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코너의 괜찮은 남자 찾기 어렵네요 (A Good Man Is hard to Find)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오코너의 괜찮은 남자 찾기 어렵네요 (A Good Man Is hard to Find)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Flannery O'Conner,(1925-1964)
 ⅰ) O'Conner의 생애
 ⅱ) O'conner의 대표작품
 ⅲ) O'conner의 작품세계
 ⅳ) 오코너 소설의 여성인물

Ⅱ. 『A Good Man Is hard to Find』작품 소개 및 비평
 ⅰ) 작품 번역
 ⅱ) 『A Good Man is Hard to Find』에서의 상징성
 ⅲ) 작품주제

본문내용

리고 있다. 여기에서 그녀는 과격하게 횡행되고 있는 광신교도들의 신앙태도에 대해서 코믹한 필치로 묘사하고 있다. Francis는 예언자인 그의 숙부로부터 그의 뒤를 이어받을 수 있는 후계자의 교육을 받게 된다. 그러나 그의 숙부가 인간의 존엄성과 자긍심을 희생까지 하면서 신의 소명에 응한 그의 사후의 보상은 고작 단 하나의 생명의 빵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신을 버리지 못하는 무능한 인간의 모습에 절망하고 또 이러한 상황 속으로 인간을 몰아넣는 신에 대해서 증오와 불신의 눈길을 돌기 시작하는 Francis는 새로운 자아탄생과 더불어 저주받은 과거와 결별하고 새로운 자기의 완성을 위해서 미지의 도시를 향해서 고향을 떠나게 된다는 내용이다.
《오르다 보면 모든 것은 한 곳에 모이게 마련이다 Everything That Rises Must Converge》
1965년에 발표한 단편소설이다. Julian의 어머니는 흑인여인으로부터 구타를 당하는 폭력에 의해서 예기치 못했던 현실의 무법 적인 상황을 참을 수가 없어 정신적인 혼란 속에 빠져 쇼크사 한다. Julian은 훌륭한 행동 속에서 안주하고 있는 어머니의 자기만족과 위선을 간파하고 그들의 생활태도에 대해서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게 된다. 어머니에게 냉혹한 비판의 눈초리를 돌리고 있지만 자기들 자신에 대해서는 관대하고 무력한 자신들의 현실은 은폐하면서 정신세계의 차원에서는 유리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불 속의 원 A circle in the Fire≫
Mrs. Cope는 근면과 용의주도함은 곧 인생을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고 확신하고 있다. 이러한 믿음에 차 있는 그녀에게 있어서 “devil\"의 존재는 위협적이 아니고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잡초에 불과한 것이다.
ⅲ) O\'conner의 작품세계
신과 인간이라는 보편적인 문제에 확고하고도 새로운 빛을 비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현대미국문학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25세 경부터 악화되기 시작한 불치의 병인 홍반성낭창(紅斑性狼瘡)과 싸우면서 “나에게 인생의 의미는 그리스도교에 의한 구제라는 한 점에 귀결된다”고 지적한 바와 같이 시종 일관 한 신념으로 다작은 아니지만 감상을 극도로 억제한 뛰어난 작품을 발표하였다.
그녀의 작품에서는 그로테스크한 인물의 묘사와 폭력과 무자비한 분위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언뜻 보기에, 오코너의 작품은 한 쪽 머리를 찰싹 때리는 정도만큼 미묘하다. 그녀의 이야기들에는 육체적 불구, 기형적인 불행, 정신적 타락들이 다루어진다. 한 이야기에서는 가족 전체가 조지아의 미개척지에서 잔인하게 살해된다.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성경책 외판원으로 변장한 사기꾼이 한 여성의 의족을 훔친다. 오코너는 그녀의 소설이 기괴한 것으로 불리워 질 수 있다고 인정을 했지만, “남부로부터 나온 것은 무엇이든지 북부의 독자들에게 기괴하다고 불리울 것이고, 만약 그것이 기괴하지 않다면, 그것은 현실주의적이라고 불리울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녀가 죽은 지 30년 이상이 흘렀지만, 독자들은 그녀의 기괴한 이미지들에 여전히 큰 충격을 받는다.
삶의 의미는 곧 그리스도에 의한 구제에 모아지고 이 세상에서 터득한 모든 것은 그리스도의 구제에 연관지어서 본다는 것이 그녀의 작가 관임을 천명하고 있다.
또한 그녀는 소설에서는 예술과 종교를 대담하게 연결시키려고 시도한다. 오코너 작품 속의 인물들의 행동은 구원을 향한 길을 찾기 위한 나름대로의 투쟁이며, 이러한 그들의 투쟁은 언제나 원인을 알 수 없는 폭력, 광적인 신앙이나 죄악 등 그로테스크한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불가능한 상황 설정, 고립된 기형 인물들, 풍자와 놀라운 기지를 동원해 오코너는 일상의 독자에게 끊임없이 충격을 가한다. 오코너에게 은총의 주제는 그녀 문학세계에 있어서 핵심으로 모든 작품에 일관되어 나타난다.
ⅳ) 오코너 소설의 여성인물
오코너 소설의 여성 인물은 안일한 신앙태도로서 참다운 신을 상실하고 그들의 세계에서는 신은 망각의 존재가 되어 유신론에서 신을 부정하는 양상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들은 자기만족과 기만적인 생활에 안주하여 객관적으로 보면 산전수전 다 겪은 성공자 이기 때문에 경건한 마음으로 신을 맞이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들은 자기 나름대로 신을 해석하고 아전인수식으로 자기에게 유리하게 끌어들이기도 한다. 그들에서 있어서 신은 인간으로 하여금 죄를 자각케 하는 진지한 신앙의 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체적으로 오코너의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은 안일한 자기충족에 빠져들어 주체적인 자기우월성을 저버리고 있기 때문에 남성의 등장인물처럼 “그리스도인가? 자기 자신인가?”라고 하는 절박한 갈등에서 파생되는 난폭한 행동을 스스로 야기 시킬 수 있는 원동력이 상실되고 있는 것이다.
Ⅱ. 『A Good Man Is hard to Find』작품 소개 및 비평
ⅰ) 작품 번역
『좋은 사람은 찾기 어렵다 』
할머니는 플로리다로 가고 싶어하지 않았다. 그녀는 이스트 테네시(East Tennessee)의 몇몇 연고지를 방문하고 싶었으며 그녀는 베일리의 마음을 바꾸기 위한 모든 기회를 붙들고 있었다.
베일리는 그녀와 함께 살고 있는 그녀의 외동아들이었다. 그는 테이블에 있는 그의 의자의 가장자리에 기대어 앉아 잡지의 주황색 스포츠 기사부분을 구부렸다. 이제 여길 봐 베일리. 그녀가 말했다. 여길 봐, 이걸 읽어. 그리고 그녀는 한 손은 그녀의 마른 엉덩이에 대고 다른 한 손은 그의 대머릴 향해 신문을 흔들며 서있었다. 여기서 부적응자들(Misfit)이라 자칭하는 이 친구는 연방감옥의 탈주범인데다 플로리다로 도주했어. 그리고 너는 여기서 그가 이 사람들에게 무슨 짓을 했는지 말하는 걸 읽어봐. 그냥 읽어봐. 난 우리 아이들을 그런 탈주범과 같은 범죄자가 있는 어떠한 곳에도 인도하지 않을 거야. 내가 만일 그랬다면 난 내 양심에 답할 수가 없을 거야.
베일리는 그의 읽기(잡지)에서 눈을 떼지 않았고 그녀는 주위를 돌아다녔다. 그리고 그 아이들의 엄마, 양배추처럼 넓고 순수한 얼굴을 지녔고 윗부분에 토끼의 귀처럼 두개의 점이 있는 녹색 손수건에 머리가 묶여있는 슬랙스(헐렁한 평상복 바지의 일종)를 입은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11.18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63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