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사 과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여성사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미실의 탄생과 운명
3. 색공지신(色供之臣) 미실의 등장(561~ 565)
4. 진흥왕에게 색공하여 조야의 권세를 장악하다.(565~ 576년경)
5. 진지왕의 즉위와 폐위(576~ 579)
6. 진평왕을 색공과 만년(595~619) 이후 622사이 후손들
7. 맺음말 및 나의 생각

본문내용

제의 엄격성을 벗어나는 일종의 출구였던 것이라 볼 수 있다.
미실은 609년 60세로 세상을 뜰 때까지 아들 100명 낭도 만 여명을 거느릴 정도로 풍족하고 여색을 탐하였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미실과 인통의 역학관계는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미실과 세종의 관계인데, 561년 미실은 세종의 정비가 되었다. 한때 진골정통인 지소태후는 대원신통인 미실을 견제하여 내쫓기까지 했으나, 결국 세종과 미실의 혼인을 막지 못했다고 한다.
둘째, 미실은 진흥왕의 총애를 많이 받았다. 미실이 진흥왕에게 색공을 하게 된 것은 사도왕후가 그녀를 잉첩으로 삼아준 덕택이었다. 미실은 본랜 진흥왕을 사모하였고, 진흥왕 역시 그녀와의 접촉을 원했다. 마침내 사도왕후는 조카 미실을 잉첩으로 삼아 진흥왕에게 색공하도록 했는데 그것은 대원신통이 권세를 쥐기 위한 정치적 조치였다.
셋째, 미실은 동륜태자에게도 색공을 하였다. 사도왕후는 미실에게 약속하기를 동륜태자에게 색공하여 만일 아들을 낳으면 미실을 태자비로 삼겠다고 하였다. 당시 지소태후는 만호공주를 동륜과 짝지어 줌으로써 진골정통을 잊고자 했다. 하지만 대원신통인 사도왕후로서는 미실을 태자와 맺어줌으로써 태후의 뜻을 꺾고 대원신통의 입지를 굳히려 하였다.
넷째, 미실과 진지왕의 관계도 흥미롭다. 진흥왕이 죽자 사도태후는 그 사실을 외부에 알리지 않은 채 미실을 금륜과 만나게 하였다. 그런 다음 금륜(진지왕)에게서 미실을 비로 맞이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냈고 이어서 금륜태자를 왕위에 오르게 하였다.
다섯째, 이미 나이가 든 미실이었지만 어린 진평왕에게 다시 색공을 하였다. 579년 백정(진평왕)이 왕위에 올랐을 때 나이가 13살이었다. 사도태후가 보명과 미실에게 명하여 진평왕이 색을 알게 하도록 하였는데, 그때 미실이 먼저 진평왕에게 색공을 하였다.
※미실이 색공한 신라 왕실의 성골 남성들
입종갈문 = 지소 ------------------ 지소 = 태종(이사부)
↓ ↓
②제 24대왕 진흥왕 = 사도 세종 = 미실

-----------------------------
↓ ↓
①동륜 = 만호 ③제 25대왕 진지왕(금륜) = 지도

④제 26대왕 진평왕(백정)
① ~ ④ 은 미실이 색공한 순서(세종은 성골도 아니고 미실이 그의 정비였기 때문에 색공관계는 아님)
3. 색공지신(色供之臣) 미실의 등장(561~ 565)
미실은 진흥왕의 어머니인 지소태후에 의해 출궁하였다. 지소태후는 자신의 며느리인 사도를 못마땅하게 여겨 사도를 내쫓으려 했으나 진흥왕이 워낙 사도를 아껴 대신 화살을 미실한테 넘겨 궁에서 내쳤다.
출궁한 미실은 5세 풍월주 사다함과 사랑을 나눠서 결혼까지 나눴으나, 사다함이 대가야 원정길에 출정하고 들어왔을 때 미실은 이미 입궁하여 세종전군의 짝이 되었다. 사다함은 슬픔과 벗인 무관랑의 죽음으로 애통한 나머지 죽음을 맞이하고, 자신의 뒤를 이를 풍월주를 미실의 남편인 세종을 풍월주로 추천을 해서 죽는 순간까지 연인인 미실을 위해 끝까지 도움을 주었다. 입궁을 해서 미실은 원비인 융명을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1.19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89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