 병발의 위험이 따른다. 특히 중성지방은 과잉 섭취된 열량이 지방으로 전환되어 체내에 저장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중간 물질로 과량의 당분이나 술이 주요 원인이며 그 외에 비만,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에스트로겐 경구용 피임약 등도 원인이 된다. 중성지방이 너무 많으면 심혈관계 질환 및 췌장염의 병발 위험도 있으므로 혈중 중성지방의 양을 낮추도록 해야한다.
(2) 중풍과 관련된 식인성 만성 질환들
중풍은 고혈압, 동맥 경화, 고지혈증, 당뇨, 비만, 심장병등 대부분의 성인병이 선행되어 발병하는 질환이다.
① 고혈압;
120/80mmHg를 정상으로 보고 140/95mmHg 이상으로 높은 상태가 계속 되는
경우를 고혈압이라고 한다. 고혈압은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침묵의 살인
자”로 불리우며 중풍 및 동맥 경화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는 위험 요인이 된
다. 고혈압을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약물요법과 더불어 체중 조절 및 염분 제한
등의 식사 요법이 있으며 평생 치료를 요하는 고질적인 질환이다
② 동맥 경화;
일종의 혈관 노화 현상으로 동맥 벽이 탄력성을 잃고 굳어지는 것을 말한다. 즉
동맥내벽에 콜레스테롤, 인지질, 등을 함유한 지방성 물질들이 축적 되면서 동맥
이 딱딱해지고 좁아지면서 탄력성을 잃어 혈관을 통한 혈액의 흐름이 줄어드는
위험한 질환이다. 동맥경화의 위험 요인으로는 고혈압, 고지혈증, 흡연이 그 경
중을 가릴 수 없는 3대 요인으로 꼽히고 있으며 따라서 동맥 경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지식과 실천 의지로 위의 위험 요인을 피해야 한다
③ 고지혈증;
체내 지질대사에 이상으로 혈중 지질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진 상태를 말하는 것
으로 고칼로리 식사, 음주, 간기능 장애. 당뇨병, 피임약 복용, 갑상선 기능 저
하. 유전등이 그 원인이 된다. 고지혈증의 치료는 우선 식사 조절을 2~3개월간
해야 하고 효과적이지 못한 경우 약물치룔를 병행해야 하며 혈중 지질이 정상화
되더라도 식사 조절은 계속 해야 한다
④ 당 뇨;
인슐린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인 결핍에 의해 혈액내에 포도당의 농도가 정상
이상으로 높아져서 소변으로 당이 배설되는 만성적인 대사 질환이다. 당질을
비롯하여 지질. 단백질 등의 대사 이상과 함께 신경, 눈, 콩팥을 비롯한 여러 장
기에 합병증을 동반하는 고질적인 질환으로 당뇨병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있는데 유전적인 요인만으로 당뇨병이 생기는 경우 보다는 유전
적 소질이 있는 사람에게 환경적 요인이 가세될때 당뇨벙은 더욱 많이 발생한다
. 환경적 요인으로는 비만, 노화, 외상, 수술, 임신, 스트레스, 운동 부족, 감염증
및 약물 등이 있으며 증상으로는 다음 , 다식, 다뇨의 3다 증상이 있다. 당뇨는
완치되는 병이 아니고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관리를 해야하는 질병으로 당뇨병
에서 식사요법은 가장 기본이며 중요하다.
⑤ 비 만;
우리 몸의 지방 조직 비율이 정상보다 많아진 상태를 말한다. 즉 비만은 체내에
서 소모되는 열량보다 섭취한 음식의 양이 많아 에너지로 사용되고 남은 영양소
들이 지방으로 전환되어 체내에 저장된 상태를 말하며 잘못된 식습관이나 비활
동적인 생활습관, 가족력, 정신장애들에 기인한다.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동맥
경화증 등 여러 질환에 원인이 되므로 규칙적인 운동과 바람직한 식습관을 통하
여 정상 체중을 유지하도록 끊임없이 노력해야한다
⑥ 심장병;
심장은 온몸에 신선한 혈액을 보내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고 노폐물을 거뒤들이
는 생명체의 핵심 기관이다. 이곳에 동맥 경화, 고혈압, 흡연, 잘못된 슥품 섭취
, 스트레스 , 운동부족, 고지혈증 등에 기인하여 혈액 흐름에 장애가 생기는 질
환을 총체적으로 심장 질환이라고 한다. 이는 여러 가지 발병 원인과 더불어 음
식 섭취와도 관련이 있다
(3) 중풍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식사요법 지침
① 정상 체중 유지를 위한 열량 섭취(30~35Kcal/Kg of IBW)
㉠ 표준 체중의 계산과 비만도 판정
남자; 표준 체중=키(m)×키(m)×22
여자; 표준 체중=키(m)×키(m)×21
비만도(%)={(실제 체중-표준체중)/표준체중}×100
비만도가 -10%이하 ;체중 미달
±10%이면 ;정상 체중
+10~20% ;과체중
+20%이상 ; 비만
㉡ 바람직한 체중 조절이란 ;
목표한 표준 체중에 이르기 위해 1주일에 약 0.5Kg정도 체중을 줄이는 것으로 하루 필요 열량 보다 500Kcal정도 적게 섭취 하되 반드시 영야의 규녕을 이루도 록 균형식을 해야 한다. 단기간 동안의 급격한 체중 감소는 체지방의 감소가 아 니라 체내 수분이 빠져 나와 체중이 준 것으로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② 탄수화물의 섭취는
총 섭취 열량의 60%내외로 하고 순수 당질(단음식)의 섭취를 피하도록 한다. 우리나라 식습관은 탄수화물의 섭취가 높아 혈중 중성 지방이 높다. 특히 단순당질(설탕, 사탕, 꿀, 설탕이 첨가된 과자나 케
  • 가격3,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9.03.07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19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