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치적의(치翟依)
3) 적의(翟依)
4) 원삼
5) 당의(唐衣)
2. 서민 예복
1) 단삼(團)
2) 활옷
3) 원삼
4) 저고리
3. 서민 일상복
1) 쓰개치마, 장옷
2) 기생복( 조선후기 기생의 외출복)
3) 고쟁이
4) 개짐
참고문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시대 여성의 속옷
*다리속곳
속속곳이 없어지면서부터 흔히 입었으며 살에 직접 닿는 것이므로 계절에 관계없이 흰 무명이나 모시, 베 등을 사용하였다. 1920년 무렵부터는 무명으로 된 짧은 팬티로 대체되었다.
*속속곳
다리속곳을 입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4.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옷에 많이 사용되었다. 유물로는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고려시대 대의와 중의에 맺은 단추가 달려 있는 것이 있다. 1. 머리모양
1) 얹은머리
2) 쪽진머리
3) 땋은머리
2. 조선시대의 장신구
1) 비녀
2) 머리 장식
3) 귀걸이
4) 지환(指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대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입니다.
Ⅳ. 參考文獻目錄
경기도박물관, <조선의 옷매무새>, 민속원, 2002.
권오창, <인물화로 보는 조선시대 우리옷>, 현암사, 1998.
금기숙, <조선복식미술>, 열화당, 1994.
이경자, <우리옷의 전통양식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6.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옷
조선시대 부녀자들이 외출할 때 얼굴을 가리기 위해 사용하던 쓰개의 하나로 초기에는 서민 부녀자들만 사용했고, 후기로 오면서 양반집 부녀자들도 착용했으나 개화기를 맞아 여성의 활동이 자유로워지면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전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