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치와 풍물의 비교분석 - 민속음악 대중화에 관한 보편적 법칙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리아치와 풍물의 비교분석 - 민속음악 대중화에 관한 보편적 법칙 -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위해 Maria de Son을 연주했고, 이들을 \'마리아치\'라고 불렀다는 사실\"을 1835년에 기록한 문서가 발견되어 더욱 신빙성을 얻게 되었다. 한편 악단으로서의 의미인 마리아치는 1800년대초 결성된 마리아치 꼬꿀라(Mariachi Cocula)가 최초이다.
3. 악기 구성
마리아치는 악기의 수에 따라 5-12명으로 구성되는데, 기본 악기로는 기타(Guitarra), 기타론(Guitarron-1827년 이전 기타보다 저음을 나타내기 위해 기타를 변형한 악기), 비우엘라(Viuela- 1827∼1830년 사이 기타보다 고음을 나타내기 위해 제작됨), 바이올린(violin), 트럼펫(Trompeta)가 있다. 때에 따라선 퍼커션종류의 타악기도 사용하기도 한다.
4. 의상
현재 마리아치의 의상은 챙이 넓은 모자 형태의 솜브레로(Sombrero)와 차로 복장으로 대표된다. 이는 처음에 시릴로 마르몰레호(Cirilo Marmolejo)가 시작한 이래 1930년대부터는 마리아치의 공식적인 의상이 되었다.
5. 음악적 성격
마리아치의 음악은 초기엔 그 기원적 성격으로 인하여 종교적이며 여성적이고 다분히 낭만적인 서정적 음악이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우리에게도 친숙한 ‘베사메 무쵸’(Beame Mucho) 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1910년 멕시코 혁명으로 그 성격이 바뀌게 되었다. 멕시코 혁명 당시 혁명군은 군악대로서 마리아치와 동행하였고, 전쟁에서의 사기증진과 단합적인 기능을 위해서 이때부터 경쾌하고 활기찬 음악이 시작되게 된것이다. 대표적인 음악으로는 중학교3학년 음악교과서에도 나오는 ‘라꾸까라차’ (La Cucaracha) 이다. 여기서 혁명전의 음악인 ‘베사메 무쵸’ (Beame Mucho)와 혁명 시기에 나타난 음악인 ‘라꾸까라차’ (La Cucaracha) 를 들어보면 좀 더 명확히 그 차이를 알 수 있다. 가사에서부터 ‘베사메 무쵸’는 사랑을 노래하고 그 멜로디 또한 굉장히 서정적이다. 반면에 ‘라꾸까라차’는 가사의 함축적인 의미를 사용하여 당시의 비참했던 생활상을 노래하며 그 멜로디 또한 좀 더 경쾌하고 활기차다.
즉 혁명 후에 마리아치의 음악은 전에 비해 좀더 남성적이며 경쾌하고 신나는 음악적 성격을 띄게 된다. 이후 의상 또한 이러한 남성적인 성격을 더해주는 역할을 하였다.
여기서 우린 한 가지 의문점이 발생되었다, 보통의 군악대 편성에서 다른 악기보다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며 빠지지 않는 악기인 ‘북’이 마리아치의 악기편성에는 존재하지 않는 다는 점이다. (북소리의 진동수는 60~80Hz로서 인간에게 가장 민감한 진동수인 1000~2000Hz 에 훨씬 못 미친다. 이는 북소리의 저음을 단지 귀로서만 듣는 것이 아닌 몸으로 느끼게 해준다. 따라서 전쟁에서의 북소리는 몸의 떨림을 일체화 시켜 사기를 증가 시키고 단합을 통해 두려움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영화 ‘브레이브 하트’에서 전쟁 전에 백파이프 소리와 더불어 북소리가 둥둥 거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악기편성에서의 이러한 특이점은 전쟁형태의 차이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7.14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90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