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대시가론 발표문 -고려가요 ‘이상곡(履霜曲)’》
‘연군지정(戀君之情)’의 노래「이상곡」
Ⅰ.연구목적
1.1.문제의식 및 고려속요 간략적 소개
Ⅱ.고려가요 ‘이상곡’연구
2.1.‘이상곡’ 해독의 쟁점 검토
-양주동 선생님
-박병채 선생님
-이임수 선생님
-최용수 선생님
2.2.‘이상곡’ 화자의 작품분석
Ⅲ.‘이상곡’ 작가 쟁점
- 기존의 논의
- 조사자 시각으로 본 ‘이상곡’ 작가
Ⅳ.마무리
Ⅴ.참고문헌
‘연군지정(戀君之情)’의 노래「이상곡」
Ⅰ.연구목적
1.1.문제의식 및 고려속요 간략적 소개
Ⅱ.고려가요 ‘이상곡’연구
2.1.‘이상곡’ 해독의 쟁점 검토
-양주동 선생님
-박병채 선생님
-이임수 선생님
-최용수 선생님
2.2.‘이상곡’ 화자의 작품분석
Ⅲ.‘이상곡’ 작가 쟁점
- 기존의 논의
- 조사자 시각으로 본 ‘이상곡’ 작가
Ⅳ.마무리
Ⅴ.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대시가론 발표문 -고려가요 ‘이상곡(履霜曲)’》
‘연군지정(戀君之情)’의 노래「이상곡」
[목차]
‘연군지정(戀君之情)’의 노래「이상곡」
Ⅰ.연구목적
1.1.문제의식 및 고려속요 간략적 소개
Ⅱ.고려가요 ‘이상곡’연구
2.1.‘이상곡’ 해독의 쟁점 검토
-양주동 선생님
-박병채 선생님
-이임수 선생님
-최용수 선생님
2.2.‘이상곡’ 화자의 작품분석
Ⅲ.‘이상곡’ 작가 쟁점
- 기존의 논의
- 조사자 시각으로 본 ‘이상곡’ 작가
Ⅳ.마무리
Ⅴ.참고문헌
Ⅰ.연구목적
1.1.문제의식 및 고려속요 간략적 소개
우리는 ‘이상곡(履霜曲)’을 단순히 음란한 님과의 사랑을 노래한 음사의 노래, 또는 육체적인 사랑의 노래로만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단편적인 생각이 초기 우리의 흥미를 끌었다. 하지만 ‘이상곡(履霜曲)’의 작가가 유녀 혹은 남편을 여읜 청상의 노래일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이상곡(履霜曲)’의 내용과 작가에 대해 조사해 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하지만 우리는 조사를 하면서 이 노래가 유녀나 청상의 노래일 가능성보다는 “채홍철이 지은 ‘연군지정’의 노래일 것이다”라는 근거들을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하지만 유녀나 청상, 그리고 신하, 이 세 명의 작가로도 작품해석이 다 가능하기 때문에 우리는 이번 발표에서 작가가 누구인가에 대해 중점을 두고, 그 근거들을 분석해보려 한다. 또한 ‘이상곡(履霜曲)’을 단순히 남녀상열지사의 노래로만 평가해서는 ‘이상곡(履霜曲)’자체의 의미와 가치가 축소되거나 상실되는 오류에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이상곡(履霜曲)’의 이면적인 의미를 살펴보려고 한다.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고려속요에 대한 간략적인 설명을 하고 본격담에 들어가도록 하겠다.
속요는 민속가요를 줄인 말이다. 민속가요란 민간의 속된 가요라는 의미를 함축한다. 그렇기 때문에 속요란 본래 상층 문화권의 정통가요인 가곡 혹은 시조에 비해서 정제되지 못한 노래, 곧 잡스럽거나 속된 하층 문화권의 노래를 가리키는 말로 흔히 쓰인다. 이에 속요는 가장 널리 통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역사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또한 이들 가요군의 기원이나 성격이 민속가요와 일정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그 개념을 수정해서 사용한다면 현재로서는 가장 적절한 명칭이라 할 수 있다. 김학성,「속요」, 임기종외,『한국문학개론』,(혜진서관,1991), p123.
Ⅱ.고려가요 ‘이상곡’ 연구
2.1.‘이상곡’ 해독의 쟁점 검토
「악장가사」中 ‘이상곡(履霜曲)’ 최 철박재민,「석주 고려가요」, (이화문화사:서울,2003), p274.
비오다가 개야아 눈 하 디신 나래
서린석석 사리 조 곱도신 길헤
다롱디 우셔마득 사리마득 너즈세 너우지
잠 ㅼㅏ간 내니믈 너겨
깃 열명길헤 자라오리잇가
죵죵霹靂 生陷墮無間
고대셔
‘연군지정(戀君之情)’의 노래「이상곡」
[목차]
‘연군지정(戀君之情)’의 노래「이상곡」
Ⅰ.연구목적
1.1.문제의식 및 고려속요 간략적 소개
Ⅱ.고려가요 ‘이상곡’연구
2.1.‘이상곡’ 해독의 쟁점 검토
-양주동 선생님
-박병채 선생님
-이임수 선생님
-최용수 선생님
2.2.‘이상곡’ 화자의 작품분석
Ⅲ.‘이상곡’ 작가 쟁점
- 기존의 논의
- 조사자 시각으로 본 ‘이상곡’ 작가
Ⅳ.마무리
Ⅴ.참고문헌
Ⅰ.연구목적
1.1.문제의식 및 고려속요 간략적 소개
우리는 ‘이상곡(履霜曲)’을 단순히 음란한 님과의 사랑을 노래한 음사의 노래, 또는 육체적인 사랑의 노래로만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단편적인 생각이 초기 우리의 흥미를 끌었다. 하지만 ‘이상곡(履霜曲)’의 작가가 유녀 혹은 남편을 여읜 청상의 노래일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이상곡(履霜曲)’의 내용과 작가에 대해 조사해 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하지만 우리는 조사를 하면서 이 노래가 유녀나 청상의 노래일 가능성보다는 “채홍철이 지은 ‘연군지정’의 노래일 것이다”라는 근거들을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하지만 유녀나 청상, 그리고 신하, 이 세 명의 작가로도 작품해석이 다 가능하기 때문에 우리는 이번 발표에서 작가가 누구인가에 대해 중점을 두고, 그 근거들을 분석해보려 한다. 또한 ‘이상곡(履霜曲)’을 단순히 남녀상열지사의 노래로만 평가해서는 ‘이상곡(履霜曲)’자체의 의미와 가치가 축소되거나 상실되는 오류에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이상곡(履霜曲)’의 이면적인 의미를 살펴보려고 한다.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고려속요에 대한 간략적인 설명을 하고 본격담에 들어가도록 하겠다.
속요는 민속가요를 줄인 말이다. 민속가요란 민간의 속된 가요라는 의미를 함축한다. 그렇기 때문에 속요란 본래 상층 문화권의 정통가요인 가곡 혹은 시조에 비해서 정제되지 못한 노래, 곧 잡스럽거나 속된 하층 문화권의 노래를 가리키는 말로 흔히 쓰인다. 이에 속요는 가장 널리 통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역사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또한 이들 가요군의 기원이나 성격이 민속가요와 일정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그 개념을 수정해서 사용한다면 현재로서는 가장 적절한 명칭이라 할 수 있다. 김학성,「속요」, 임기종외,『한국문학개론』,(혜진서관,1991), p123.
Ⅱ.고려가요 ‘이상곡’ 연구
2.1.‘이상곡’ 해독의 쟁점 검토
「악장가사」中 ‘이상곡(履霜曲)’ 최 철박재민,「석주 고려가요」, (이화문화사:서울,2003), p274.
비오다가 개야아 눈 하 디신 나래
서린석석 사리 조 곱도신 길헤
다롱디 우셔마득 사리마득 너즈세 너우지
잠 ㅼㅏ간 내니믈 너겨
깃 열명길헤 자라오리잇가
죵죵霹靂 生陷墮無間
고대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