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 모음 자료 15C와 16C 분류
10. 훈민정음의 체계
11. 후기 중세 국어의 자음 체계
(1) 유무성의 대립
(2) 된소리 체계
(3) 유성 마찰음 음가의 소실과정
12. 어두자음군
13. 종성체계
14. 음절말 모음간 자음에 관한 규칙
15. 모음체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9.08.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질
2장 음운론
1. 음운론이란?
1.1 음성학과 음운론읜 차이
1.2 음운론에 대한 실례
2. 몇 가지 개념 정의
2.1 음소/이음
2.2 최소대립쌍/상보적 분포
2.3 자유변이
3. 운운형상
3.1 음소 배합
3.2 음운 규칙
3장 형태론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200원
- 등록일 2019.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체계이다. 운소에 있어서는 후창 동부지역을 제외하고는 성조가 비변별적이며, 나머지 지역은 음장이 변별적이다.
치경음 ‘ㄷ, ㅌ’이 치음으로, 경구개음 ‘ㅈ, ㅊ’이 치경음으로 실현된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구개음화가 실현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자음이 음절 말음에서 중화되는 현상을 인식하고 있던 증거다, 이어서 국어에서는 한자음처럼 일일이 ‘ㅇ’종성을 첨가하지 않아도 중성이 음을 이룰 수 있다고 하였다. 당시의 학자들은 하나의 자음은 반드시 초 · 중 · 종성을 갖추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개음화 : 곧이듣다[고지듣따]
27. 자음 동화 : 몫몫이[몽목씨], 옷맵시[온맵씨], 앞마당[암마당], 읊 는[음는], 협력[혐녁], 광한루[광할루], 선릉[설릉], 공권력[공 제1부 바른 언어 생활
제2부 다양한 언어 생활
제3부 문학과 삶
|
- 페이지 6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학적 특징
가. ‘두시언해’ 초간본과 중간본의 비교
나. ‘두시언해’의 문법적 특징
다. ‘두시언해’의 표기법 특징
라. ‘두시언해’의 음운론적 특징
마. ‘두시언해’의 어휘 표기상 특징
4.결론
※ 참고문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6.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개음화, 움라우트, 전설모음화, 어두 경음화 현상, 경상북도와 유사
라. 경상남도 방언에서 ‘ㅊ’음절말음을 가진 명사가 사라지는 현상
표준말인 ‘꽃, 낯, 빛, 윷, 옻’ 이 ‘ §들어가기
§방언의 개념
◇방언과 표준어
◇언어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개음화
3. 모음
4. 두음법칙
1)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경우
2) 한자음 ‘랴, 려,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경우
3) 한자음 ‘라, 래, 로, 뢰, 루, 르’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경우
5. 어간과 어미
6. 접미사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 Ⅳ-1
2. 국어의 음운 Ⅳ-1
(1) 모음과 자음 Ⅳ-1
(2) 소리의 길이 Ⅳ-1
3. 음 절 Ⅳ-2
4. 음운의 변동 Ⅳ-2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Ⅳ-2
(2) 자음 동화 Ⅳ-3
(3) 구개음화 Ⅳ-3
(4) 모음동화 (Umlaut 현상) Ⅳ-3
(5) 모음조화 Ⅳ-3
(6) 음운의 축약과
|
- 페이지 5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3.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은 추상적이며 심리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곧 음성과 음운은 언어마다 그 관계가 서로 다르며, 음운의 수효도 제각기 다름을 뜻한다.
국어의 음운에는 단모음 10개, 이중 모음 11개, 자음 19개가 있다, 음운은 말의 뜻을 구별해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