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리가 덧나는 사잇소리 현상 등이 있다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음절의 끝에 받침으로 특정한 자음만이 오는 규칙이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은 받침이 되는 자음이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일곱 가지만 올 수 있으며 이외의 자음들은 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13.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머리말
중화란 어떤 음소가 특정한 조건에서 변별 기능을 잃고 구별되지 않게 되는 것을 말한다. 신지영, 차재은, 『우리말 소리의 체계』,한국문화사, p. 185.
우리나라 말에서의 중화현상에는 음절끝소리 규칙(=말음법칙, 대표음화)이 있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이화는 음운도치와 마찬가지로 그리 자주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다. 두 현상 모두, 어떤 음과 어떤 음이 만나면 반드시 어떤 현상이 일어난다는 엄격한 규칙이 없고 같은 조건에 있는 단어 중에서도 특정 단어에만 일어나기 때문이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0.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리에 나타나지 않지만, 문화어에서는 이러한 소리가 첫소리에 나타난다. 그래서 북한에서는 ‘노동 신문’을 ‘로동 신문’으로, ‘여자’를 ‘녀자’로 표기하고 발음도 그렇게 한다.
표준어에서는 ‘심리’, ‘항로’와 같이 받침 ‘ㅁ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끝소리 규칙에 선행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함.
[자세히] 읊다-(자음군단순화) → 읖다 - (음절의 끝소리규칙) → 읍다 -(경음화) → 읍따
어간말 자음군 단어들은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이 오지 않는 한 자음군 C1C2 중 하나가 반드시 탈락
|
- 페이지 56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21.08.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