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작가 권필 ‥‥‥‥‥‥‥‥‥‥‥‥‥‥‥‥‥‥‥‥‥‥‥‥‥‥ 1
2. <주생전>의 줄거리 ‥‥‥‥‥‥‥‥‥‥‥‥‥‥‥‥‥‥‥‥‥‥ 2
3. <주생전>의 특징 ‥‥‥‥‥‥‥‥‥‥‥‥‥‥‥‥‥‥‥‥‥‥‥ 3
4. <주생전>의 성격과 문학적 위상 ‥‥‥‥‥‥‥‥‥‥‥‥‥‥‥‥ 4
참고문헌 ‥‥‥‥‥‥‥‥‥‥‥‥‥‥‥‥‥‥‥‥‥‥‥‥‥‥ 6
2. <주생전>의 줄거리 ‥‥‥‥‥‥‥‥‥‥‥‥‥‥‥‥‥‥‥‥‥‥ 2
3. <주생전>의 특징 ‥‥‥‥‥‥‥‥‥‥‥‥‥‥‥‥‥‥‥‥‥‥‥ 3
4. <주생전>의 성격과 문학적 위상 ‥‥‥‥‥‥‥‥‥‥‥‥‥‥‥‥ 4
참고문헌 ‥‥‥‥‥‥‥‥‥‥‥‥‥‥‥‥‥‥‥‥‥‥‥‥‥‥ 6
본문내용
현실주의적 성격이라는 측면에서도 이러한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저작동기에서 밝힌 대로 작자인 권필이 임진왜란 때 구원병으로 참여했던 명나라 군사의 이야기를 듣고 소설화한데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2) 애정소설로서의 미적 가치
<주생전>이 <최치원전>-<금오신화>의 계보를 잇고 있는 애정소설의 대표적 작품이라는 데 그 미적 가치가 있다. 애정소설로서의 <주생전>의 문학사적 위상은 단순한 애정문제를 다룬 작품으로서가 아니라 '애정모티프'를 통해 당대 사회의 변화양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였고 아울러 어느정도 당대의 세태묘사를 하고 있는 데 있다. 아울러 <최치원전>-<금오신화>로 이어지는 애정소설의 계보를 계승하고 있으며, <주생전>을 분기점으로 하여 단순한 ‘문사형’의 인물이 등장하여 풍류를 즐기고 비현실적이고 환상적인 로맨스를 즐기는 ‘신기성’과 ‘경이성’에 기초한 내용에서 벗어나 ‘삼각로맨스’의 패턴이 등장하거나 인물형과 귀족여성의 인물형이라는 계급분화에 따른 모순이 드러나고 여성들의 계급을 초월한 자각이 어느 정도 드러나는 분수령의 역할을 떠맡고 있다는 데에서 큰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이것은 조선 중엽과 후기로 넘어가면 <운영전>-<춘향전>-<이춘풍전>-<채봉감별곡> 등으로 그 전통을 이어주게 된다.
참고문헌
구인환(2004), 옥단춘전, 신원문화사.
박일용(1993),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박태상(1996), 조선조 애정소설 연구, 태학사.
이복규(1998), 새로 발굴한 초기 국문 국문본소설, 박이정.
이상구 역(1999), 17세기 애정전기소설, 월인.
2) 애정소설로서의 미적 가치
<주생전>이 <최치원전>-<금오신화>의 계보를 잇고 있는 애정소설의 대표적 작품이라는 데 그 미적 가치가 있다. 애정소설로서의 <주생전>의 문학사적 위상은 단순한 애정문제를 다룬 작품으로서가 아니라 '애정모티프'를 통해 당대 사회의 변화양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였고 아울러 어느정도 당대의 세태묘사를 하고 있는 데 있다. 아울러 <최치원전>-<금오신화>로 이어지는 애정소설의 계보를 계승하고 있으며, <주생전>을 분기점으로 하여 단순한 ‘문사형’의 인물이 등장하여 풍류를 즐기고 비현실적이고 환상적인 로맨스를 즐기는 ‘신기성’과 ‘경이성’에 기초한 내용에서 벗어나 ‘삼각로맨스’의 패턴이 등장하거나 인물형과 귀족여성의 인물형이라는 계급분화에 따른 모순이 드러나고 여성들의 계급을 초월한 자각이 어느 정도 드러나는 분수령의 역할을 떠맡고 있다는 데에서 큰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이것은 조선 중엽과 후기로 넘어가면 <운영전>-<춘향전>-<이춘풍전>-<채봉감별곡> 등으로 그 전통을 이어주게 된다.
참고문헌
구인환(2004), 옥단춘전, 신원문화사.
박일용(1993),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박태상(1996), 조선조 애정소설 연구, 태학사.
이복규(1998), 새로 발굴한 초기 국문 국문본소설, 박이정.
이상구 역(1999), 17세기 애정전기소설, 월인.
추천자료
제주도 방언의 특징
우리나라 지역별 방언
「오륜행실도」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
허균의 문학세계
노처녀가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의 여성과 현대사회의 여성
국어국문학과 - 용어해설
[수량화][수량명사][수량형성][함수량][흡수량][골재][토양][국어]환경관심도의 수량화, 국어...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개론 레포트
[국어국문학] 기형도 시에 대한 연구 - 죽음과 어둠의 시학
모음상승
<최척전(崔陟傳)>의 작가의식 (줄거리, 이본, 한문본과 국문본의 대비, 사상 및 서사적 특성,...
국어국문학과-언어학연구의 역사적 논의와 언어의 힘 A+
인문학으로서의 국어국문학
종교가사 -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한 동학가사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