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목차
第五十七回 入深岩得擒叛首 征朔方再挫王師
제오십칠회 입심암득금반수 정삭방재좌왕사
송사통속연의 제 57회 깊은 바윗굴에 들어가서 반란 괴수를 사로잡고 변방에 정벌을 나가 두 번 송나라의 군사가 꺽이다.
第五十八回 誇功銘石艮嶽成山 覆國喪身孱 孱(잔약할, 나약하다 잔; ⼦-총12획; chán,càn)
遼絕祀
제오십팔회 과공명석간악성산 복국상신잔료절사
제 58회 공로를 과장하여 돌에 새긴 간악이 산이 되며 나를 전복시키고 몸을 죽게 된 나약한 요나라는 후사가 끊어지다.
제오십칠회 입심암득금반수 정삭방재좌왕사
송사통속연의 제 57회 깊은 바윗굴에 들어가서 반란 괴수를 사로잡고 변방에 정벌을 나가 두 번 송나라의 군사가 꺽이다.
第五十八回 誇功銘石艮嶽成山 覆國喪身孱 孱(잔약할, 나약하다 잔; ⼦-총12획; chán,càn)
遼絕祀
제오십팔회 과공명석간악성산 복국상신잔료절사
제 58회 공로를 과장하여 돌에 새긴 간악이 산이 되며 나를 전복시키고 몸을 죽게 된 나약한 요나라는 후사가 끊어지다.
본문내용
이 또 옴을 듣고 그를 불러 보게 했다.
遼使語貫道:“女背叛本朝,應亦南朝所嫉視,本朝方擬倚爲後援,爲什貪利一時,棄好百年,結豺狼作毗 毗 [pilin]:인접하다
,貽他日禍根?須知救災恤,古今通義,還望大國統盤 [tngpan]:전부, 전반, 전체
籌算 算 [chousuan]:계획하다, 꾀하다, 계산하다
,勿忘古禮,勿貽後憂。”
요사어관도 여진배반본조 응역남조소질시 본조방의의위후원 위십마탐리일시 기호백년 결시낭작비린 이타일화근니? 수지구재휼린 고금통의 환망대국통반주산 물망고례 물이후우.
요나라 사신이 동관에게 말했다. “여진이 본 조정을 배반하여 응당 또한 남쪽 조정이 질시하여 저희 조정에서는 후원을 의지하나 어찌 한 때의 탐욕과 이익으로 백년의 우호를 버리고 승냥이, 이리인 금나라들과 이웃을 맺어서 훗날 화근을 남겨두십니까? 반드시 재앙을 구제하고 이웃을 긍휼히 여김은 고대와 지금의 통용되는 의리인데 다시 대국께서 전체를 꾀하길 바라며 예전의 예의를 잊지 않아서 후대의 근심을 남기지 말길 바랍니다.”
看官試想!遼使這番說話,乃是理直氣壯,童貫如何答辯得出?
간관시상! 요사저반설화 내시이직기장 구동관여하답변득출?
여러분은 보시오! 요나라 사신의 이번의 말은 이치가 곧고 기가 건장하여 동관이 어떻게 답변을 하겠는가?
當下支吾 支吾 [zhwu]:얼버무리다, 발뺌하다, 버티다
對付 付 [duifu]:대응하다, 대처하다, 다루다
,但說當奏聞朝廷,再行復告。
당하지오대부 단설당주문조정 재행부고.
곧장 얼버무리고 대응을 안하고 단지 조정에 상주를 들리게 하며 다시 고함을 시행한다고 했다.
遼使自歸,種師道復請與遼和,貫仍不納,反密劾師道通虜阻兵。
요사자귀 종사도부청여요화 관잉불납 반밀핵사도통로조병.
요나라 사신이 스스로 돌아가서 종사도는 다시 요나라와 화친을 청하니 동관이 들이지 않고 반대로 비밀리에 종사도가 오랑캐와 내통하여 병사를 막는다고 탄핵하였다.
王從中袒 袒(웃통 벗을, 옷이 해지다 단; -총10획; tan)
貫,降師道爲左衛將軍,勒令 勒令 [leling]:명령하여 강제로 하게 하다, 강제로 시키다
致仕。
왕보종중단관 강사도위자위장군 륵령치사.
왕보는 중간에서 동관을 옹호하여 종사도를 좌위장군으로 강등하고 벼슬을 그만두게 강요하였다.
用河陽三城節度使劉延慶代任。
용하양삼성절도사유연경대임.
하양삼성절도사인 유연경을 기용해 대신 임명하였다.
嗣按徽宗手詔,暫令班師,貫與攸乃相偕 相偕 [xingxie]:동반하다, 함께 가다, 함께하다
還朝。
사안휘종수조 잠령반사 관여유내상해환조.
이어서 휘종의 손수쓴 조서를 살펴보고 잠시 군사를 돌리게 하니 동관과 채유는 동반해 조정에서 돌아왔다.
而遼耶律淳病死,蕭幹等奉蕭氏爲皇太后,主軍國事,遙立天祚帝次子秦王定爲帝,改元德興。
기이요야율순병사 소간등봉소씨위황태후 주군국사 요립천조제차자진왕정위제 개원덕흥.
이미 요나라 야율순이 병사하고 소간등이 소씨를 황태후로 받들어 군사와 나랏일을 주관하게 하며 멀리 천조제의 둘째 아들인 진왕정을 황제로 세우며 덕흥으로 개원했다.
天祚帝有六子,長名敖盧幹,(一譯作阿 (약한 소리 로{노}; -총9획; lao)
罕。) 封晉王,次秦王定,又次爲許王寧,又次爲趙王習泥烈.
천조제유육자 장명오로간 일역작아로한 봉진왕 차즉진왕정 우차위허왕녕 우차위조왕습니열
천조황제는 여섯명의 아들이 있는데 장남은 오로간(한 번역은 아로한으로 되어 있다.)을 진왕으로 봉하며 다음 아들을 진왕 정이며, 또 다음은 허왕 녕이며 또 다음 아들은 조왕 습니열이다.
(一譯作錫裏。《遼史。天祚紀》,謂天祚四子,趙王居長,皇子 皇子 [huangz] : 황제의 아들
表乃有六子,晉王第一,趙王第四,今依表明。)
일역작석리 요사 천조기 위천조사자 조왕거장 황자표내유육자 진왕제일 조왕제사 금의표서명.
습니열은 한 번역에는 사리로 되어 있다. 요사 천조기에는 천조황제는 네 아들이 있고 조왕이 장남이며 황태자인 표에게는 여섯명의 아들이 있는데 진왕이 첫째이며 조왕이 넷째이니 지금 표에 의거하여 밝힌다.
又次爲燕國王撻魯,梁王雅裏。
우차위연국왕달로 양왕아리.
또 다음은 연국왕 달로이며 양왕 아리이다.
晉王文妃蕭氏,小字瑟瑟,才貌雙全,嘗因天祚帝無道將亡,作歌諷諫,歌只二首,第一首中有雲:“直須 直 [zhix]:즉시 …해야 한다, 결국 …해야 한다
臥薪嘗膽兮,激壯士之捐身;可以朝漠北兮,夕枕燕、雲。”
진문왕비소씨 소자슬슬 재모쌍전 상인천조제무도장망 작가풍간 가지이수 제일수중유운 직수와신상담혜 격장사지연신 가이조청막북혜 석침연 운
진나라 왕 문의 비인 소씨는 어려서 슬슬이라고 자가 있고 재주와 용모를 함께 온전히 갖추어 일찍이 천조황제가 무도하여 장차 망하려는데 노래를 지어 풍자해 간하니 노래 두 수가 있고 첫째 수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곧장 와신상담을 해야 하며 장사를 목숨을 버리도록 격려해야 한다. 조정이 사막북쪽으로 가니 저녁에 연주, 운주를 베개로 삼을 것입니다.”
這四語,傳誦一時,偏天祚帝引爲深恨。
저사어 전송일시 편천조제인위심한.
이 4마디 말은 한 시대에 전송되니 천조황제는 매우 한스럽게 여겼다.
樞密使蕭奉先爲秦、許兩王母舅,恐秦王不得嗣立,因欲謀害晉王,遂誣文妃與駙馬蕭昱及妹夫耶律餘覩等,有擁立晉王情事。
추밀사소봉선위진 허양왕모구 공진왕부득사립 인욕모해진왕 수무문비여부마소욱급매부야율여도등 유옹립진왕사정.
추밀사 소봉선이 진왕과 허왕 두 왕의 외삼촌이 되어, 진왕이 황제를 잇지 못할까 두려워 진왕을 모해하려고 곧 문비와 부마 소욱과 매부인 야율여도등을 무고하여 진왕을 옹립할 사정이 있다고 했다.
天祚帝遂賜文妃死,殺蕭昱等人。
천조제수사문비사 병살소욱등인.
천조황제는 곧 문비가 죽음을 내리고 소욱등의 사람을 같이 죽였다.
獨耶律餘覩脫身降金。
독야율여도탈신항금.
유독 야율여도는 몸을 빼서 금나라에 항복했다.
金兵入遼,曾用餘覩爲向導。
금병입요 증용여도위향도.
금나라 병사가 요나라에 들어올 때 일찍이 야율여도는 길안내로 쓰였다.
蕭奉先又因此入讒,縊殺晉王敖盧幹。
소봉선우인차입참 액살진왕오로간.
소봉선은 또 이로 기인하여 참언을 받아들여 진왕 오로간을 목매 죽게 했다.
及天祚帝遁入夾山,始悟奉先不忠,把他驅逐。
급천조제둔입협산 시오봉선불충 파타구축.
천조황제는 협산에 숨어들어가서 비로소 소봉선이 충성스럽지 않다고 느껴 그를 몰아 내
遼使語貫道:“女背叛本朝,應亦南朝所嫉視,本朝方擬倚爲後援,爲什貪利一時,棄好百年,結豺狼作毗 毗 [pilin]:인접하다
,貽他日禍根?須知救災恤,古今通義,還望大國統盤 [tngpan]:전부, 전반, 전체
籌算 算 [chousuan]:계획하다, 꾀하다, 계산하다
,勿忘古禮,勿貽後憂。”
요사어관도 여진배반본조 응역남조소질시 본조방의의위후원 위십마탐리일시 기호백년 결시낭작비린 이타일화근니? 수지구재휼린 고금통의 환망대국통반주산 물망고례 물이후우.
요나라 사신이 동관에게 말했다. “여진이 본 조정을 배반하여 응당 또한 남쪽 조정이 질시하여 저희 조정에서는 후원을 의지하나 어찌 한 때의 탐욕과 이익으로 백년의 우호를 버리고 승냥이, 이리인 금나라들과 이웃을 맺어서 훗날 화근을 남겨두십니까? 반드시 재앙을 구제하고 이웃을 긍휼히 여김은 고대와 지금의 통용되는 의리인데 다시 대국께서 전체를 꾀하길 바라며 예전의 예의를 잊지 않아서 후대의 근심을 남기지 말길 바랍니다.”
看官試想!遼使這番說話,乃是理直氣壯,童貫如何答辯得出?
간관시상! 요사저반설화 내시이직기장 구동관여하답변득출?
여러분은 보시오! 요나라 사신의 이번의 말은 이치가 곧고 기가 건장하여 동관이 어떻게 답변을 하겠는가?
當下支吾 支吾 [zhwu]:얼버무리다, 발뺌하다, 버티다
對付 付 [duifu]:대응하다, 대처하다, 다루다
,但說當奏聞朝廷,再行復告。
당하지오대부 단설당주문조정 재행부고.
곧장 얼버무리고 대응을 안하고 단지 조정에 상주를 들리게 하며 다시 고함을 시행한다고 했다.
遼使自歸,種師道復請與遼和,貫仍不納,反密劾師道通虜阻兵。
요사자귀 종사도부청여요화 관잉불납 반밀핵사도통로조병.
요나라 사신이 스스로 돌아가서 종사도는 다시 요나라와 화친을 청하니 동관이 들이지 않고 반대로 비밀리에 종사도가 오랑캐와 내통하여 병사를 막는다고 탄핵하였다.
王從中袒 袒(웃통 벗을, 옷이 해지다 단; -총10획; tan)
貫,降師道爲左衛將軍,勒令 勒令 [leling]:명령하여 강제로 하게 하다, 강제로 시키다
致仕。
왕보종중단관 강사도위자위장군 륵령치사.
왕보는 중간에서 동관을 옹호하여 종사도를 좌위장군으로 강등하고 벼슬을 그만두게 강요하였다.
用河陽三城節度使劉延慶代任。
용하양삼성절도사유연경대임.
하양삼성절도사인 유연경을 기용해 대신 임명하였다.
嗣按徽宗手詔,暫令班師,貫與攸乃相偕 相偕 [xingxie]:동반하다, 함께 가다, 함께하다
還朝。
사안휘종수조 잠령반사 관여유내상해환조.
이어서 휘종의 손수쓴 조서를 살펴보고 잠시 군사를 돌리게 하니 동관과 채유는 동반해 조정에서 돌아왔다.
而遼耶律淳病死,蕭幹等奉蕭氏爲皇太后,主軍國事,遙立天祚帝次子秦王定爲帝,改元德興。
기이요야율순병사 소간등봉소씨위황태후 주군국사 요립천조제차자진왕정위제 개원덕흥.
이미 요나라 야율순이 병사하고 소간등이 소씨를 황태후로 받들어 군사와 나랏일을 주관하게 하며 멀리 천조제의 둘째 아들인 진왕정을 황제로 세우며 덕흥으로 개원했다.
天祚帝有六子,長名敖盧幹,(一譯作阿 (약한 소리 로{노}; -총9획; lao)
罕。) 封晉王,次秦王定,又次爲許王寧,又次爲趙王習泥烈.
천조제유육자 장명오로간 일역작아로한 봉진왕 차즉진왕정 우차위허왕녕 우차위조왕습니열
천조황제는 여섯명의 아들이 있는데 장남은 오로간(한 번역은 아로한으로 되어 있다.)을 진왕으로 봉하며 다음 아들을 진왕 정이며, 또 다음은 허왕 녕이며 또 다음 아들은 조왕 습니열이다.
(一譯作錫裏。《遼史。天祚紀》,謂天祚四子,趙王居長,皇子 皇子 [huangz] : 황제의 아들
表乃有六子,晉王第一,趙王第四,今依表明。)
일역작석리 요사 천조기 위천조사자 조왕거장 황자표내유육자 진왕제일 조왕제사 금의표서명.
습니열은 한 번역에는 사리로 되어 있다. 요사 천조기에는 천조황제는 네 아들이 있고 조왕이 장남이며 황태자인 표에게는 여섯명의 아들이 있는데 진왕이 첫째이며 조왕이 넷째이니 지금 표에 의거하여 밝힌다.
又次爲燕國王撻魯,梁王雅裏。
우차위연국왕달로 양왕아리.
또 다음은 연국왕 달로이며 양왕 아리이다.
晉王文妃蕭氏,小字瑟瑟,才貌雙全,嘗因天祚帝無道將亡,作歌諷諫,歌只二首,第一首中有雲:“直須 直 [zhix]:즉시 …해야 한다, 결국 …해야 한다
臥薪嘗膽兮,激壯士之捐身;可以朝漠北兮,夕枕燕、雲。”
진문왕비소씨 소자슬슬 재모쌍전 상인천조제무도장망 작가풍간 가지이수 제일수중유운 직수와신상담혜 격장사지연신 가이조청막북혜 석침연 운
진나라 왕 문의 비인 소씨는 어려서 슬슬이라고 자가 있고 재주와 용모를 함께 온전히 갖추어 일찍이 천조황제가 무도하여 장차 망하려는데 노래를 지어 풍자해 간하니 노래 두 수가 있고 첫째 수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곧장 와신상담을 해야 하며 장사를 목숨을 버리도록 격려해야 한다. 조정이 사막북쪽으로 가니 저녁에 연주, 운주를 베개로 삼을 것입니다.”
這四語,傳誦一時,偏天祚帝引爲深恨。
저사어 전송일시 편천조제인위심한.
이 4마디 말은 한 시대에 전송되니 천조황제는 매우 한스럽게 여겼다.
樞密使蕭奉先爲秦、許兩王母舅,恐秦王不得嗣立,因欲謀害晉王,遂誣文妃與駙馬蕭昱及妹夫耶律餘覩等,有擁立晉王情事。
추밀사소봉선위진 허양왕모구 공진왕부득사립 인욕모해진왕 수무문비여부마소욱급매부야율여도등 유옹립진왕사정.
추밀사 소봉선이 진왕과 허왕 두 왕의 외삼촌이 되어, 진왕이 황제를 잇지 못할까 두려워 진왕을 모해하려고 곧 문비와 부마 소욱과 매부인 야율여도등을 무고하여 진왕을 옹립할 사정이 있다고 했다.
天祚帝遂賜文妃死,殺蕭昱等人。
천조제수사문비사 병살소욱등인.
천조황제는 곧 문비가 죽음을 내리고 소욱등의 사람을 같이 죽였다.
獨耶律餘覩脫身降金。
독야율여도탈신항금.
유독 야율여도는 몸을 빼서 금나라에 항복했다.
金兵入遼,曾用餘覩爲向導。
금병입요 증용여도위향도.
금나라 병사가 요나라에 들어올 때 일찍이 야율여도는 길안내로 쓰였다.
蕭奉先又因此入讒,縊殺晉王敖盧幹。
소봉선우인차입참 액살진왕오로간.
소봉선은 또 이로 기인하여 참언을 받아들여 진왕 오로간을 목매 죽게 했다.
及天祚帝遁入夾山,始悟奉先不忠,把他驅逐。
급천조제둔입협산 시오봉선불충 파타구축.
천조황제는 협산에 숨어들어가서 비로소 소봉선이 충성스럽지 않다고 느껴 그를 몰아 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