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급 공무원 국어 족집게 강의자료o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9.7급 공무원 국어 족집게 강의자료o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장. 언어의 이해

2장. 현대 문법의 이해

3장. 어문 규정

4장 바른말 좋은글

5장. 혼동하기 쉬운 말

본문내용

인정이 많으시다.
인용절
-고(간접 인용)
-라고,-하고(직접 인용)
우리는 인간이 누구나 존귀하다고 믿는다.
기환은 당황하여 “무슨 일이지?” 하고 물었다
4. 높임 표현
⑴ 주체 높임법
① 행위의 주체를 높임.
② 선어말어미 ‘-시 -’에 의해 실현됨.
③ 직접 높임 : 문장의 주체가 되는 대상을 높임.
거기에 아버지께서 계셨다.
④ 간접 높임 : 높여야 할 대상의 신체 부분, 개인의 소유물 내지 주체와 관련된 사물을 높임.
선생님 외투가 무거우시죠.
선생님 말씀이 있으시겠습니다.
참고) 있다(간접 높임), 계시다(직접 높임)
⑵ 객체 높임법
① 행위에 미침을 받는 대상을 높임.
② ‘드리다, 뵈다, 여쭙다, 모시다’의 서술어로 실현
③ 조사에 ‘에게’대신 ‘께’를 사용한다.
나는 선생님께 과일을 드렸다.
⑶ 상대 높임법
① 듣는 사람을 높임.
② 문장의 종결 표현으로 실현.
③ 해라체, 하게체, 하오체, 하십시오체로 구분된다.
5. 시간 표현
⑴ 과거 시제 :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먼저 있는 시제
① -았- / 었-을 사용
② 동사 어간 + 관형사형어미 ‘-ㄴ’ 간 사람, 먹은 우유
③ 회상할 때는 ‘-더-’를 사용 보았더니
④ 형용사와 서술격 조사 다음에서는 ‘-던’이 쓰임.
연인이던 사이야. 아름답던
⑵ 현재 시제 : 발화시와 사건시가 일치하는 시제
① 동사 + 현재시제 선어말 어미 -는- / -ㄴ- / 한다. 먹는다.
② 형용사, 서술격조사에서는 선어말어미 없이 기본형으로 현재를 나타냄. 예쁘다
③ 동사 + 관형사형어미 ‘-는’ 잠을 자는 아이
④ 형용사, 서술격조사 + 관형사형어미 ‘-(으)ㄴ’
아름다운 여인
⑶ 미래 시제 :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나중인 시제
① 선어말어미 ‘-겠-’ 사용 다녀오겠습니다.
② ‘-리-’, ‘-리다’, ‘-리라’, ‘-ㄹ까-’ 등을 사용하며 예스런 의미를 나타냄. 전화하리다.
③ 관형사형어미 ‘-ㄹ’이 사용됨. 떠날 사람
3장. 어문 규정
1. 맞춤법과 표기법
① 게송, 게시판 휴게실

명중률, 합격률, 직렬
모음이나 ㄴ받침 뒤 - 나열, 실패율, 백분율, 선열

신 - 여성 남존 - 여비
신년 - 도, 고랭 - 지, 한랭 - 전선

노동량, 독자란, 쌍룡
고유어, 서구외래어 + ‘ㄹ’로 시작된 한자어 → 일양, 알카리양, 어린이 난, 토픽난, 숫용

담그다 : 김치를 담가 먹었다.
담다 : 김치를 그릇에 담아 먹다.
⑥ㅂ불규칙
1음절어는 모음조화에 따라 → 구워, 도와
2음절어는 ‘ㅜ’로 바뀜 → 아름다워, 가까워
⑦ ‘-이’와 ‘-히’는 발음에 따라 적는다.
⑦ 단 ‘이’와 ‘히’인지 분명하지 않은 것은 ‘-하다’를 붙여 말이 되면 ‘-히’로 적는다.
⑧ 사잇소리(합성어에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에 쓴다.)
⑦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 : 귓밥, 모깃불, 뱃길, 자릿세, 탯줄, 찻잔, 전셋집
⑦ ㄴ, ㅁ앞에서 ㄴ소리가 덧남 : 아랫니, 아랫마을, 뒷머리, 냇물, 곗날, 됫마루, 제삿날
⑦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남 : 두렛일, 뒷일, 나뭇잎, 댓잎, 사삿일, 훗날, 예삿일
⑦ 한자어 + 한자어 : 곳갓, 셋방, 찻간, 숫자, 툇간, 횟수
⑨ ㅎ소리가 덧나는 단어 : 살코기, 수캐, 수컷, 수탉, 수키와, 안팎(수벌, 수범은 예외)
⑩ 어간의 ‘하’
⑦ 울림소리 다음 : 간편케, 흔치, 다정타
⑦ 안울림소리 다음 : 거북지, 넉넉지, 생각건대, 섭섭지, 깨끗지, 익숙지

던지 : 회상 - 얼마나 놀랐던지 몰라.
든지 : 선택 - 먹든지 말든지 마음대로 해라.
⑫ 이오(종결어미), 이요(연결어미)
이것은 책이오.
이것은 진리요, 길이니라.
2. 띄어쓰기
⑴ 조사는 붙여쓰고, 의존명사는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다.
⑵ 구별해야 할 띄어 쓰기
① ‘대로, 만큼, 뿐, 지’는 관형사형 뒤에서는 의존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② 들
복수 - 접미사 남자들
열거(그런 따위) - 의존명사 쌀, 보리, 콩 들을 곡식이라고 한다.
③ 만
비교 - 조사 이것은 그것만 못하다.
시간 표현 - 의존명사 떠난지 사흘 만에 돌아왔다.
⑶ 수를 적을 때는 ‘만’단위로 띄어 쓴다.
⑷ 두 말을 이어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는 말은 띄어 쓴다.
국장 겸 과장, 열 내지 스물, 부산, 광주 등지
⑸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한 개, 소 한 마리, 옷 한 벌
3. 표준 발음법
⑴ 모음 발음
① [ㅚ/ㅞ] 모두 표준 발음
② 금괴, 금궤 모두 표준 발음
② 되어, 피어, 이오, 아니오는 [ㅕ, ㅛ]로 발음함을 허용한다.
③ 용언의 활용형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② 가져[가저], 쪄[쩌], 다쳐[다처]
④ ‘예, 례’ 이외에서는 ‘ㅖ’는 [ㅔ]로 발음도 허용
② 계집 [계 : 집 / 게 : 집]
⑤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 ‘의’는 [ㅣ]가 표준 발음
② 무늬[무니], 띄어쓰기[띠어쓰기]
⑥ 단어의 첫음절 - [ㅢ]로만 발음 의사[의사]
첫음절 이외의 ‘ㅢ’는 [ㅣ]로 주의[주이]
조사 ‘의’는 [ㅔ]로 발음도 허용됨
② 강의의[강의에], 우리의[우리에]
⑵ 자음의 발음
① 대표음 발음이 원칙이다.
ㄱ, ㅋ, ㄳ, ㄺ → ㄱ
ㄴ, ㄵ → ㄴ
ㄷ, ㅅ, ㅈ, ㅊ, ㅌ → ㄷ
ㅂ, ㅍ, ㅄ, ㄿ → ㅂ
ㄼ, ㅀ, ㄾ → ㄹ
ㄻ, ㅁ → ㅁ
② 예외적인 경우
② 밟다[밥따], 밟지[밥찌]
넓죽하다[넙쭈카다], 넓둥글다[넙뚱글다]
맑게[말께], 묽고[물꼬], 얽거나[얼꺼나]
디귿이[디그시], 지읒이[지으시], 치읓이[치으시]
티읕이[티으시], 히읗이[히으시]
맛있다[마싣따/ 마딛따]
멋있다[머싣따 / 머딛따]
③ 겹받침은 하나만 옮겨 발음한다.
② 넋없다[너겁따], 닭앞에[다가페], 값있는[가빈는]
④ ‘ㄹ’은 첫소리로 가진 한자가 ‘ㄴ, ㄹ’ 이외의 받침 뒤에 올 때 ‘ㄹ’이 [ㄴ]으로 발음
② 담력[담녁], 강릉[강능]
⑤ ‘ㄹ’을 첫소리로 가진 한자가 ‘ㄴ, ㄹ’ 받침 뒤에 올 때
독립성 없으면 [ㄹ, ㄹ]
신라[실라], 광한루[광할루], 대관령[대괄령]
독립성 있으면 [ㄴ, ㄴ]
의견란[의견난], 임진란[임진난], 공권력[공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11.29
  • 저작시기200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27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