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검사(임상병리검사)의 종류, 정상치, 임상적의의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진단검사(임상병리검사)의 종류, 정상치, 임상적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진단검사 임상적의의
(임상병리검사)


목 록
(각 항목별 검사항목, 검체량, 보관, 검사방법, 참고치, 임상적의의)

1. 요단백
2. Helicobacter pylori
3. 지질, 영양 관련검사
4. 혈액학검사 Hematology
5. 출혈, 혈전 검사
6. 내분비 검사
7. 혈장 단백검사 Plasma Protein
8. 효소검사 Enzyme
9. 일반화학검사
10. 미생물검사 Microbiology
11. 분자유전검사 Molecular Genetics

본문내용

간괴사
LDH
(Lactate dehydrogenase)
S0.5/냉장
LDP-L
230-460U/L
가용성 분획이므로 이 효소 활성이 증가하는 것은 생체내 어느 장기에 세포 파괴가 있어 혈중에 유출되는 것인지를 추정하는데 이용한다. 또한 종양세포에서는 다량의 LD가 생성되기도 하므로 악성종양의 존재 여부를 추정하는데 이용된다.
↑급, 만성 간염, 심근경색, 악성종양(간,담도,췌장, 대장암 등), 백혈병, 신질환, 대아구성 빈혈, 임신, 간괴사, 뇌혈관 장애 등
↓ X-ray radiation, H subunit 결손 및 보인자, 면역억제제 투여
ALP
(Alkaline phosphatase)
S0.5/냉장
IFCC(AMP buffer 이용)
39-117U/L
간, 담도계 질환 및 골질환의 진단
↑급성간염, 간암, 담도암, 골질환, 소아, 임신,성장기 청소년
↓선천성 저 ALP혈증, 갑상선 기능저하증, 악성빈혈, 괴혈병
Amylase
S0.5/냉장
Jensen & Wydeveid method
20-104U/L
RU5.0/냉장
Below 650 U/L
췌장질환에서는 요 Amylaserk 혈청 Amylase 활성 증가보다 정도가 크고 증가 기간도 길다. 타액선 질환에서는 혈청 Amylasw 활성과 요 Amylasw 활성의 증가 정도, 증가 기간이 거의 같아서 혈청 Amylase 활성 정상화와 거의 같은 시기에 요 Amylasw 활성도 정상화된다. 건강인의 2-3%에서 원인 불명의 고 Amylase 혈증을 나타내는 증례가 있다. 이들 증례에 복통이 일어나면 급성 또는 만성췌장염으로 진단이 용이하지만 Amylase isoenzyme 또는 다른 췌장 효소를 측정하여 췌장염과 감별하여야 한다.
혈청 & 뇨 ↑ ; 급만성췌장염, 이하선염, 갑상선기능항진증
혈청 & 뇨 ↓ : 췌장기능저하, 심한 간질환, 항 갑상선제 투어, Macroamylasw 혈증, 신기능부전
혈청↑ : Macroamylase혈증, 신부전, 고타액형 amylase 혈증
Lipase
S0.5/냉동
Enzymatic, colorimetry
13-60U/L
Lipase 는 triglyceride를 가수분해하는 효소로 지방을 분해하여 지방산을 흡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혈중에 유리된 lipase 활동의 변동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췌장의 병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 급성 췌장염, 췌장암, 대장경색, 췌장낭종, 위궤양
↓ 만성췌장염, 췌장전적
CK
(Creatinine Kinase,CPK)
S0.5/냉동
DGKC method
M;0-195
F;0-170U/L
CK-MB(S)
S0.5/냉동
ECLIA
M;below 4.94
F;below 2.88ng/mL
Creatine kinase는 Creatine Phosphokinase(CPK)라고도 하며, creatine phosphate와 ADP로부터 creatine과 ATP를 생성하는 효소이다. 골격근, 심근, 평활근, 뇌 등에 많이 포함되어 그 부위가 손상을 받으면 혈중으로 유출된다. CK 활성 측정은 심근경색의 조기 진단상 가장 유용한 검사이나 혈청CKghkf성은 여러 가지 생리적 인자로 현저하게 변동되므로 이 점을 항상 유의하여야 한다. 임상적으로 AMI(급성심근경색) 증례의 모든 환자에서 혈청 CK활성이 크게 증가한다. 그러나 흉통발작이 있고 CK 활성이 증가하는데도 AMI 아닌 위양성 환자가 있다 즉 CK 활성은 AMI에 대하여 감도가 크지만 특이성은 CK-MB 또는 심전도보다 다소 못한 경우가 있다.
↑근이영양증, 심근경색, 다발성근염, 뇌혈관장애
↓심근경색, 골격근질환
일반화학검사Glucose(P)
전용용기 P1.0/냉동
효소법
70-110mg/dL
Glucose(S)
S5.0/냉장
70-110
소아 ; 60-100 mg/dL
Glucose(U)
24hr U5.0(무방부제)/냉장
Below 0.5g/day
당뇨병(Diabetes mellitus)의 진단
1. 전형적인 증상이 있으며, 혈장 glucose 가 200mg/dL이상
2. Fasting(8시간 no calorie intake) plasma glucose 가 126mg/dL이상
3. 2-h postload plasma glucose 농도가 200mg/dL이상
↑ 당뇨병, 요독증, 갑상선기능항진증, 비만, 임신, 간질환
↓ 간장애, 인슐린 과잉증
Glucose
(Gestational GTT)
전용용기P1.0(무방부제)/냉장
효소법
50g OGTT;1hr<140
100g OGTT ;fasting<105
1hr<190, 2hr<165,
3hr<145 mg/dL
당뇨병은 공복시 혈당이 126mg/dL 이상이고, 식후 2시간 혈당치가 200mg/dL 이상인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하지만 공복 시 혈당이 140mg/dL 이하라도 당대사 이상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당부하시험으로 진단한다.
Fasting ; 110mg/dL 이하
60 min ; 200mg/dL 이하
120 min ; 140mg/dL 이하
↑ 당뇨병, 요독증, 갑상서 기능항진증, 비만, 임신, 간질환
↓ 간장애, 인슐린 과잉증
Bilirubin, total
S0.5/냉장
바나듐산염 산화법
0.2-1.4mg/dL
Direct Bilirubin
0-0.4mg/dL
indirect Bilirubin
계산법
0.2-0.8mg/dL
Bilirubin은 노화 적혈구의 파괴로 생기는 혈색소가 세포내피계에서 만들어진다.
간접(비포화) Bilirubin과 다시 간장에서 glocuronic acid 와 결합하여 직접(포화) Bilirubin이 되고, 담도를 거쳐서 십이지장에서 배설된다.
혈청 Bilirubin농도가 이상을 보이는 기전은 Bilirubin 과잉생산Bilirubin의 간세포 취입장애
microsome 으로의 수송장애 microsome에서의 glucuronic acid 포합장애 간세포에서 담관으로의 배설장애 등이 있다.
Bilirubin, total↑ : 간질환, 폐쇄성화달, 용혈성 빈혈, Gilbert 증후군
Direct Bilirubin↑ : 급성간염, 비대상성 간경변, 간암, 전격성간염, 급성 지방간, 원발성담즙성 간경변, 원발성경화성 담관염,
  • 가격4,9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2.03.25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59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