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음운론
형태론
의미론
형태론
의미론
본문내용
음운론
1. 음성
물체의 진동으로 공기중의 입자가 움직여 파동(음파)이 일어나면 소리가 발생하는데 이 소리 중 사람의 입안에서 일어나 의사전달의 매개체로 사용되는 것이 음성이다.
2. 음소
음성 중 뜻을 구별하는 기능을 가진 것
3-1 모음체계
자리
입술
공깃길
앞
뒤
원순음
비원순음
양순음
비원순음
고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
ㅐ
ㅏ
3-2 자음체계
조음 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파열음
연음
ㅂ
ㄷ
ㄱ
경음
ㅃ
ㄸ
ㄲ
격음
ㅍ
ㅌ
ㅋ
파찰음
연음
ㅈ
경음
ㅉ
격음
ㅊ
마찰음
연음
ㅅ
ㅎ
경음
ㅆ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3-3 음절체계(음소)
자음과 모음
3-4 비음절체계(음소)
소리의 길이
소리의 고저
강세
4,음운현상
음운 연계에서 각 음운의 분포에 있어 제약을 받기도 하며, 주위 음운의 영향이나 주의 음운 이외의 다른 여러 요인의 영향에 의해 변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운의 변함을 종합하여 음운현상이라 한다.
4-1 제약
음절의 짜임새를 맞추기 위한 음절구조의 제약으로 일어나는 현상-음절초제약, 음절말 제약
단어 구조의 제약으로 일어나는 현상-어두제약
4-1-1
어두 ㄹ 제약(두음법칙)
ㄹ이 어두에 분포하지 못하는 제약
래일-내일 례의-예의
4-1-2
어두 ㄴ제약
단어의 두음에서 ㅣ모음 앞이나 j계 이중모음(ㅑ, ㅕ, ㅛ, ㅠ, ㅒ, ㅖ 등) 앞의 ㄴ은 탈락된다. 이것은 ㄴ이 이들 모음 앞에서 구개음화된 결과 약해져 탈락하는 현상이다.
여자-여자 유대-유대
4-1-3
자음군단순화
표면음절 형성의 제약으로 의해 일어나는 음절말 제약이다. 국어의 음절말에서 자음은 하나만 실현된다. 표기상으로 음절말(종성)에 자음이 두 개 쓰이지만 발음에 있어선 이들 겹받침 중 하나는 탈락한다.
ㄳ-ㄱ:넋도→넉또
ㄵ-ㄴ:앉다→안따
ㄶ-ㄴ:많다→만타
ㄺ-ㄱ:닭→닥
ㄻ-ㅁ:옮다→옴따
ㄼ-ㄹ:여덟→여덜
ㄽ-ㅅ:곬→곳 →곧
ㄾ-ㄹ:핥→할
ㄿ-ㅂ:읊다→읍따
ㅀ-ㄹ:앓다→알타
ㅄ-ㅂ:
1. 음성
물체의 진동으로 공기중의 입자가 움직여 파동(음파)이 일어나면 소리가 발생하는데 이 소리 중 사람의 입안에서 일어나 의사전달의 매개체로 사용되는 것이 음성이다.
2. 음소
음성 중 뜻을 구별하는 기능을 가진 것
3-1 모음체계
자리
입술
공깃길
앞
뒤
원순음
비원순음
양순음
비원순음
고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
ㅐ
ㅏ
3-2 자음체계
조음 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파열음
연음
ㅂ
ㄷ
ㄱ
경음
ㅃ
ㄸ
ㄲ
격음
ㅍ
ㅌ
ㅋ
파찰음
연음
ㅈ
경음
ㅉ
격음
ㅊ
마찰음
연음
ㅅ
ㅎ
경음
ㅆ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3-3 음절체계(음소)
자음과 모음
3-4 비음절체계(음소)
소리의 길이
소리의 고저
강세
4,음운현상
음운 연계에서 각 음운의 분포에 있어 제약을 받기도 하며, 주위 음운의 영향이나 주의 음운 이외의 다른 여러 요인의 영향에 의해 변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운의 변함을 종합하여 음운현상이라 한다.
4-1 제약
음절의 짜임새를 맞추기 위한 음절구조의 제약으로 일어나는 현상-음절초제약, 음절말 제약
단어 구조의 제약으로 일어나는 현상-어두제약
4-1-1
어두 ㄹ 제약(두음법칙)
ㄹ이 어두에 분포하지 못하는 제약
래일-내일 례의-예의
4-1-2
어두 ㄴ제약
단어의 두음에서 ㅣ모음 앞이나 j계 이중모음(ㅑ, ㅕ, ㅛ, ㅠ, ㅒ, ㅖ 등) 앞의 ㄴ은 탈락된다. 이것은 ㄴ이 이들 모음 앞에서 구개음화된 결과 약해져 탈락하는 현상이다.
여자-여자 유대-유대
4-1-3
자음군단순화
표면음절 형성의 제약으로 의해 일어나는 음절말 제약이다. 국어의 음절말에서 자음은 하나만 실현된다. 표기상으로 음절말(종성)에 자음이 두 개 쓰이지만 발음에 있어선 이들 겹받침 중 하나는 탈락한다.
ㄳ-ㄱ:넋도→넉또
ㄵ-ㄴ:앉다→안따
ㄶ-ㄴ:많다→만타
ㄺ-ㄱ:닭→닥
ㄻ-ㅁ:옮다→옴따
ㄼ-ㄹ:여덟→여덜
ㄽ-ㅅ:곬→곳 →곧
ㄾ-ㄹ:핥→할
ㄿ-ㅂ:읊다→읍따
ㅀ-ㄹ:앓다→알타
ㅄ-ㅂ:
추천자료
[한국근대 국어 표기법][한국근대 국어 파생형용사][한국근대 희곡][한국근대 시][한국근대 ...
초등학교 5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목표, 초등학교 5학년 국어과(국어교육) 수준별학습과 글짓...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국어교육)의 목표와 실태,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국어교육) 지도중점...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중점,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고등학교...
초등학교 2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초등학교 2학년 국어과(국어교육) 교과내...
문법(국어문법)의 성격과 문법화, 문법(국어문법)과 학교문법, 표준문법, 유길준 문법연구, ...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중요성,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장점, 우리말(국어, 우...
한국어(국어, 우리말)의 특질과 리듬, 한국어(국어, 우리말)와 외래어, 한국어(국어, 우리말)...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 의미,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 필요성,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 역사...
[국어][사잇소리현상][문법][사잇소리현상 표기][사잇소리현상 문법범주]국어의 특질, 국어의...
[국어교육학][기업교육학][교과교육학][학교교육학][교육학][국어교육][기업교육][교과교육][...
[국어 종결어미][서술어미][명사어미][의문어미]국어 종결어미와 서술어미, 국어 종결어미와 ...
[국어 오류, 국어 단어 오류, 국어 문장 오류, 국어 맞춤법 오류, 국어 겹받침 오류, 국어 띄...
한국어번역(국어번역)의 오류, 한국어번역(국어번역)과 미국문학, 불문학, 한국어번역(국어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