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사, 박이정, 2010년
서정범,우리말의 뿌리, 고려원, 1989년 Ⅰ. 서론
Ⅱ. 본론
1.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
2.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
1) 고대국어의 특징
2) 전기 중세국어의 특징
3) 후기 중세국어의 특징
4) 근대국어의 특징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7.03.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 시기를 전기와 후기로 나눈 기준은 14세기경에 있었던 대규모의 모음 변화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중세 한국어와 근대 한국어의 구분 역시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전란 이전에 이미 한국어의 변화가 시작되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학습서의 검토를 통해 중국어 어음체계의 변화를 고찰하여 그 특징을 살피고 특히 중국어 표음에 사용된 한글문헌의 연구가 한국어와 중국어 양 언어의 체계적 연구에 그 가치가 있음을 환기하고 있다.
고대국어에 대한 연구는 지명과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미 -\'-고\'(古,遺), \'-며\'( ?), \'-다가\'(如何)
종결어미 - 평서문의 \'-다\'(如) 의문문의 \'- 고\'(古)
선어말어미 -주체경어법\'-시-\'(賜) 객체경어법\'- 제6장 국어사
6.1.1. 세계의 여러 어족
6.1.2 알타이어족과 국어
6.1.3 국어의 계통
6 . 2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5.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가 일본어 형성에 커다란 기여를 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어는 일본어의 근본적인 형성에 관여했으며 일본어는 근대에 와서 식민지 시대와 같은 역사적 상황으로 인해 한국어에 영향을 주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게 한다. 이웃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13.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가 일본어 형성에 커다란 기여를 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어는 일본어의 근본적인 형성에 관여했으며 일본어는 근대에 와서 식민지 시대와 같은 역사적 상황으로 인해 한국어에 영향을 주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게 한다. 이웃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ㄱ, ㄷ, ㅂ 중 같은 조음 위치의 불파음으로 바뀌는 중화 현상을 일으킨다. 중화 현상에 의해 현대 국어의 음절말 자음은 7개(ㄱ,ㄴ,ㄷ,ㄹ,ㅁ,ㅂ,ㅇ)의 자음만이 허용된다.
ㄱ계: 색, 부엌, 닦고 [ㄱ]
ㄷ계: 곧, 낱 [ㄷ]
ㅅ계: 낫, 났다[ㅅ]
ㅈ계: 낮,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4.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능력 배양을 위한 프랑스의 노력, 한선혜, 서울대학교 불어 불문학과 강사
한국 불어교육 연구회, 프랑스 문화 사전, 어문학사, 1999 Ⅰ. 서론
Ⅱ. 프랑스어(불어)의 발전과정
1. 발생과 성립
2. 고프랑스어
3. 중기 프랑스어
4. 근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의 80%이상이 영어에서 유래됨.
(シャツ ハンカチ ビル カ-テン ハウス サッカ テレビ ジュス)
⑧프랑스어 : 영어보다 늦게 유입 제1절 어휘의 의미
제2절 어휘량과 어휘조사
제3절 어휘의 분류
제4절 어의(語義)
제5절 어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모음의 비모음화
한국어의 비모음화 규칙은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비모음화 현상을 유형화하여 보이면 다음과 같다(V=모음).
(1)ㄱ. -Vŋ(+)i-. 골배이(우렁이)[kolby]~골배(<골뱅이<골방이), 우레이(<우렁이)
콩[豆]-이→[khoi], 장[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