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훈민정음의 기원
1. 고전 기원설
2. 범자 기원설
3. 몽고 파스파 문자 기원설
Ⅲ.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1. 자음 제작의 원리와 조직
2. 모음 제작의 원리와 조직
Ⅳ. 훈민정음의 초 ․ 종성체계
Ⅴ. 결론
Ⅱ. 훈민정음의 기원
1. 고전 기원설
2. 범자 기원설
3. 몽고 파스파 문자 기원설
Ⅲ.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1. 자음 제작의 원리와 조직
2. 모음 제작의 원리와 조직
Ⅳ. 훈민정음의 초 ․ 종성체계
Ⅴ. 결론
본문내용
둘이 아닌데, 어찌 하늘과 땅, 그리고 귀신과 더불어 그 쓰임을 같이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천지의 모든 도리가 음양 오행의 이치로 지배되어 있으니 사람의 말소리도 역시 그러하기 때문에 만유의 법칙인 역리에서 구하겠다는 것을 넌지시 나타내고 있다.
이 밖에도 서장문자(西藏文字) 기원설. 팔리(Pali)문자 기원설, 고대문자(古代文字) 기원설, 상형(象形) 기원설, 태극사상(太極思想) 기원설 등이 있다.
1. 자음 제작의 원리와 조직
훈민정음의 자음, 곧 초성은 발음기관(음성기관)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음은 《훈민정음》해례 제자해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초성은 무릇 열 일곱 글자인데, 어금닛소리 ㄱ 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꼴을 본뜬 것이요, 혓소리 ㄴ 은 혀가 웃잇몸에 붙는 꼴을 본뜬 것이요, 입술소리 ㅁ은 입의 꼴을 본뜬 것이요, 잇소리 ㅅ은 이의 꼴을 본뜬 것이요, 목구멍소리 ㅇ은 목구멍의 꼴을 본떴다.
자음(초성) 17글자는 각 갈래의 기본 소리로서 제작되었고 그 나는 자리에서 발음기관의 꼴을 본뜬 과학적인 체계를 수립하였다. 자음 17자를 성질상으로 나열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훈민정음》 본문에 나타난 각 갈래의 첫째 글자들인 ㄱ ㄷ ㅂ ㅈ 은 맑은 소리(淸音)요, 터짐소리(破裂音)요 또 예사소리(平音)인데 제자해에서는 전청(全淸)이라 하였다. 이때는 전청에 이 다섯 글자 외에 ㅅ 을 더 포함시켰다.
둘째, 《훈민정음》본문에 나타난 각 갈래의 가운데의 글자들인 ㅋ ㅌ ㅍ ㅊ ㅎ 은 그 첫째 소리에 목갈이소리 ㅎ 을 더하여 만든 거센소리 또는 숨띤소리(有氣音)인데 제자해에서는 차청(次淸)이라 하였다. 곧 어금닛소리의 ㅋ은 ㄱ 에 ㅎ을 더하여 만든 거센소리이며 혓소리 ㅌ은 ㄷ에 ㅎ을 더하여 만든 거센소리이며 입술소리 ㅍ은 ㅂ에 ㅎ을 더하여 만든 거센소리이며 잇소리 ㅊ은 ㅈ에 ㅎ을 더하여 만든 거센소리이며 목구멍소리 ㅎ은 그 스스로가 거센소리이니 모든 갈래의 가운데의 소리의 공통음이다.
셋째, 《훈민정음》본문에 나타난 각 갈래의 맨 끝의 글자인 ㄴ ㅁ ㅅ ㅇ ㄹ 은 앞의 첫째, 둘째가 짧은 소리이고 맑은 소리임에 비하여 ㅅ 말고는 느린소리이고 흐린소리인데 제자해에서는 ㅅ 만 제외하고 불청불탁(不淸不濁)이라 하였다.
훈민정음은 또 자음 17자 외에 모든 예사맑음소리(平淸音), 곧 전청음(全淸音 : ㄱ ㄷ ㅂ ㅈ ㅅ)을 나란히 쓰면 된소리, 곧 전탁(全濁)이 됨을 규정하되, 다만 목구멍소리에서만 거센소리, 곧 숨띤소리(ㅎ)로써 전탁()을 만든다고 규정하였다. 병서법 규정에 의하여 이룩된 전탁은 6글자이다. 전청의 글자를 병서하여 만든 ㄲ ㄸ ㅃ ㅉ ㅆ과 차청의 글자를 병서하여 만든 이다.
제자해에서는 사람의 말소리를 음양오행의 이치에 근본을 두고 소리와 철의 운행, 소리와 음악, 그리고 방위에 결부시켜 설명하였는데 이들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어금닛소리(아음)
혓소리(설음)
입술소리(순음)
잇소리(치음)
목구멍소리(후음)
기본글자
청탁
ㄱ
전청
ㄴ
불청불탁
ㅁ
불청불탁
ㅅ
전청
ㅇ
불청불탁
1획 더한 글자
청탁
ㅋ
차청
ㄷ
전청
ㅂ
전청
ㅈ
전청
ㆆ
전청
2획 더한 글자
청탁
ㅌ
차청
ㅍ
차청
ㅊ
차청
ㅎ
차청
이체
청탁
ㆁ
불청불탁
ㄹ
불청불탁
ㅿ
불청불탁
2. 모음 제작의 원리와 조직
훈민정음 스물여덟 글자 가운데 모음은 11자인데 이 모음도 앞의 대원칙에서 밝힌 바와 같이 꼴을 본떠서 만들었다. 모음 11글자는 기본글자인ㆍㅡ ㅣ, 초출자인 ㅗ ㅏ ㅜ ㅓ , 재출자인 ㅛ ㅑ ㅠ ㅕ 이다.
첫째 계열의 글자인 ㆍ ㅡ ㅣ 에 대하여 제자해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ㆍ 는 하늘이 자시(子時)에서 열리는 것이다. 꼴이 둥
천지의 모든 도리가 음양 오행의 이치로 지배되어 있으니 사람의 말소리도 역시 그러하기 때문에 만유의 법칙인 역리에서 구하겠다는 것을 넌지시 나타내고 있다.
이 밖에도 서장문자(西藏文字) 기원설. 팔리(Pali)문자 기원설, 고대문자(古代文字) 기원설, 상형(象形) 기원설, 태극사상(太極思想) 기원설 등이 있다.
1. 자음 제작의 원리와 조직
훈민정음의 자음, 곧 초성은 발음기관(음성기관)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음은 《훈민정음》해례 제자해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초성은 무릇 열 일곱 글자인데, 어금닛소리 ㄱ 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꼴을 본뜬 것이요, 혓소리 ㄴ 은 혀가 웃잇몸에 붙는 꼴을 본뜬 것이요, 입술소리 ㅁ은 입의 꼴을 본뜬 것이요, 잇소리 ㅅ은 이의 꼴을 본뜬 것이요, 목구멍소리 ㅇ은 목구멍의 꼴을 본떴다.
자음(초성) 17글자는 각 갈래의 기본 소리로서 제작되었고 그 나는 자리에서 발음기관의 꼴을 본뜬 과학적인 체계를 수립하였다. 자음 17자를 성질상으로 나열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훈민정음》 본문에 나타난 각 갈래의 첫째 글자들인 ㄱ ㄷ ㅂ ㅈ 은 맑은 소리(淸音)요, 터짐소리(破裂音)요 또 예사소리(平音)인데 제자해에서는 전청(全淸)이라 하였다. 이때는 전청에 이 다섯 글자 외에 ㅅ 을 더 포함시켰다.
둘째, 《훈민정음》본문에 나타난 각 갈래의 가운데의 글자들인 ㅋ ㅌ ㅍ ㅊ ㅎ 은 그 첫째 소리에 목갈이소리 ㅎ 을 더하여 만든 거센소리 또는 숨띤소리(有氣音)인데 제자해에서는 차청(次淸)이라 하였다. 곧 어금닛소리의 ㅋ은 ㄱ 에 ㅎ을 더하여 만든 거센소리이며 혓소리 ㅌ은 ㄷ에 ㅎ을 더하여 만든 거센소리이며 입술소리 ㅍ은 ㅂ에 ㅎ을 더하여 만든 거센소리이며 잇소리 ㅊ은 ㅈ에 ㅎ을 더하여 만든 거센소리이며 목구멍소리 ㅎ은 그 스스로가 거센소리이니 모든 갈래의 가운데의 소리의 공통음이다.
셋째, 《훈민정음》본문에 나타난 각 갈래의 맨 끝의 글자인 ㄴ ㅁ ㅅ ㅇ ㄹ 은 앞의 첫째, 둘째가 짧은 소리이고 맑은 소리임에 비하여 ㅅ 말고는 느린소리이고 흐린소리인데 제자해에서는 ㅅ 만 제외하고 불청불탁(不淸不濁)이라 하였다.
훈민정음은 또 자음 17자 외에 모든 예사맑음소리(平淸音), 곧 전청음(全淸音 : ㄱ ㄷ ㅂ ㅈ ㅅ)을 나란히 쓰면 된소리, 곧 전탁(全濁)이 됨을 규정하되, 다만 목구멍소리에서만 거센소리, 곧 숨띤소리(ㅎ)로써 전탁()을 만든다고 규정하였다. 병서법 규정에 의하여 이룩된 전탁은 6글자이다. 전청의 글자를 병서하여 만든 ㄲ ㄸ ㅃ ㅉ ㅆ과 차청의 글자를 병서하여 만든 이다.
제자해에서는 사람의 말소리를 음양오행의 이치에 근본을 두고 소리와 철의 운행, 소리와 음악, 그리고 방위에 결부시켜 설명하였는데 이들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어금닛소리(아음)
혓소리(설음)
입술소리(순음)
잇소리(치음)
목구멍소리(후음)
기본글자
청탁
ㄱ
전청
ㄴ
불청불탁
ㅁ
불청불탁
ㅅ
전청
ㅇ
불청불탁
1획 더한 글자
청탁
ㅋ
차청
ㄷ
전청
ㅂ
전청
ㅈ
전청
ㆆ
전청
2획 더한 글자
청탁
ㅌ
차청
ㅍ
차청
ㅊ
차청
ㅎ
차청
이체
청탁
ㆁ
불청불탁
ㄹ
불청불탁
ㅿ
불청불탁
2. 모음 제작의 원리와 조직
훈민정음 스물여덟 글자 가운데 모음은 11자인데 이 모음도 앞의 대원칙에서 밝힌 바와 같이 꼴을 본떠서 만들었다. 모음 11글자는 기본글자인ㆍㅡ ㅣ, 초출자인 ㅗ ㅏ ㅜ ㅓ , 재출자인 ㅛ ㅑ ㅠ ㅕ 이다.
첫째 계열의 글자인 ㆍ ㅡ ㅣ 에 대하여 제자해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ㆍ 는 하늘이 자시(子時)에서 열리는 것이다. 꼴이 둥
추천자료
북한의 언어 연구
한글 이전의 문자
[사투리][방언][지역어][표준어][표준말][방언학][지역사투리][지역방언]지역별 사투리(방언)...
[한국근대 국어 표기법][한국근대 국어 파생형용사][한국근대 희곡][한국근대 시][한국근대 ...
[맞춤법과표준어]한글 맞춤법의 원리 및 적용
현대 한국의 문자생활에 대해
[인문과학] 세종대왕
한국 신화의 이해
컴퓨터의 이해(하드웨어 & 소프트 웨어)
성삼문(成三問)과 조광조(趙光祖)의 생애와 사상
언어와 역사 - 세계의 어족과 언어 [언어들 사이의 친근성]
[조직관리와리더십] 세종대왕의 리더십, 세종대왕의역사, 세종대황의정치, 세종대왕의사회, ...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우리말의 역사 공통] 국어사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국어 어문규범] 성균관 스캔들 대본을 통해 알아보는 한글 맞춤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