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의 기원 문제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훈민정음의 초, 중, 종성 체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훈민정음의 기원 문제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훈민정음의 초, 중, 종성 체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훈민정음의 기원 문제
   (1) 발음기관 상형 기원설
   (2) 고대문자(古代文字) 기원설
   (3) 각필 부호 기원설
   (4) 태극(太極)사상 기원설
   (5) 범자(梵字) 기원설
   (6) 창호(窓戶) 상형 기원설
   (7) 파스파자(八思巴字) 기원설
   (8) 기타의 기원설
   (9) 서장문자(西藏文字) 기원설
 2.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2.1. 상형(象形)의 원리
  2.2. 가획(加畫)의 원리
  2.3. 결합의 원리
  2.4. 철학의 원리
 3. 훈민정음의 초, 중, 종성 체계
Ⅲ. 결론

본문내용

성에 있는데, 초성과 종성을 어우러 소리를 이룬다. 이는 역시 하늘과 땅이 만물을 생성하되 그 조절과 보충은 반드시 사람에 의한 것과 같다.>
3. 훈민정음의 초, 중, 종성 체계
훈민정음의 초, 중, 종성 체계는 ‘훈민정음해례본’에 설명되어 있다. 이중에서 음운 체계를 살펴볼 때 중요하게 살펴볼 부분은 ‘제자해’와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이다. ‘제자해’는 위에서 살펴본 제자 원리와 함께 훈민정음의 초, 중성 체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를 통해서 초성, 중성, 종성의 설명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당시 언어학의 지식을 예상하면 중국의 영향은 피할 수 없다고 하겠다. 하지만 훈민정음이 중국의 음절 구분법과 다른 새로운 독창성을 보였다는 사실을 3체계에서 찾을 수 있다. 중국의 이분법과 다르게 음절삼분법 체계를 만든 것이 그 예라고 하겠다. 또한 단순히 새로움만을 추구한 것이 아니라, 소리마디는 세 토막으로 나뉘지만 결국 초성과 종성의 동질성을 고려하여 다시 씀을 가능하게 한 점이 매우 편리하다고 하겠다.
1) 초성 체계
초성해의 처음에 초성에 대한 설명이 나온다. ‘正音初聲 卽韻書之字母也’라고 하고 있는데, 이는 ‘훈민정음의 초성은 곧 운서의 자모이니 음성이 이로부터 생겨나므로 모(母)라고 하는 것이다’라는 뜻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운서란, 중국어의 주음 방법으로 동일한 어두자음군을 가진 글자들 중에서 한 글자를 골라 대표로 삼고, 음절을 이분하는 것으로 자음의 통일을 위하여 엮은 사전을 말한다.
운 서(韻 書)
자모(字母)
자운(字韻)
훈민정음(訓民正音)
초성(初聲)
중성(中聲)
종성(終聲)
음(절)音(節)
그리고 초성해의 끝부분에 ‘二十三字是爲母’ ‘스물석자 이것이 자모가 되어’라고 한 것은 제자해에서 말한 초성 17자에 전탁 6자를 합하여 23자모라 한 것이라 하겠다. 2.2. 가획의 원리 참고
2) 중성 체계
중성해의 처음에 ‘中聲字 居字韻之中 合初終而成音’ ‘중성이라는 것은 자운의 가운데에 있어서 초성과 종성이 합하여 음을 이루는 것이다.’라 하였다. 이후 구절에서 ‘, 즉, 침’등의 말을 통해 그 원리를 설명해 놓기도 하였다.
중성자는 기본자 ‘ㆍ, ㅡ, ㅣ’, 초출자 ‘ㅗ, ㅏ, ㅜ, ㅓ’, 재출자 ‘ㅛ, ㅑ, ㅠ, ㅕ’의 순서를 밟고 있다. 제자해에는 아래와 같은 설명이 있다.
가)ㆍ 舌縮而聲深 天開於字也 形之圓 象乎天也
ㅡ 舌小縮而聲不深不淺 地闢於縮也 形之平 象乎地也
ㅣ 舌不縮而聲淺 人生於人也 形之立 象乎人也
나)... ㅗ 與ㆍ同而口蹙 其形則ㆍ與ㅡ合而成 ...
ㅏ 與ㆍ同而口張 其形則ㅣ與ㆍ合而成 ...
ㅜ 與ㅡ同而口蹙 其形則ㅡ與ㆍ合而成 ...
ㅓ 與ㅡ同而口張 其形則ㆍ與ㅣ合而成 ...
다)ㅛ 與ㅗ 同而起於ㅣ
ㅑ 與ㅏ 同起起於ㅣ
ㅠ 與ㅜ 同而起於ㅣ
ㅕ 與ㅓ 同起起於ㅣ
...
... ㅛㅑㅠㅕ 起於ㅣ 而兼乎人爲再出也 ...
각각의 해석을 적으면 다음과 같다.
가)ㆍ는 혀가 오그라져 소리가 깊으니 하늘이 자시(子時)에 열린 것과 같이 맨 먼저 만들어졌다. 둥근 모양은 하늘을 본떴다.
ㅡ는 혀가 조금 오그라져 소리가 깊지도 얕지도 않으니 땅이 축시(丑時)에 열린 것처럼 2번째로 만들어졌다. 평평한 모양은 땅을 본떴다.
ㅣ는 혀가 오그라지지 않아 소리가 얕으니 사람이 인시(寅時)에 생긴 것처럼 3번째로 생겼다. 일어선 모양을 한 것은 사람을 본떴다.
나)... ㅗ는 ㆍ와 같되 입이 오므러지고 그 모양은 ㆍ와 ㅡ가 합하여 이룬 것이니 ...
ㅏ는 ㆍ와 같되 입이 벌어지고 그 모양은 ㅣ와 ㆍ를 합하여 이룬 것이니 ...
ㅜ는 ㅡ와 같되 입이 오므러지고 그 모양은 ㅡ와 ㆍ를 합하여 이룬 것이니 ...
ㅓ는 ㅡ와 같되 입이 벌어지고 그 모양은 ㆍ와 ㅣ가 합하여 이룬 것이니 ...
다)ㅛ는 ㅗ와 같되 ㅣ에서 일어나고
ㅑ는 ㅏ와 같되 ㅣ에서 일어나고
ㅠ는 ㅜ와 같되 ㅣ에서 일어나고
ㅕ는 ㅓ와 같되 ㅣ에서 일어난 것이다.
...
... ㅛㅑㅠㅑ는 ㅣ에서 일어나 사람을 겸하여 두 번째 나타난 것이니 ...
그리고 중성해에서는 기본자 ㆍㅡㅣ에서 나온 초출자, 재출자 등 11자 이외에 다음과 같이 글자를 합하여 쓸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ㅘ ㅝ ㆇ ㆊ ㆎ ㅢ ㅚ ㅐ ㅟ ㅔ ㆉ ㅒ ㆌ ㅖ ㅙ ㅞ ㆈ ㆋ)
기본자(基本字)
ㆍ ㅡ ㅣ
초출자(初出字)
ㅗ ㅏ ㅜ ㅓ
재출자(再出字)
ㅛ ㅑ ㅠ ㅕ
합용자(合用字)
ㅗ와 ㅜ가 ㆍ에서 나왔으므로 합하면

ㅛ와 ㅠ가ㅣ에서 나왔으므로 합하면
/ㅠ와 ㅕ가 ㅣ에서 나왔으므로 합하면


ㅜ와 ㅓ가 ㅡ에서 나왔으므로 합하면

한 글자로 된 중성으로 ㅣ와 합한 것이 열이니
/두 글자로 된 중성으로 ㅣ와 합한 것이 넷이니
ㆎ ㅢ ㅚ ㅐ ㅟ ㅔ ㆉ ㅒ ㆌ ㅖ
ㅙ ㅞ ㆈ ㆋ
3) 종성 체계
초성, 중성과 달리 종성에 대한 언급은 제자해에 없으나 ‘終聲之復用初聲者 ...’ ‘종성을 다시 초성으로 쓰는 것은 ...’라고 하여 초성 17자를 모두 종성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추측할 수 있는 설명만이 보인다.
종성해에서는 卽(ㅈㅡㄱ), 洪(ㆅㅗㆁ) 자를 예로 들어 ‘ㄱ’과 ‘ㆁ’과 같은 종성이 무엇인가를 다시 설명하였는데, ‘終聲者承初中而成字韻’ ‘종성은 초성과 모음을 이어받아서 음절을 이루는 것이다.’라고 표현한 것을 보면 음절을 초, 중, 종성의 결합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평성, 상성, 거성, 입성을 설명하였는데, 종성해에만 보이는 설명이다. 글자 별로 어떤 것이 평성, 상성, 거성, 입성에 적절한 것인가를 설명 한 뒤에 ‘然ㄱㆁㄷㄴㅂㅁㅅㄹ八字可足用也’ ‘종성에 ㄱㆁㄷㄴㅂㅁㅅㄹ 여덟 자만으로도 충분하다’라고 하였다.
‘如곶爲梨花 의갗爲狐皮 而ㅅ字可以通用 故只用ㅅ字’ ‘가령 배꽃이란 곶이나, 호피라는 의갗에는 ㅅ자로 통할 수 있어서 다만 ㅅ자를 쓴다’를 통해 ‘ㅅ, ㅈ, ㅿ, ㅊ’이 ‘ㅅ’字 하나로 통용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것은 음절 말음에서 중화되는 현상을 인식하고 있던 증거이다. 그 뒤로 이어서 ‘ㅇ은 소리가 맑고 비어서 반드시 종성에 쓰지 않아도 중성이 음을 이룰 수 있다’고 하였다.
종성해 첫머리에서 예로 든 ‘ㄱ’, ‘ㆁ’을 제외한 나머지들, 즉 ‘ㄷ(
  • 가격1,6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05.26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95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