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시론과 현대 시조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요시론과 현대 시조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면서
2. 민요시론의 형성과 전개
2-1. 민요시의 형성
2-2. 민요시론의 전개
(1) 민요시론의 외래사조 영향 - 표현론(낭만주의), 모방론, 효용론 중심
(2) 민요시론의 한계 - 정형으로 회귀
3. 현대시조론의 형성과 전개
3-1. 현대시조의 형성(초기)
3-2. 현대시조의 전개(시조부흥운동 중심)
3-3. 현대시조의 부흥기(광복후)
4. 마무리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듯 동시대의 두 의식은 현대시 형성의 두 축이 이루는데, 이러한 이유로 앞선 연구에서 현대시 형성의 전통지향과 서구지향에 대한 분석은 다양하다. 정한모(『현대시론』, 민중서관, 1973, 한국현대시요람, 박영사, 1974), 김용직(『한국 현대시 연구』, 일지사, 1974, 『한국근대문학의 사적이해』, 삼영사, 1982,『문학개설』, 박영사, 1983), 김윤식(『한국현대시론비평』, 일지사, 1976), 조동일(『한국문학사상사시론』,지식산업사, 1978), 박호영(근대시 형성의 미학 - 1920 년대 초기 시론을 중심으로 -, 한국학술정보, 1978), 김대행(『한국시의 전통연구, 개문사,1980), 오세영(『한국낭만주의시연구』, 일지사, 1980), 최원규(한용운사상연구, 한국학술정보, 1980), 한계전(한국 근대시론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82, 『한국현대시론연구』, 일지사, 1983), 양왕용(『한국근대시연구』, 삼영사, 1982) 등이 있다.
그러나 한 시대의 문학이 단순히 개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결국, 앞 시대의 문학은 뒷시대의 문학으로 지속되고 그 지속과 함께 변화가 일어나므로 지속과 변화를 함께 포괄하여 계승된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2, 237쪽.
그러므로 자유시 형성과 민요시 현대시조 형성을 이원적으로 보지 않고 동일선상에 두고 살펴보려고 한다.
본 고는 앞선 연구를 바탕으로 20년대 전후의 민요시론과 현대시조론을 중점으로 보고, 조동일 조동일, 앞의 책, 237쪽.
의 주장을 바탕으로 전통지향과 서구 지향의 시선을 동일선상에서 보도록 하겠다. 이는 자유시 형성에 공헌을 한 일부 시인들이 민요시와 현대시조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또한 서구지향의 자유시 형성의 방향이 민요시로 옮겨간 과정의 필연성을 찾고, 민요시에서 다시금 시조를 끌고 나와야 했던 시대상과 그들의 시론을 조명하도록 하겠다.
본 고를 진행함에 있어 당시 시의 전개에 중심적 역할을 한 시인들의 시론을 바탕으로 하겠다. 또한 논의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 해당 시인의 시를 언급하도록 하겠다.
2. 민요시론의 형성과 전개
민요시 민요시는 민요를 지향하면서 씌어진 개인 창작시로 정의되며, 민요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민요와 공통적 특질을 가지지만 개인 창작시라는 점에서 민요와 다르다. 민요시는 뚜렷한 개인의 창작시이므로 비록 민중 혹은 주관 표현이 존재한다. -오세영, 『한국낭만주의시연구』, 일지사, 1980, 38쪽.
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922년 1월 25일에 썼다는 김억의 번역시집 ‘일허진 진주’의 서문에서 발견된다. 그리고 시 작품 제목 아래 ‘민요시’라는 표시를 붙인 최초의 시는 김소월의 ‘진달래꽃’(개벽 25호, 1922.7)에서 이루어진다. 송재일, 한국 현대시의 형성 미학, 국학자료원, 1999, 58쪽.
이와 같이 1920년대 이후의 민요시의 수용은 다분히 의도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민요시운동은 1920년대 이전에도 이루어 졌다. 첫 번째 민요시 운동은 조선 후기의 한시가 민요를 본뜨고자 했던 운동으로 정약용이 ‘조선시’라 일컬어지는 시를 짓고자 했으며, 두 번째 민요시운동으론 1900년대에 신문이나 잡지에서 민요를 개작해 애국계몽의 주장을 나타낸 것으로 신채호에 의해 ‘동국시계혁명(東國詩界革命)이 이루어졌다. 본 고는 1920년대 이후에 이루어진 민요시 운동을 중점으로 다루도록 하겠다.
이와 같이 시작된 민요시의 형성을 20년대 전후를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대표적 민요시인인 김억, 주요한, 홍사용, 김소월, 김동환의 시론을 통해 이를 살펴보겠다.
2-1. 민요시의 형성
민요시의 형성배경은 3·1운동 이후 고조된 민족의식과 민중의식, 그리고 역사, 고전, 민속 등 전통문화의 탐구열과 같은 일련의 역사적 분위기에서 형성 오세영, 앞의 책 22~29쪽.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그 이전에도 민요시라 볼 수 있는 작품이 김소월, 김석송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전에 상징주의에 심취하여 자유시의 형식을 세계적인 시형이라고 옹호하던 황석우도 현철과의 논쟁이후 한동안 시작을 중지하였다. 이러한 분위기는 문단 전체로 대대적으로 일어났고 1920년대 초기 ‘창조’, ‘폐허’, ‘백조’에서 활동하던 시인들은 시 경향을 바꾸거나 그렇지 않은 시인들 또한 우리 민족의 얼을 강조하게 되었고, 조선의 혼, 조선의 힘을 보여줄 수 있는 전통적 소재를 찾았으며, 전통회귀 성향은 강해져 갔다.
192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민요시는 여러 시인들에 의해 쓰이기 시작하는데, 이로 인해 시단의 쟁점으로 부상되기 시작했다. 앞서 언급과 같이 1920년대 초기에도 민요시로 볼 수 있는 작품은 김소월, 김석송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작품이 하나의 동일한 맥에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논의가 이루어지기에는 부족한 작품수였다. 본 고에선 이로 인해 논의에서 제외하기로 한다.
민요시를 옹호하는 시인들은 대체로 초창기의 자유시 작품들이 남의 시를 모방한 데 지나지 않으며, 민족 또는 민중의 정서와 감정을 등한시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근대시의 새로운 방향은 서구지향의 자유시를 극복하고, 우리 시의 내적 전통을 토대로 한 주체적인 문학의 성립에서 찾아야 한다고 했다. 이렇듯 1920년대 중반 이후, 자유시의 대표 작가였던 김억, 주요한은 초기 서구지향의 자유시 경향을 반성하고, 전통 지향의 시작 태도로 전환하게 된다. 이러한 태도를 먼저 나타낸 주요한은 ‘노래를 지으시려는 이에게’라는 글로 민요를 바탕으로 시를 써야 한다는 주장을 최초로 밝힌다. 김억 또한 전통지향의 의식을 나타내기 시작한다.
신시 운동에 잇어서도 과거 오륙년간의 운동이 대부분은 모방에 지자니 못한 것이 사실이라하겟습니다. 그리고 그 모방은 엇던 우리의 큰 작가가 잇서서 그를 모방한 것이 아니오 아모러케 굴러도 외국 작가의 모방밧게 될 것이 업섯습니다. 물론 우리 가운데는 혹순젼한 독챵적 작품을 지으려고 로력도 하엿겟지오. 그러나 그것이 얼마나한 열매를 매저지는 의문이외다. 이제부터 나아갈 우리의 길은 다름이 아니라 외국문화 젼제에서 버서 나서 국민
  • 가격1,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5.10.28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56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