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대 현대생활과 패션 01-07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주대 현대생활과 패션 01-07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1주차 ◆………………………………………………………………………………01p

◇ 현대에서의 이미지
◇ 사람의 첫인상과 이미지
◇ 자기 이미지와 나만의 스타일 만들기
◇ 의상 구입의 의의
◇ 패셔니스타가 되기 위한 노력
◇ 패셔니스타(Fashionista) 가 되는 길
◇ 패션아이콘
◇ 패셔니스타, 패션멘토(패션스승) 정하기
◇ 패션멘토 설정 시 유의할 점
◇◇ 정리 ◇◇


◆ 2주차 ◆………………………………………………………………………………04p

◇ 자신에 대해 생각해 보기
◇ 옷의 편안함
◇ 개인적 시각에 가두지 마라
◇ 자신감과 튀는 의상
◇ 영화 속 패션 (패션은 영화를 더 매력적으로 만든다)


◆ 3주차 ◆………………………………………………………………………………08p

◇ 모던(Modern) 스타일
◇ 클래식 스타일
◇ 빈티지(Vintage) 스타일
◇ 엘레강트(Elegant) 스타일
◇ 섹시(sexy) 스타일
◇ 로맨틱(romantic) 스타일
◇ 캐주얼(casual) 스타일
◇ 아방가르드 (Avant-garde)
◇◇ 지역적 특성이 잘 나타난 패션 스타일
◇ 파리스타일 (파리지엔 스타일)
◇ 도쿄스타일
◇ 섬유 용어


◆ 4주차 ◆………………………………………………………………………………13p

◇ 사이즈
◇ 브랜드 사이즈에 영향을 주는 비밀들
◇ 핏의 중요성
◇ 자신의 사이즈 찾기
◇ 핏 찾기
◇ 바른 체형 세우기, 걸음 걸이
▪▪ 정리 ▪▪


◆ 5주차 ◆………………………………………………………………………………19p

◇ 옷장과 자신의 스타일
◇ 키르케고르
◇ 작아진 옷
◇ 판단 미스로 사버린 고가의 의상
◇ 잘 모르지만 괜히 손이 안 가는 의상
◇ 유행을 기다리는 옷
◇ 앞으로 입을 옷은 없지만, 추억 or 특별한 의상
◇ 외출복
◇ 알고 보니 같은 옷
◇ 제1의상자 <좋아하는 의상>
◇ 남겨진 옷들의 마지막 정리


◆ 6주차 ◆………………………………………………………………………………23p

◇ 티셔츠
◇ 셔츠
◇ 블라우스
◇ 원피스
◇ 베스트
◇ 니트웨어
◇ 저렴하고 트렌디한 신상품 “유행과 자신의 스타일이 맞지 않을 때는?”
◇ 속옷
◇ 팬츠
◇ 데님 (청바지)
◇ 스커트
◇ 재킷
◇ 트랜치코트
◇ 코트 (정말 겨울에 입는 코트를 예로 설명)


◆ 7주차 ◆………………………………………………………………………………29p

◇ 쇼핑하기 전 기억해야 하는 것
◇ 대형 쇼핑몰 쇼핑
◇ 백화점 쇼핑
◇ 아울렛 활용법
◇ 빈티지 숍의 활용
◇ 인터넷 쇼핑몰

본문내용

생물과도 같아서 끊임없이 변화와 진화, 혹은 새로 생겨나므로 너무 한 가지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
최근 스타일 트렌드는 한 가지 스타일에 충실하기 보다는, 여러 스타일을 복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해 가는 것을 중요시한다.
◇◇ 지역적 특성이 잘 나타난 패션 스타일
◇ 파리스타일 (파리지엔 스타일)
- 정신적인 것 강조
- 자신의 생각과 가치관을 ‘의상’이라는 매체를 통해 메시지 전달
- 남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자유롭게 자신의 스타일 연출하므로, 특별한 규칙이 없다.
- 자기스타일대로 멋대로 입되, 자신만의 이유는 마음속으로 간직하라.
- 남에게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표현하고, 꼭 의류가 아니어도 왼다. (ex.향수 / 마릴린 먼로는 샤넬 no.5 를 입고 잤다)
- 미래 의상이 정신적 면과 자신의 의견 등을 메시지로 전달하는 기능 중심으로 발전할 것이란 관점에서, 파리스타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도쿄스타일
- 일본 젊은 여성들이 주로 입는 스타일
- 세분화되어 여러 스타일이 공존하게 되었다. 갸루 스타일, OL스타일 등 연령층과 직업에 따라 스타일이 달라진다.
- 기본적으로 심플, 약간 빈티지 (처음 보는 사람들에게는 지저분하고 촌스러운 느낌을 주기도 한다)
- 몸에 밀착되는(핏트한) 의상은 거의 입지 않고, 의상과 의상 혹은 의상과 소품간의 믹스매치와 레이어드
(드레시하고 귀여운 워피스 + 청자켓 , 정장 원피스에 백팩을 매어 전혀 다른 텍스쳐의 의상으로 믹스매치하여 클래식하면서도 캐주얼하게)
- 신발도 중요하다. 카우보이 부츠.
- 일단 전체적인 톤은 유지하며 포인트만 디테일하게 꾸미면 도쿄스타일이 될 수 있다.
tip.
톤 (tone)
: 채도와 명도를 합해 놓은 색채 용어. 보통 톤이 ‘높다’, ‘낮다’로 표현
그런지 룩 (grunge look)
: 더럽고 혐오감을 주는 지저분한 스타일
: 하류층 의복의 요소로 하여금 엘리트주의에 대한 반동 표현
: 털실로 짠 옷, 모자, 낡은 느낌의 패치워크, 감지 않거나 제멋대로 자른 머리, 군화 스타일의 부츠 등을 소품으로 활용하며
개성에 따른 창의적 레이어링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세기말의 패션 전환기를 향한 영스트리트 패션의 단면을 보여주었다.
펑크 스타일 (punk-style)
: 1970년대 후반 런던 하층 계급의 젊은이들 사이에 유행한 복장과 헤어스타일
: 너덜너덜한 티셔츠에 술을 단 자켓을 입거나 머리털을 세우는 게 특징
드레이프 (drape) 성
: 주름의 흘러내리는 느낌이 부드러운 정도를 나타내는 직물의 한 특성
스플릿 스커트 (split skirt)
: 일명 치마바지
: 폭이 넓은 헐렁한 형태의 바지나 긴 반바지와 같다
: 디바이디드 스커트, 팬츠 스커트, 퀼로트라고도 부름
◇ 섬유 용어
알파카 (alpaca)
- 낙타과의 일종으로 그 동물에서 얻는 섬유
- 모 헤어(hair)의 한 종류로 광택이 있고 보온성이 뛰어난 섬유로서 겨울용 원단을 만든다
- 종종 다른 섬유와 혼방된다
- 코트, 스웨터, 숄 등 겨울용 의류로 많이 사용된다
카멜 (camel hair)
- 낙타에서 얻는 털로서 겨울용 원단
- 알파카와는 서로 사촌이다.
- 낙타의 털 부위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지만 보통은 아주 훌륭한 겨울 코트의 원단이 된다. 고가이다.
캐시미어 (cashmere)
- 겨울용 의류에 많이 사용되는 섬유
- 모 헤어(hair)의 한 종류. 알파카, 카멜과 함께 고급 울의 일종이다.
- 성능이 뛰어나고 (촉감, 보온성, 함기성 등) 생산량이 한정되어 있어 가격이 매우 높다 (캐시미어 제품인데 가격이 지나치게 낮으면 의심해보라)
- 다른 섬유와 (다른 울이나 헤어 등) 혼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 세계적으로 캐시미어의 함유량과 표기를 관리하는 단체(이익단체가 아니다)가 있을 만큼 관리되어진다
저지 (jersey)
- 가볍고 신축성 있는 두꺼운 메리야스 직물
- 저지는 영국 해협의 가장 큰 섬의 이름으로, 이곳에서 생산되는 양모로 만든 허름한 스웨터에서 유래
- 본래 ‘메리야스뜨기’로 만든 스웨터 또는 내의의 명칭이었으나 근래에 와서는 가는 모사를 써서 경편기 또는 환편기 (니트 기계의 종류) 로 짠 천
- 니트 천이기 때문에 신축성이 좋고 표면이 매끄러우며 드레이프성이 좋다
- 운동복 외에도 최근에는 티셔츠 자켓 등 의류의 종류를 가리지 않고 다양하게 이용
- 샤넬이 저지를 소재로 생산해내면서, 저지는 의류상품의 유행이 되었다고 한다
바틱 (batik)
-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한 동남아시아의 전통 염색법으로 방염(염색이 되지 않게 하는 것)의 일종
- 방염은 나무로 하여 문양을 표현하는데,
처음에 무늬를 밀랍으로 막은 다음 다른 무늬를 그리고 염색하는 과정을 3-4차례 반복함으로써 다색과 혼합의 효과를 얻는다.
- 주로 면직물에 쓰이며 청색, 갈색, 홍색 등 전통적인 색상 사용
번-아웃 (burn out)
- 태워 없앤다는 의미
- 섬유가공의 의미로는, 2가지 이상의 다른 종류로 만든 원단의 일부를 화학양품으로 태워(녹여) 문양을 만들어내는 가공법통풍효과와
멋진 시스루 룩 (see through look)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
- 보통 벨벳에 이 가공을 주로 써서 문양의 효과를 낸다
헤링본 (herringbone)
- 능직물의 일종
- 삼나무의 잎사귀를 늘어놓은 것 같은 산형 무늬를 나타낸 조직 및 그 직물
- 대표적인 것은 청어(헤링)의 뼈(본)를 늘어놓은 모양
- 대부분 모직물이지만 면, 레이온 직물도 있다
- 모직물은 겨울용으로 경쾌한 슈트, 신사복, 코트 등에 쓰이며 레이온 직물은 안감과 여성복지 등에 쓰인다.
쉬폰 (chiffon)
- 가볍고 드레이프성이 좋으며 비칠 듯한 얇은 외관을 갖고 있는 원단
- 보통 쉬폰은 실크로 만들어진 것을 뜻하나 최근에는 섬유기술의 발달로 화학섬유로도 매우 유사한 외관의 원단을 만들어낼 수 있다
- 고급 블라우스, 스카프 원단으로 많이 사용된다
코듀로이 (corduroy)
- 일반적으로 ‘골덴’이라 불리는 원단 (그러나 골덴은 잘못된 발음이다)
- 눈에 띄게 골이 지게 짠 직물로, 골의 형태는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14.05.03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6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