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급 공무원 국어 요약 핸드북o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9.7급 공무원 국어 요약 핸드북o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작 문

Ⅰ. 글쓰기의 이해

Ⅱ. 글의 표현

Ⅲ. 실용적인 글

Ⅳ. 독서와 화법

제2장 현대 문학

Ⅰ. 문학 일반론

Ⅱ. 현대 문학의 흐름

Ⅲ. 문학의 장르 및 감상

제3장 고 문

Ⅰ. 옛말의 문법

Ⅳ. 어학적인 글의 이해

Ⅴ. 문학적인 글의 이해

Ⅵ. 고전 문학의 흐름

제4장 현대 문법

Ⅰ. 언어와 국어

Ⅱ. 문법의 체계

Ⅲ. 표준어 규정과 한글 맞춤법

Ⅳ. 어법에 맞는 문장

제5장 한 문

Ⅰ. 한자의 이해

Ⅱ. 한자 성어와 속담

본문내용

② 파열음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을 이룸(ㅂㅃㅍ/ㄷㄸㅌ/ㄱㄲㅋ/ㅈㅉㅊ).
③ 음의 장단으로 뜻이나 어감의 차이를 나타냄.
④ 유음 ㄹ의 소리 /r/과 /l/의 구별이 불분명
⑤ 매개 자음, 매개 모음이 쓰임.
⑥ 음절 끝소리 규칙, 모음 조화, 자음 동화, 두음 법칙, 구개음화, 활음조 등
⑦ 음상(音相)의 차이가 어감뿐 아니라 의미를 분화시킴.
⑶ 어휘상 특질
① 음성 상징어(의성의태어), 존비어, 감각어가 발달
② 외래어 중 차용어, 특히 한자어가 많음.
3
국어의 순화
⑴ 개념 : 우리말의 잡스러운 것을 걸러서 다듬는 일, 효과적인 국어 생활의 저해 요소들을 제거하는 것
⑵ 대상 : 은어, 비어, 속어, 욕설, 외래어 및 외국어 등
⑶ 이유 : 말의 반작용 억제, 말은 민족적 세계상의 반영, 인식의 ‘체’로서의 기능 회복
4
북한의 말
⑴ 특징
① 전설 모음화 인정② 두음 법칙 인정 ×
③ 된소리 현상이 두드러짐.④ 외래어로 러시아어의 영향 받음.
⑤ 의성의태어 多⑥ 파생법이 남한말에 비해 생산적임.
⑦ 복수 접미사 ‘들’ 사용⑧ 사이시옷 사용 안함.
⑨ 고유어 사용⑩ 붙여 씀(띄어쓰기 ×).
⑵ 남북의 언어 비교
공무원 - 정무원대중가요 - 군중가요
장모 - 가시어머니커튼 - 주름막
삐삐 - 주머니종노크 - 손기척
샤워실 - 물맞이칸로터리 - 도는네거리
산책길 - 유보도(遊步道)가정주부 - 가두녀성
Ⅱ. 문법의 체계
1
형태소
⑴ 개념 :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 철수/가/이야기/책/을/읽/었/다. (8개)
⑵ 갈래
기 준
갈 래
대 상
보 기
자립성 여부
자립 형태소
체언, 수식언, 감탄사
철수, 이야기, 책
의존 형태소
조사, 어간, 어미, 접사
가, 을, 읽, 었, 다
실질적 의미 유무
실질 형태소
체언, 수식언, 감탄사, 어간
철수, 이야기, 책, 읽
형식 형태소
조사, 어미, 접사
가, 을, 었, 다
2
단어의 구조
⑴ 단일어(단일 어근) : 집, 나무, 하늘, 높다, 도시락
⑵ 복합어(둘 이상의 형태소)
① 파생어(어근+접사)
접두 파생어
(어근의 뜻만 제한)
갓마흔, 맏아들, 개떡, 깔보다, 짓밟다, 치밀다, 새까맣다, 다급하다, 덩두렷이, 맨먼저, 외따로
접미 파생어
(품사 변화)
꾀보, 장난꾸러기, 놀이, 덮개, 무덤(묻+엄), 덜렁이, 운동하다, 남기다, 밝히다, 깜박이다, 신사답다, 넓적하다, 나날이, 정성껏, 마주(맞+우), 멀리, 더욱이, 우호적, 겨우내, 그까짓
② 합성어(어근+어근)
통사적 합성어
돌아가다, 뒤떨어지다, 작은아버지, 날짐승, 온종일, 늙은이, 잘나다, 앞서다, 힘들다, 재미나다, 본받다, 애쓰다, 길바닥, 밤낮, 돌다리, 곧잘, 죄다, 더욱더, 이리저리
비통사적 합성어
들것, 꺾쇠, 늦잠, 검버섯, 굶주리다, 오르내리다, 여닫다, 굳세다, 검푸르다, 부슬비, 산들바람, 촐랑새
3
문장의 종류
⑴ 홑문장: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한 번만 이루어진 문장
⑵ 겹문장: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두 번 이상 이루어진 문장
① 문장 속의 문장 : 안은 문장 속에 다른 홑문장이 성분으로 안겨 있는 문장
┌ 명사절로 안긴 문장 철수가 천재임이 밝혀졌다.
├ 관형절로 안긴 문장 그가 애쓴 사실이 밝혀졌다.
├ 서술절로 안긴 문장 이 책은 글씨가 너무 잘다.
├ 부사절로 안긴 문장 예상과는 달리 그가 우승을 했다.
└ 인용절로 안긴 문장 나는 네가 옳다고 믿는다.
② 이어진 문장 : 둘 이상의 홑문장이 연결 어미에 의해 이어진 문장
┌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바람이 불고 비가 내렸다.
└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눈이 와서 길이 질다.
4
높임법
⑴ 주체 높임법:선어말 어미 ‘-시-’를 써서 행위의 주체를 높임.
① 압존법:문장의 주체가 말하는 이보다 높아도 말 듣는 이보다 낮으면 높이지 않음.
┌ 할아버지, 작은아버지가 아버지한테 뭔가 주었습니다.
└ 아버지, 형이 오늘 도착한대요.
② 간접 주체 높임법:높임 대상인 주체의 신체 부분, 소유물, 생각 등을 높여 주체를 높임.
┌ 선생님, 외투가 무거우시죠?
└ 댁에 정원사가 있으시죠?
⑵ 상대 높임법
① 격식체 : 해라체, 하게체, 하오체, 합쇼체 의례적, 거리감
② 비격식체 : 해체, 해요체 친근감
5
의미의 종류
⑴ 중심적 의미 :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의미 손을 씻어라. (手)
⑵ 주변적 의미 : 문맥이나 상황에 따라 확장되어 사용되는 의미 손이 모자란다. (노동력), 손이 크다. (씀씀이), 손을 끊겠다. (관계)
6
의미의 사용
⑴ 중의적 표현
① 그 잘생긴 사장의 아들이 사무실로 들어섰다. ‘잘생긴’이 수식하는 것이 ‘사장’인지, ‘사장의 아들’인지 모호하다
② 나는 철수와 순이를 만났다. 내가 철수와 함께 순이를 만난 것인지, 내가 철수와 순이 둘을 모두 만난 것인지 모호하다.
⑵ 간접적 표현
① 방이 덥습니다. 창문을 열어 주십시오. (청유)
② 자 좀 빌려 줄래. 자 좀 빌려 줘. (명령)
⑶ 관용적 표현
① 그는 발이 넓다. 아는 사람이 많다.
② 그녀는 눈이 높다. 좋은 것만 탐낸다.
⑷ 잉여적 표현
① 여성 자매 두 분
② 역전 앞에서 만나자.
7
의미 변화의 원인
언어적 원인
음운, 형태, 통사적 원인으로 인한 의미 변화 전염, 생략, 절단, 민간 어원
별로(긍정+부정부정)
아침밥( 아침), 콧물( 코)
행주치마(민간 어원)
역사적 원인
언어는 그대로 있고, 지시 대상이 변하여 일어나는 의미 변화
대감(무관직고관장관의 존칭)
하늘(둥근 것 우주 공간)
사회적 원인
사회 구조, 사회 계층에 따른 의미 변화
왕(임금제1인자, 크다)
복음(기쁜 소식 그리스도의 가르침)
심리적 원인
심리적 연상 작용과 금기에 의한 의미 변화
호랑이산신령, 홍역손님
권총 돼지다리(625 당시)
Ⅲ. 표준어 규정과 한글 맞춤법
1
빈출 표준어
끄나풀강낭콩사글세돌셋째넷째오뚝이냄비
수꿩수놈수캉아지수퇘지숫양서울내기깍쟁이상추
멋쟁이담쟁이아지랑이미장이괴팍하다으레주책윗도리
윗니위쪽위층웃어른웃옷구절시구글귀
무꼭두각시낭떠러지넉되미루나무호루라기설거지 귀띔
2
표준 발음법
소리의 길이
눈보라[눈ː보라]/첫눈[천눈], 말씨[말ː씨]/참말[참말]
받침소리 규칙
옷[
  • 가격3,3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2.11.29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27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