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제자의 원리
1. 초성자
2 중성자

Ⅲ.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

Ⅳ. 결 론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샘슨 교수의 이러한 분류 방법은 세계 최초의 일이며 한글이 세계 유일의 자질 문자로서 가장 우수한 문자임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다 음절 단위로 모아쓰는 문자임을 표현한다면 ‘자질적 음절 문자’라는 용어를 써도 좋을 것이다. 그리하여 지난 1997년 10월 1일, 유네스코에서 우리 나라 훈민정음을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하게 되었다.
아래에서는 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알아보고 한글이 지니고 있는 독창성과 과학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Ⅱ. 제자의 원리
훈민정음 창제시 초성과 중성을 구분하여 각각 별도의 문자를 만듦으로써 모음과 자음이 체계적으로 다른 글자꼴을 가지게 되었고 종성은 초성자를 그대로 쓰기로 하였다. 그리고 제자해 正音二十八字 各象其形而制之(訓民正音解例, 制字解)
에 명시되어 있는 것처럼, 훈민정음 스물여덟 글자의 제자 원리는 상형으로서 각각 그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1. 초성자
(1) 기본자
어금니소리(牙音)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는 꼴을 본떴다.
혓소리(舌音) ㄴ은 혀가 웃잇몸에 붙는 꼴을 본떴다.
입술소리(脣音) ㅁ은 입 꼴을 본떴다.
잇소리(齒音) ㅅ은 이 꼴을 본떴다.
목구멍소리(喉音) ㅇ은 목구멍 꼴을 본떴다. 牙音ㄱ 象舌根閉喉之形
舌音ㄴ 象舌附上根閉喉之形
脣音ㅁ 象口形
齒音ㅅ 象齒形
喉音ㅇ 象喉形 (訓民正音解例, 制字解)
그러나 이것에 대해 김종택, 이현규, 김동소, 권재선, 홍순성, 서보월(형설출판사, 1994) 등은 ㄴ은 혀끝이 웃잇몸에 붙는 꼴을, ㅁ은 입이 (아랫위 입술을 합하는) 꼴을, ㅅ은 혀허리가 이붕(口蓋)에 붙는 꼴을, ㅇ은 입술과 목구멍이 열려 통하는 꼴을 본떴다고 복원한 제자 설명을 정리하고 있다.
(2) 가획자(加劃字)
ㅋ은 ㄱ에 비하여 소리남이 조금 세므로 획을 더했다. ㄴ하고 ㄷ, ㄷ하고 ㅌ, ㅁ하고 ㅂ, ㅂ하 고 ㅍ, ㅅ하고 ㅈ, ㅈ하고 ㅊ, ㅇ하고 ㆆ, ㆆ하고 ㅎ이 그 소리로 말미암아 획을 더하는 뜻이 모 두 같다. ㅋ比ㄱ 聲出稍廣 故加書 ㄴ而ㄷ ㄷ而ㅌ ㅁ而ㅂ ㅂ而ㅍ ㅅ而ㅈ ㅈ而ㅊ ㅇ而ㆆ ㆆ而ㅎ 其因聲加劃之義皆同
(3) 이체자(異體字)
오직 ㆁ만은 다르다.
반혓소리 ㄹ과 반잇소리 ㅿ이 또한 혀와 이의 꼴을 본떴으나 그 몸을 다르게 하고 획을 더하 는 뜻이 없다. 唯ㆁ爲異 半舌音ㄹ 半齒音ㅿ 亦象舌齒之形而異其體 無加劃之義焉(훈민정음해례, 제자해)
2 중성자
(1) 기본자
ㆍ는 혀는 옴추리고 소리는 깊은데, 하늘이 자(子)에 열렸다. 꼴의 둥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1.10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51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