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애 작품연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강경애 작품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 연구목적 및 방법
2. 작가의 문학적 생애

Ⅱ.본론
1. <인간문제>의 중심인물 분석(첫째,선비, 간난이)
1) 인간의 문체 해결의 주체
2) 하층민 여성의 자각과 주체적 여성으로의 거듭
2. 여성문제의 제기-<어머니와 딸>
1)예쁜이
2)산호주
3)옥이
3. 모성체험과 현실대응-<소금>
4.극단적 상황에서의 무기력과 무의식성-<어둠>,<마약>
5.지식인 여성에 대한 인식-<유무>,<원고료 이백원>,<그 여자>

Ⅳ.결론

Ⅴ.참고문헌

본문내용

인 의식을 지니고 있었다는 것을 작품을 통해서 알 수 있으며 신여성들의 이기적인 삶과 실천이 없는 삶을 비판하고 있다.
Ⅳ.결론
이상 강경애 소설에서 나타난 인물들의 행동양식에 대해 살펴보면서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 의식에 대해 살펴 보았다. 특히 강경애의 여성의식을 고찰함에 있어서 그의 생애와 작품 속 여성 인물을 관련지어 살펴보고, 아울러 그가 지니고 있는 여성의식에 대해 바라보았다.
1930년대의 척박하고 궁핍했던 시대 상황 속에서 비극적인 삶을 살았던 강경애는 그의 현실체험에서 작품의 소재를 빌려 온 작가이다. 강경애는 삶과 문학이 분리되지 않는 작품 세계를 펼침으로써 작품의 원천은 바로 현실에 있음을 보여 주었다, 매우 궁핍했고, 아버지를 일찍 잃었던 그의 생애는 작품 속에서 가난한 하층민 여성의 모습과 남편 부재라는 상황을 그리는데 바탕이 되었으며, 근우회 가입과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 간도 체험 모두 작품 속 인물들을 형상화해 내는데 밑바탕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작가의 순종적이고 보수적이었던 성향은 작품 속 여성 인물들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작품 속 인물들이 처했던 현실은 가난과, 노동, 성적유린 등 이러한 인물들이 처했던 현실을 보여 줌으로써 작가는 식민지하에서 중첩의 고통을 당하는 여성들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당시의 모순을 나타낼 수있었다. 이에 따른 인물들의 행동으로는 현실에 순응하고 체념하는 인물, 행동을 유보하는 인물, 의식을 각성하여 현실 극복의 의지를 보이는 인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러한 인물들을 통해서 본 논문에서 밝혀 낸 작가의 여성의식과 그에 따른 한계점을 간단하게 요약하였다.
첫째, 여성에게 있어서 '모성'이란 본원적인 것이 아니라 환경과 양육의 경험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고 보았다.
둘째, 강경애는 식민지 시대 여성의 문제를 관심 있게 그려내고 있지만 그것은 적극적으로 여성해방에 까지 이르지는 못했다는 점이다.
셋째, 현실에 저항하는 여성상을 제시해 주고는 있지만 이들은 모두 남성을 따라서 의식의 각성을 이루게 된다. 즉, 여성은 남성이 현실을 개혁하는데 있어서 동반자로서의 위치로만 있을 뿐이다. 강경애는 여성으로서의 참된 자기를 발견해 내는 근대적인 삶을 그리지 못했다.
넷째, 강경애는 지식인 여성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는 작품 속에서 직접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작가의 신여성에 대한 비판 의식은 자기 자신의 자아 성찰의 시도였다고 보인다.
특히 자서전적 소설이라고 할수 있는 「원고료 이백원」에서 보여지듯이 작가 자신은 스스로 반성함으로 인해서 자아성찰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강경애는 민족의 비극적 모순이 첨예하게 나타난 식민지 조선의 현실속에서 식민지 반봉건적 제도와 관습에 억눌려 있었던 당시의 여성 현실을 진지하고 사실적으로 보여 준 작가다. 이렇게 여성 현실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당시의 봉건적 가부장제하의 여성 억압적 상황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계급해방을 제시하고있다. 그러나 여성해방의 전망은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계급해방의 전말에서 끝이난다. 이로써 여성의 억압이 모두 풀려지는 것은 아니다. 즉, 남성에 의한 성차별이 해결되지 않고서는 여성의 해방은 이루어지기 힘들다. 강경애 작품의 여주인공들의 회의와 반발은 일시적으로 이루어졌을 뿐 가부장적 사회체계에 대한 근본적 회의와 반발로, 나아가서는 체계에 대한 개혁적 사유와 행위로 결코 확대되지는 못했다.
여성 인물들은 현실에 순응하고 타협하게 되며, 의식을 지닌 인물이라 할지라도 단지 남성의 옆에서 남성을 도울 뿐이다. 강경애는 여성의 현실을 진지하고 사실적으로 보여 준 건실한 리얼리즘 작가였지만, 적극적인 여성해방에까지 이르지 못했다는 점에서 그 한계점을 지닌다. 즉, 작가는 시대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여성운동을 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강경애의 작품은 삶의 전부를 가난하게 살아온 작가의 현실세계에 대한 예리한 관찰과 그것의 뛰어난 서사적 형상화를 통해 당시 조선 민중의대다수를 차지하는 가난한 사람들의 편에 서서 그들의 역사 발전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한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총체적으로 반영한, 민족 문학적 관점에서 높이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Ⅴ.참고문헌
1.기본자료
이상경 편, 「강경애 전집」,소명출판,1999.
2. 연구논문 및 평문
김윤정,「강경애 소설연구」-작가의 현실인식과 여성인물의 대응양상을 중심으로-,중앙대학교 문창과석사논문, 2000.
서은영, 「강경애 소설연구」계급문제와 여성문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채정남, 「강경애 소설연구」,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2000.
오현미,「강경애 소설연구」,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1992.
고은미, 「강경애 소설의 여성의식 연구」, 전남대 석사,1996.
박사문, 「강경애 소설연구」,경희대 석사논문, 2001.
유금위, 「강경애 작품연구」, 충남대 석사, 1998.
엄현미, 「강경애 소설연구」, 성신여대 석사, 1991.
안현정,「강경애 소설연구」,경희대 석사, 2001.
서현목,「강경애 소설연구」,단대 석사,1999.
민은홍,「강경애 소설에 나타난 여성문제의식 연구」,홍익대 석사, 1993.
강이수,「식민지하 여성문제와 강경애의「인간문제」」,『역사비평』,1993년 가을호.
김정화,「강경애 소설연구」,동국대 박사학위논문,1991.
서현목,「강경애 소설연구」,단국대 석사학위논문,1999.
송백헌,「강경애 「인간문제」연구」,『여성문제연구』13집,효성여대 여성문제연구소,1983.
송지현,「강경애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식연구」,『한국언어문학』28집,1990.
심문자,「강경애 소설연구」,건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이은경,「강경애 소설연구」,연세대석사 학위논문,1989.
한금성,「강경애 소설연구」,전남대 석사학위논문,1999.
채미화,「강경애 소설 창작의 미학적 특징」,『문학평론』,1999년 가을호.
정미숙,「강경애 「인간문제」의 서술시점」,『부산대국어국문학문』34집,1997.
이경란,「강경애 소설연구」,광운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6.01.17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5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