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계 박인로][노계집][작품 누항사 전문]노계 박인로의 개요, 노계 박인로의 생애, 노계 박인로의 의의, 노계 박인로의 노계집, 노계 박인로의 작품 누항사 전문, 노계 박인로의 작품 누항사 작품분석 고찰(박인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계 박인로][노계집][작품 누항사 전문]노계 박인로의 개요, 노계 박인로의 생애, 노계 박인로의 의의, 노계 박인로의 노계집, 노계 박인로의 작품 누항사 전문, 노계 박인로의 작품 누항사 작품분석 고찰(박인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노계 박인로의 개요
1. 출생
2. 의병활동
3. 문인으로서의 삶
1) 1601년(선조 34)
2) 1611년(광해군 3)
3) 1612년
4) 1630년(인조 8)
5) 말년
4. 작품

Ⅱ. 노계 박인로의 생애

Ⅲ. 노계 박인로의 의의

Ⅳ. 노계 박인로의 노계집
1. 권{1}
2. 권{2}
3. 권{3}

Ⅴ. 노계 박인로의 작품 누항사 전문

Ⅵ. 노계 박인로의 작품 누항사 작품분석
1. 서사 - 길흉화복을 하늘에 맡기고 안빈 일념으로 살려는 심정
2. 본사 1 - 충성심으로 백전 고투했던 왜란의 회상
3. 본사 2 - 전란 후 돌아와 몸소 농사를 지음
4. 본사 3 - 농사를 지으려 하니 농우가 없어, 농우를 빌리러 감
5. 본사 4 - 농우를 빌리러 갔다가 수모를 당하고 돌아옴
6. 본사 5 - 집에 돌아와 야박한 세태를 한탄하며 춘경을 포기함
7. 결사 1 - 자연을 벗 삼으면서 절로 늙기를 소망함
8. 결사 2

참고문헌

본문내용

圖와 賦 1수(문足賦), 詩로 五言絶句 9수(題德淵亭, 病中詠懷 등), 五言律詩 3수(鍊玉亭 등), 七言絶句 71수(戴勝吟, 耕田歌 등), 七言律詩 5수(奉呈細谷亭主人 등), 칠언고시 2수(安分吟 등)와 傳 1편(無何翁傳), 記 1편(夢見周公記)이 있다. 이 중 「中庸誠圖」,「大學敬圖」, 「小學忠孝圖」는 주자학에 입각하여 사서학을 도해한 것이다. 「安分吟」은 淸貧속에 自足하는 생활태도를 잘 나타내고 있으며, 「無何翁傳」은 자전적인 것이다.
2. 권{2}
부록으로 無何翁傳九인山記跋(張顯光), 山字五絶韻奉呈蘆溪朴公(鄭好信), 鄕儒請褒賞呈文, 巡相請褒啓狀, 만사(曺好益), 행장(鄭葵陽), 道溪祠宇上樑文(李德玄), 奉安文(李復仁), 묘갈명(李鼎秉), 竪碣慰安文(鄭夏源) 등과 속부로 次詠竹韻(鄭好義), 次山字韻, 次人字韻, 兼致景仰之思(鄭夏源) 등이 있다. 이 중 「無何翁傳九인 山記跋」에서는 노계의 「無何翁傳」을 사기가 분방하고 서사가 상밀하다고 평하고 있으며, 「鄕儒請褒呈文」과 「巡相請褒啓狀」에서는 그의 인간성, 즉 사친우국의 誠과 청빈하고 애민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여기에서는 그를 독행특립지사로 칭하고 있다.「行狀」에서는 \"詩는 언지요 歌는 永言이니 사람의 선심을 감발하는 것은 歌가 으뜸이다.\"라고 하여 그의 시관을 보여준다.
3. 권{3}
歌라는 題下에 한글로 된 가사와 시조를 싣고 있다. 가사는 태평사, 사제곡, 누항사, 선상탄, 독요당, 영남가, 노계가이고, 시조는 早紅歌, 五倫歌, 辛酉秋與寒岡浴于蔚山椒井, 立巖歌, 思親, 慕賢, 蘆洲幽居, 自敬 등 60수가 실려 있고 국한문혼용체로 되어 있다. 「太平詞」는 1598년(宣祖 31)
겨울 좌병사 성윤문의 막하에 있을 때 釜山에 있는 왜적이 밤을 타고 도망하자 10여일 후에 본영으로 돌아와 지은 것으로, 내용은 우리나라 古來의 文化 찬양에서부터 전란으로 인한 혼란상, 아군의 활약, 전승과 그 환희, 태평성대를 구가한 것이다. 「莎堤曲」은 蘆溪가 51세 때 한음 이덕형의 江亭이 있는 사제(龍津江 東쪽 5리쯤 되는 곳에 있는 地名)에서 한음을 대신하여 지은 것이다. 내용은 사제의 勝景描寫와 그 속에서 한유하는 한음의 모습을 그리고 있으며, 마지막에는 사군의 情과 사친의 마음을 잘 나타내고 있다. 「陋巷詞」는 漢陰과 함께 노닐 때에 한음이 그에게 산거의 궁고한 狀을 물으니 이에 心懷를 읊은 노래이다. 곤궁한 생활을 노래하면서도 가난을 원망하지 않으며 安貧을 주장하고, 丈夫의 뜻은 변함이 없음을 말하고 있다. 이웃에 농우를 빌러 갔다가 못 빌리고 돌아와 속사를 체념하고, 청풍명월과 벗하는 자연인의 모습을 읊고 있다. 충효를 일삼고 화형제 신붕우하며 안빈요도하는 그의 모습이 두드러진다. 「船上歎」은 1605년 그가 統舟師로 釜山에 내려갔을 때 지은 노래로 전쟁의 비애를 술회하고 평화를 기원한 것이다. 배에서 대마도를 굽어보는 경치, 배의 유래, 배의 흥취, 憂國心, 太平天下에의 祈願 등의 내용으로 되어 있다. 「獨樂堂」은 노계가 경주 옥산에 있는 회재 이언적의 거처였던 獨樂堂을 찾아가 그 유적을 돌아보고, 주변의 경물과 회재를 사모하는 심정을 읊은 것이다. 그의 가사 중 최장편으로 255句에 달한다.
先賢을 사모하고 추앙하는 情이 간절히 나타나고 있다. 「嶺南歌」는1635년(仁祖 13)에 지은 것으로 嶺南按節使 이근원이 布德宣化하여 道政을 한 집안처럼 편안히 하였으므로 그가 갈려 감에 백성이 모두 感恩하여 留任을 원하는 까닭으로 노계가 이 노래를 지어 그를 찬미한 것이다. 능숙한 필치와 어휘로 그의 德을 기리고 있어 작자의 문장력을 충분히 엿볼 수 있다. 「蘆溪歌」는 1636년 76세 때 자기의 은거지인 노계의 승경을 노래하며 정회를 읊은 것이다. 山水自然에 묻혀 살며 世俗의 名利를 떠난 생활에 유유자적하는 자연인의 모습이 드러난다. 마지막에는 임금의 장수와 태평성대를 기원하여 그의 충성과 우국의 情을 엿보게 한다. 「早紅歌」는 1601년 9월초에 한음이 조홍시를 보내니 蘆溪가 어머니를 생각하고 지은 시조이다. 4수로 된 연시조이며 주제는 孝이다. 「五倫歌」는 25수로 된 시조로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애, 형제유애가 각각 5수, 붕우유신 2수, 총론 3수로 되어 있다. 敎訓的인 것이어서 예술적 가치는 빈약하다. 「兄弟有愛」의 내용으로 보아 창작연대는 아우 仁수가 죽은 1634년 이후인 듯하다. 「立巖歌」는 그의 고향인 永川의 立巖에 우거하던 여헌 장현광을 대신하여 지은 노래이다. 본집에는 22수가 실려 있으나 새로 7수가 발전되어 29수가 된다. 본편에 실린 것은 입암 3수, 정사. 起予巖, 계구대, 吐月峰, 구인봉, 小魯岑, 피세대, 合流臺, 심진동, 採藥洞, 욕학담, 數魚淵, 향옥교, 釣月灘, 경운야, 停雲嶺, 산지령, 隔塵嶺, 화리대 각 1수이다. 창작 연대는 1637년 설과 1629년 설의 두 가지가 있다. 이외에「辛酉秋與鄭寒岡浴于蔚山椒井」은 울산의 초정에서 멱감으며 증점의 故事를 생각하며 읊은 것이고, 「思親」, 「慕賢」은 부모, 伯夷叔齊屈原을 사모한 것이며, 「蘆洲幽居」는 자연의 정취를 읊고 「自警」은 스스로 자기의 마음을 경계한 것이다. 본집은 정철, 윤선도와 함께 국문학사상 三大詩歌人으로 꼽히는 박인로의 인간적 면모와 문학세계를 살필 수 있으며 특히 卷{3}의 가사와 시조는 국문학연구의 좋은 자료가 된다.
Ⅴ. 노계 박인로의 작품 누항사 전문
어리고 迂闊산 이우 더니업다
--> 어리석고 세상 물정에 어두운 것은 나 보다 더한 이가 없다.
吉凶 禍福을 하날긔 부쳐두고
--> 길흉화복을 하늘께 맡겨 두고
陋巷 깁푼곳의 草幕을 지어두고
--> 누추한 고장 깊은 곳에 초가집을 지어 놓고
風朝 雨夕에 석은 딥히 셥히 되야
--> 고르지 못한 날씨에 썩은 짚이 땔감이 되어
셔홉밥 닷홉粥에 烟氣도 하도할샤
--> 서 홉 밥 닷 홉 죽이지만 연기는 많기도 하구나.
언매만히 바든밥의 懸 雉子들은
--> 조금 뿐인 밥에 초라한 모습을 한 자식들은
쟝긔 버려 졸미덧 나아오니
--> 장기판에서 졸을 밀듯이 나아오니
人情 天理예 아 혼자 먹을 넌가
--> 사람의 도리로서 차마 혼자 먹을 수 있으랴?
설데인 熟冷애 뷘
  • 가격7,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0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