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음체계의 변천
2. 모음체계의 변천
3. 음소 연결 방식의 변천
Ⅶ. 중세국어(중세한국어)의 커니와 표기
Ⅷ. 중세국어(중세한국어)의 ㄱ탈락
1. 곡용에서의 ㄱ탈락
2. 활용에서의 ㄱ탈락
Ⅸ. 중세국어(중세한국어)와 언간
참고문헌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조화
용언 어간과 어미 결합에서의 모음조화는 후행 어미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인다. 모음조화에 관여하는 어미를 매개모음 ‘/으’의 짝을 가지는 어미, ‘-아/어’계 어미, ‘-오/우’계 어미로 나누어 각각의 시현 양상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니즈니(忘)<6:19b>, 닐그며<19:8a>, 두리(恐)<9:36a>, Ⅰ. 국어 어미의 분류
Ⅱ.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Ⅲ. 국어 서술어미
Ⅳ. 국어 종결어미
Ⅴ. 국어 연결어미
Ⅵ. 국어 의문어미
Ⅶ. 국어 어미의 오용 사례
참고문헌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조화가 비교적 잘 지켜지고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데, 이미 중세국어에 단일화의 예가 보인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참고 문헌
1. 이승욱. 국어 문법체계의 사적 연구, 일조각, 1973
2. 이관규, 학교문법론, 도서출판 월인, 1999
3. 이기문 등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성
덮+개 [덥깨]
합성어 형성
국+밥 [국빱] 2.1 음성과 음운
2.2 음운 체계
2.2.1 모음 체계
2.2.2 자음 체계 : 19개
2.2.3 비분절 음운(초분설음운, 운소)
2.3 음절 구조
2.4 음운의 변동
2.4.1 먼저 알아야할 것들
2.4.2 변동규칙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조화 체계를 제자에 반영했음을 보여 준다.
(3) 종성 체계
훈민정음 예의에서는 ‘終聲復用初聲’이라 하여 종성에는 초성 글자를 다시 쓴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해례에서는 ‘八字可足用也’라고 하여 종성을 사실상 8자 체계로 규정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조화 현상의 파괴의 원인은 모음 체계의 변화에 있다. 즉, ‘ㆍ’의 소실로 인해 양성과 음성 모음의 체계가 무너지면서 생긴 현상이다.
6. 음절 말 위치에서의 중화 현상
변별적 자질을 가진 음소들이 특정 환경에서 그 대립을 상실하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조화 체계를 제자에 반영했음을 보여준다.
그 밖의 중성글자들은 이들 11자를 합용하여 쓰인다. 해례 중성해에 二字合用字라 하여 ㅓ ㅢ ㅚ ㅐ ㅟ ㅔ ㆉ ㅒ ㆌ ㅕ (이상 1자 중성과의 상합), ㅙ ㅞ ㆈ ㆋ (이상 2자 중성과의 상합)를 제시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조화 체계를 제자에 반영했음을 보여 준다.
3.3 종성
훈민정음 본문은 “종성부영초성”이라고 하였지만 해례 종성해는 종성을 사실상 8자 체계로 규정하였다. 즉 “ㄱㄷㄴㅂㅁㅅㄹ 八字可足用也”라 하여 이 밖의 초성은 종성으로 쓸 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조화 체계를 제자에 반영
3. 終 聲
1) 終聲復用初聲(훈민정음 본문) : ㄱㄷㄴㅂㅁㅅㄹ 八字可足用也(훈민정음 終聲解)
如곶爲梨花 의갗爲狐皮 而ㅅ字可以通用 故只用ㅅ字 - 형태음소적 원리의 이해와 실용의 편리를 모두 고려
2) 종성 합용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