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번의 동한역사소설 후한통속연의 49회, 50회, 51회 한문 및 한글번역 71페이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채동번의 동한역사소설 후한통속연의 49회, 50회, 51회 한문 및 한글번역 71페이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第四十九回 忤內侍朱穆遭囚 就外任陳龜拜表
제사십구회 오내시주목조수 취외임진구배표
遭囚: 감옥에가다
拜表 [bàibiǎo]①관직에 임명된 데 대한 감은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상주문②상주문을 올리다  후한통속연의 49회 내시를 거스른 주목은 수감이 되며 외부 직임에 나선 진구는 상주문을 올리다. 




第五十回 定密謀族誅梁氏 嫉忠諫冤殺李雲
제오십회 정밀모족주양씨 질충간원살이운
후한통속연의 50회 비밀 모의를 결정하여 양씨를 다 죽이고 충신의 간언을 질시해 원통하게 이운을 죽이다.




第五十一回 受一錢廉吏遷官 劾群閹直臣伏闕
제오십일회 수일전염리천관 해군엄직신복궐
후한통속연의 51회 1푼을 받은 청렴한 관리는 승진하며 여러 내시를 탄핵한 정직한 신하는 대궐에 엎드리다.

본문내용

자주 하서일대는 닭과 개들도 편안하지 않았다.
燒當, 燒何諸羌, 先寇西, 金城, 已被段擊退;
소당 소하제강 선구농서 금성 이피단경격퇴
소당과 소하의 여러 강족은 먼저 농서와 금성을 쳐들어와 이미 단경에게 격퇴를 당했다.
嗣又有先零羌, 零吾羌等, 進寇三輔, 轉入, 二州, 段復調集湟中義從諸兵, 前去堵截。
사우유선령강 령오강등 진구삼보 전입병 양이주 단경부조집황중의종제병 전거도절
堵截 [djie] ① 차단하다 ② 통과하지 못하게 하다 ③ 가로막다
이어서 선령강과 영오강등은 3보를 쳐들어와 다시 병주, 양주 2주에 들어왔다가 단경이 다시 황중의 여러 의병을 모아서 앞에 가서 가로막았다.
偏州刺史郭, 貪功忌能, 多方牽軍, 使不得進, 義從諸兵, 役久思歸, 陸續潰叛;
편양주자사곽굉 탐공기능 다방견제경군 사부득진 의종제병 역구사귀 육속궤반
*叛亦作“ 畔 ”。叛散
양주자사인 곽굉은 공로를 탐하고 능력자를 꺼려 다방면으로 단경 군사를 견제하여 전진하지 못하게 하니 의리로 따르는 여러 병사는 군역이 오래되어 돌아갈 생각을 하여 계속 궤멸되고 반역했다.
郭且上書劾, 反咎他不能撫下, 遂致朝廷震怒, 逮下獄, 輸作徒刑。
곽굉차상서핵경 반구타불능무하 수치조정진노 체경하옥 수작도형
sh zuo 作: 因犯罪作役
곽굉은 서신을 올려 단경을 탄핵하여 반대로 그가 아랫사람을 위무하는데 무능하다고 탓해 곧 조정에서 진노가 일어나 단경을 체포하여 하옥시키고 유배형을 보내버렸다.
河西失一長城, 羌衆愈熾。
하서실일장성 강중유치
하서에서 한 큰 장성을 잃어 강족 무리가 더욱 치성했다.
時皇甫規爲泰山太守, 平定劇賊叔孫無忌, 威震一方, 他本家居安定, 熟悉羌情, 因聞叛羌猖獗, 志在奮效, 乃卽慨然上疏道:
시황보규위태산태수 평정극적손숙무기 위진일방 타본가거안정 숙실강정 인문반강창궐 지재분효 내즉개연상소도
[juzei] ①큰 도둑 ②대도
이 때  황보규는 태산태수가 되어 큰 도적 손숙무기를 평정하고 위엄이 한 집아을 진동하여 그의 본가는 안정에 있어서 강족 정황을 다 알아 반란한 강족이 창궐함을 듣고 뜻이 분투함에 있어 강개하며 상소를 올렸다. 
自臣受任, 志竭愚鈍, 實賴州刺史牽顥之猛, 中將宗資之信義, 得承節度, 幸無咎譽。
자신수임 지갈우둔 실뢰연주자사견호지청맹 중랑장종자지신의 득승절도 행무구예
顥(클 호; -총21획; hao)
咎譽: 비난과 영예
신이 임무를 받은 이후로 뜻이 다하고 우둔하니 실제 연주자사인 견호의 청렴과 용맹, 중랑장종자의 신의에 의뢰하여 절도를 받아 다행히 비난과 명예는 없었습니다.
今猾賊就滅, 泰山略平, 復聞群羌皆反逆, 臣生長岐, 年已五十有九, 昔爲郡吏, 再更叛羌, 預籌其事, 有誤中之言;
금활적취멸 태산략평 부문군강병개반역 신생장빈기 년이오십유구 석위군리 재경반강 예주기사 유오중지언
(나라 이름 빈; -총7획; bn)
:yu chou 先
지금 교활한 적이 곧 소멸하여 태산이 대략 안정되니 다시 여러 강족이 모두 반역하였다고 들으니 신은 빈기땅에서 생장하여 나이가 이미 59세로 예전에 군의 관리였다가 다시 반란한 강족을 변경하고 미리 그 일을 생각하여 잘못 적중한 말이 있었습니다.
臣素有痼疾, 恐犬馬齒窮, 不報大恩, 願乞冗官, 備單車一介之使, 勞來三輔, 宣國威澤, 以所習地形兵勢, 佐助諸軍。
신소유고질 공견마치궁 불보대은 원걸용관 비단거일개지사 노래삼보 선국위택 이소습지형병세 좌조제군
ch qiong 齒窮 ˇ 年老死
(머뭇거릴 유; -총4획; yin)의 원문은 冗(쓸데없을 용; -총4획; rong)이다.
冗官 [rnggun] ① 필요 없는 벼슬아치 ② 쓸모없는 관리 ③ 필요없는 관리
신은 평소 고질병이 있어서 개와 말이 늙어 죽어서 대은을 갚지 못할까 두려우니 쓸모없는 관리지만 한 수레와 보잘것없는 사신으로 수고롭게 3보를 구원하러 와서 나라의 위엄과 은택을 펼치고 지형과 병세를 익혀 여러 군사를 보좌하여 돕고자 합니다.
臣窮居孤危之中, 坐觀郡將, 已數十年矣, 自鳥鼠山至東岱, 其病一也。
신궁거고위지중 좌관군장 이수십년의 자조서산지동대 기병일야
신은 궁벽한 고립되고 위험한 곳에 살면서 군의 장수를 앉아 본지 이미 수십년으로 조서산에서 동대까지 병통이 하나입니다.
力求猛敵, 不如平, 勤明吳, 孫, 未若奉法, 前變未遠, 臣誠戚之;
력구맹적 불여청평 근명오 손 미약봉법 전변미원 신성척지
力求 [liqiu] ① 힘써 노력하다 ② 되도록 힘쓰다 ③ 힘껏 추구하다
未若: 그 부정으로서 “~ 같지 않다”는 뜻이 되는데, 통상 “~만 못하다, ~하는 것이 낫다”
힘써 용맹한 적을 노력함은 태평함만 못하니 부지런히 오자와 손자처럼 병법에 밝아도 아직 법을 받들어 앞서 변화가 멀지 않으니 신은 진실로 이를 슬퍼합니다.
是以越職盡其區區, 伏賜垂鑒。
시이월직진기구구 복사수감
[qq] ①보잘것없다 ②저 ③소인
垂 [chuijian] 보아 주시다 
그래서 직책을 건너 구구절절함을 다하며 엎드려 
這疏呈入, 有詔令規爲中將, 使持節監關中兵, 往討諸羌。
저소정입 유조령규위중랑장 사지절감관중병 왕토제강
이 상소가 들어가 조서로 황보규를 중랑장으로 삼아 부절을 지니고 관중 병사를 감독하며 여러 강족을 토벌을 가게 했다.
規受命西行, 旣至州, 立卽部署兵馬, 出擊羌衆, 斬首至八百級, 羌衆乃退;
규수명서행 기지양주 입즉부서병마 출격강중 참수지팔백급 강중내퇴
황보규는 어명을 받들어 서쪽으로 가서 이미 양주에 이르러서 곧장 부서의 병마를 강족 무리를 출격하게 하여 800수급을 참수하니 강족 무리가 물러났다.
規復曉諭威信, 隨機招撫, 相率畏懷, 互爲勸降, 投誠至十數萬人。
규부효유위신 수기초무 상솔외회 호위권항 투성지십수만인
황보규는 다시 위엄과 믿음으로 가르쳐 기회를 틈타 위로하니 이어서 두려움을 품고 상호 항복을 권유하여 귀순한 사람이 십수만명에 이르렀다.
到了次年, 沈羌又入寇張掖, 酒泉, 規發降羌往禦, 適値暮春雨, 疫氣熏蒸, 軍中陸續傳染, 十死三四, 規親至營帳, 巡視將士, 三軍感奮, 壁壘一新, 羌人望風震, 遣使乞降。
도료차년 심저강우입구장액 주천 규발항강왕어 적치모춘음우 역기훈증 군중육속전염 십사삼사 규친지영장 순시장사 삼군감분 벽루일신 강인망풍진섭 견사걸항
(근본 저; -총5획; d,d)雨 [yiny] ① 장마 ② 궂은비 ③

키워드

후한통속연의,   제오종,   손빈,   태위,   황경,   진류,   채옹,   주목,   한환제
  • 가격9,000
  • 페이지수71페이지
  • 등록일2018.12.23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50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