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가사문학][가사문학 역사][가사 한역][가사 서술]가사(가사문학)의 정의, 가사(가사문학)의 특징, 가사(가사문학)의 형식,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가사(가사문학)의 한역, 가사(가사문학)의 서술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사][가사문학][가사문학 역사][가사 한역][가사 서술]가사(가사문학)의 정의, 가사(가사문학)의 특징, 가사(가사문학)의 형식,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가사(가사문학)의 한역, 가사(가사문학)의 서술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가사(가사문학)의 정의

Ⅲ. 가사(가사문학)의 특징

Ⅳ. 가사(가사문학)의 형식
1.가사는 4음보격 연속체로서 비련시이다
2.사대부가사는 3,4조가 우세하고 서민가사와 내방가사는 4.4조가 우세하다

Ⅴ.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1. 제1기(형성기)
2. 제2기(발전기)
3. 제3기(변모기)
4. 제4기(확장기)
5. 제5기(쇠퇴기)

Ⅵ. 가사(가사문학)의 한역
1. 주로 가사 반행은 5언으로, 가사 1행은 7언으로 번역
2. 가사 1행을 7언 1구로 한역한 경우는 다소 압축된 감은 있으나 원사와 번사가 조화를 이루지만 가사 반행을 7언 1구로 한역한 경우는 번사에 의미를 명료히 하거나 설명적인 말을 첨가하여 상호 길이를 맞춤
3. 가사 1행을 7언으로 한역할 경우는 대개 앞 반행(제 1, 2음보)은 전사언으로, 뒷 반행(제 3, 4음보)은 후삼언으로 번역
4. 압운의 경우

Ⅶ. 가사(가사문학)의 서술

참고문헌

본문내용

명료해지거나 중언부언이 많았고 가사 1행을 5언으로 번역한 것은 생략이 많았다.
3.가사 1행을 7언으로 한역할 경우는 대개 앞 반행(제 1, 2음보)은 전사언으로, 뒷 반행(제 3, 4음보)은 후삼언으로 번역
특히 정현석의 <환산별곡> 한역가 전반부는 이와 같이 정연히 대응 한역되었다.
어졔 올탄 말이 오늘이야 왼 쥴 알고 昨日云是 今覺非
葛巾 布衣로 故園을 가니 葛巾布衣 訪故鄕
山川은 넷빗치요 松竹이 로왜라 山川依舊 松竹新
數間茅屋 下의 집리 一立 고 數間茅茨 草茵張
淸風의 興을 겨워 閑暇이 누어시니 淸風乘興 因閑臥
滿池 紅蓮花는 정변의 어엿다 紅蓮滿池 碧桃香
아참 노라니 밤 K 아희들과 朝日鳥飛 拾栗兒
柴門의 즈즈니 고기 웨는 장로다 柴門犬吠 賣魚商
4.압운의 경우
<환산별곡>의 한역가는 일운도저격 每句韻을 취하고 있으나 나머지는 4-6구 단위로 환운하며 격구운을 주로 취하고 있다.
Ⅶ. 가사(가사문학)의 서술
16세기 사대부가사에서 삽화적 서술이란 각 단락이 독자적인 의미를 강하게 지니고 있어, 작품의 전체 구조에는 미미한 일부분으로 기여하는 단락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락과 단락 사이에는 선후관계와 인과관계가 거의 없거나 미미한 경우가 많아, 한 두 단락을 빼거나 위치를 바꾸어 놓아도 작품의 전체 의미구조에는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서술방식은 역사적인 사실이나 자연의 경치 등을 나열하는 삽화가 모여 이루어진 작품에 많이 등장한다.
이러한 서술방식으로 된 조선전기 사대부가사에는 <관서별곡>, <서호별곡>, <관동별곡>, <면앙정가> 등의 작품이 있다. 여기서는 <관동별곡>에 나타난 장소의 이동을 중심으로 그 서술방식을 살펴보아, 조선전기 사대부가사에 나타난 삽화적 서술의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제1단락 : 강원도 관찰사로 제수 받음
제2단락 : 원주행 경관
제3단락 : 춘천, 동주, 회양에서의 연군과 회한
제4단락 : 만폭동 폭포의 경관
제5단락 : 금강대 위의 선학의 모습
제6단락 : 진헐대 위에서의 조망
제7단락 : 개심대 위에서의 조망
제8단락 : 화룡소의 폭포 경관
제9단락 : 12폭포의 장관
제10단락 : 산영루를 지나 동해로 감
제11단락 : 총석정의 장관
제12단락 : 삼일포의 사선(四仙)
제13단락 : 의상대에서 월출을 바라봄
제14단락 : 강릉 경포대의 경치
제15단락 : 삼척 죽서루의 경치
제16단락 : 망양정에서 동해를 바라봄
제17단락 : 동해 바다에서 월출을 구경함
제18단락 : 꿈속에 신선이 되어 놀고 있음
이 작품의 각 단락은 장소의 이동을 중심으로 강원도 명승지의 아름다움을 노래하고 있다. 제1단락과 제2단락은 시적 화자가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게 된 동기와 원주까지의 행로를 적고 있어, 이 작품의 서두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제3단락에서부터 제9단락까지는 금강산의 아름다운 경치를 유람하고 관광하는 시적 화자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제10단락에서부터 제16단락까지는 동해안의 아름다운 경치를 유람하고 관광하는 시적 화자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제17단락은 여행을 마치고 밤이 되어 달을 맞이하는 장면을 나타내고 있다. 제18단락은 하늘의 신선이 되어 있는 모습을 꿈속에서 그려보고 있다. 결사부분의 두 단락은 시적 화자가 금강산과 관동팔경을 구경한 후 자신의 정화된 인식을 극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동별곡>은 18단락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제1단락과 제2단락은 작품의 서두 부분으로 작품의 창작 동기를 말하고 있는 부분이다. 제3단락에서 제9단락까지는 시적 화자가 경험한 금강산의 경치를 별개의 삽화로 나열하고 있으며, 제10단락에서 제16단락까지는 동해안의 경치를 관동팔경을 중심으로 삽화적으로 배열하고 있다. 이 작품의 본사 부분인 제3단락에서 제16단락까지는 관동지방의 풍경, 민속, 산수, 고사 등을 적절히 배열하여 각 단락 간에 약간의 긴장을 유발시키고 있으나, 각 단락은 독립적인 의미가 강하여 삽화적 형식을 많이 지니고 있다. 결사 부분인 제17단락과 제18단락은 여행의 마지막에 느끼는 감상을 적고 있다.
이 작품의 각 단락은 시적 화자가 구경한 내외 금강산과 동해안의 노정, 산수, 풍경, 고사, 민속 등을 단락마다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이 작품에 나타난 본사 부분의 선후관계 및 인과관계를 살펴보면, 어느 한 두 단락을 빼버리거나 단락의 순서를 바꾸어도 금강산과 관동팔경을 유람하면서 창작한 노래라는 사실에 별 변화가 없다.
그래서 이 작품에 나타난 본사 부분의 서술방식은 시적 화자가 벼슬을 받아 부임하는 길과 관직에 있을 때 구경한 관동팔경의 아름다운 경치를 하나하나씩 풀어내고 있어 삽화적 서술이라 할 수 있다.
삽화적 서술로 이루어진 조선전기 사대부가사는 자연의 감상과 경치를 하나하나씩 나열하면서 그 감회를 독자에게 전달하는데 주된 목적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작품에서는 각 삽화 사이의 상호간에는 선후관계와 인과관계가 긴밀하지 못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작품 전체의 의미에 기여하게 된다. 즉, 삽화 상호간의 인과관계에 의해서 서술구조가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삽화가 독립적인 의미를 지니고 작품 전체의 서술구조에 작은 서술단위로 기능을 하게 된다.
삽화적 서술에서는 선후관계와 인과관계가 별로 없는 삽화가 모여서 작품의 서술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삽화의 일부를 빼든지, 순서를 바꾸든지, 줄이거나 늘이더라도 작품의 서술방식에는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서술방식은 조선전기 사대부가사에서 한 장소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을 집약적으로 노래하거나, 장소의 이동에 따라 그 주변의 경치를 노래한 <면앙정가>, <관동별곡> 등의 작품에서 많이 채택하고 있다.
참고문헌
국어국문학학회(1978), 가사문학연구, 정음사
김문기(1997), 가사 한역의 목적과 한역기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강선정(2011), 조선중기 이후 가사의 유형과 변천, 성균관대학교
임기중 (1987), 역대가사문학전집(영인본), 동서문화사
윤덕진(1994), 가사의 형식 재고, 연세대학교매지학술연구소
최강현(1986), 가사문학론, 새문사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8.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33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