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술회와 술회계 가사의 개념
Ⅱ. 본론 - 작품 보기
1. 사대부 남성의 고뇌와 번민 - 우활가
2. 임금을 향한 충절과 그것에 대한 절망, 탄식 - 만분가
3. 조선시대 여성들의 억압된 삶에 대한 한탄과 회한 - 규원가, 노처녀가
Ⅲ. 결론 - 술회계 가사에 대한 느낌과 생각, 그리고 문학사적 의의
참고문헌
Ⅱ. 본론 - 작품 보기
1. 사대부 남성의 고뇌와 번민 - 우활가
2. 임금을 향한 충절과 그것에 대한 절망, 탄식 - 만분가
3. 조선시대 여성들의 억압된 삶에 대한 한탄과 회한 - 규원가, 노처녀가
Ⅲ. 결론 - 술회계 가사에 대한 느낌과 생각, 그리고 문학사적 의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술회계 가사
대표작품 분석과 의미
- 목차 -
Ⅰ. 서론 - 술회와 술회계 가사의 개념
Ⅱ. 본론 - 작품 보기
1. 사대부 남성의 고뇌와 번민 - 우활가
2. 임금을 향한 충절과 그것에 대한 절망, 탄식 - 만분가
3. 조선시대 여성들의 억압된 삶에 대한 한탄과 회한 - 규원가, 노처녀가
Ⅲ. 결론 - 술회계 가사에 대한 느낌과 생각, 그리고 문학사적 의의
참고문헌
Ⅰ. 서론
- 술회와 술회계 가사의 개념
술회란 것은 마음속에 품고 있는 여러 가지 생각을 말하는 것이다. 술회란 것은 어렵고 먼 것이 아니라 어쩌면 우리와 항상 함께하고 있는 것이다. 내가 이제까지 산 삶을 돌이켜 느낀 것을 풀어내면 그것이 술회이며, 또한 내가 오늘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내 생각을 더해 풀어내도 그것 또한 술회가 된다. 술회는 말 그대로 마음속에 서려 있는 여러 가지 생각을 표출해 내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술회는 모든 작품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모든 작품은 자연의 아름다움이든, 사랑하는 사람에게 바치는 연정이든, 임금을 향한 충절의 맹세이든, 또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것이든 작자의 마음속에 서려있는 생각들을 담고 있기 때문에 술회는 어디에나 들어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본다면 술회의 개념은 너무 방대해지고 만다. 따라서 우리 조는 술회의 개념을 어느 정도 협소화하여 마음속에 있는 모든 생각과 감정들을 담은 가사이되, 그 생각이 아주 짙으며, 어느 정도 삶이 묻어나있으며 솔직한 것이라 정했다. 사람마다 작품에서 느끼는 절절함과 솔직함이 어느 정도 차이는 있다 하겠으나, 그것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여 우리 조는 술회를 조금 좁혀 한탄과 비애와 탄식과 회한의 정서가 뚜렷하게 배어있는 작품들을 정하여 술회의 개념을 정하였고, 가사 작품 중에서 그러한 술회가 드러나 있다고 여긴 것들을 술회계 가사로 묶어 작품을 살펴보겠다.
Ⅱ. 본론
1. 사대부 남성의 고뇌와 번민
《우활가 (迂闊歌)》
엇지 삼긴 몸이 이대도록 迂 迂(우활) : 실제와는 거리가 멀음
고
迂도 迂샤 그레도록 迂샤
이바 벗님네야 迂 말 들어 보소
이 내 져머신 제 迂호미 그지업서
이 몸 삼겨나미 禽獸 禽獸(금수) : 날짐승과 길짐승이라는 뜻으로, ①즉 모든 짐승을 말함 ②무례(無禮)하고 추잡(醜雜)한 행실(行 實)을 하는 사람을 빗대어 하는 말
3) 愛親敬兄(애친경형) : 어버이를 사랑하고 형을 공경하는 것
에 다르므로
愛親敬兄4) 忠君弟長(충군제장) : 임금께 충성하고 어른께 공손함
과 忠君弟長5) 分內事(분내사) : 분수에 속한 일
을 分內事6) 혜엿더니 : 생각했더니
만 혜엿더니7) 一間茅屋(일간모옥) : 한 칸 초가
일도 못되며 歲月이 느저지니
平生 迂은 날 와 기러간다
아이 不足들 저녁을 근심며
一間 茅屋8) 懸百結(현순백결) : 옷이 해어져서 백 군데나 기웠다는 뜻으로, 누덕누덕 기워 짧아진 옷을 이르는 말
이 비 줄 아돗던가
懸 百結9) 무일 : 움직일
이 붓려움 어이 알며
어리고 미친 말이 무일10) 四時佳景(사시가경) : 사계절의 아름다운 경치
줄 아돗던가
迂도 迂샤 그레도록 迂샤
春山의 곳을 보고 도라올 줄 어이 알며
夏亭의 을 드러 줄 어이 알며
秋天의 마자 밤드 줄 어이 알며
冬雪에 詩興 계워 치움을 어이 알리
四時 佳景11) 榮枯(영고) : 초록이 무성함과 말라죽음을 사물의 번영과 쇠락에 비유하는 말. 번영과 쇠망
을 아므란 줄 모로라
末路애 린 몸이 므스 일을 렴고
人間 是非 듯도 보도 못거든
一身 榮枯 百年을 근심가
迂샤 迂샤 그레도록 迂샤
아의 누잇고 나죄도 그러니
하 삼긴 迂을 내 혈마 어이 리
그례도 애도다 고쳐 안자 각니
이 몸이 느저 나 애돌온 일 하고 만타
一百 번 다시 죽어
대표작품 분석과 의미
- 목차 -
Ⅰ. 서론 - 술회와 술회계 가사의 개념
Ⅱ. 본론 - 작품 보기
1. 사대부 남성의 고뇌와 번민 - 우활가
2. 임금을 향한 충절과 그것에 대한 절망, 탄식 - 만분가
3. 조선시대 여성들의 억압된 삶에 대한 한탄과 회한 - 규원가, 노처녀가
Ⅲ. 결론 - 술회계 가사에 대한 느낌과 생각, 그리고 문학사적 의의
참고문헌
Ⅰ. 서론
- 술회와 술회계 가사의 개념
술회란 것은 마음속에 품고 있는 여러 가지 생각을 말하는 것이다. 술회란 것은 어렵고 먼 것이 아니라 어쩌면 우리와 항상 함께하고 있는 것이다. 내가 이제까지 산 삶을 돌이켜 느낀 것을 풀어내면 그것이 술회이며, 또한 내가 오늘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내 생각을 더해 풀어내도 그것 또한 술회가 된다. 술회는 말 그대로 마음속에 서려 있는 여러 가지 생각을 표출해 내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술회는 모든 작품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모든 작품은 자연의 아름다움이든, 사랑하는 사람에게 바치는 연정이든, 임금을 향한 충절의 맹세이든, 또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것이든 작자의 마음속에 서려있는 생각들을 담고 있기 때문에 술회는 어디에나 들어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본다면 술회의 개념은 너무 방대해지고 만다. 따라서 우리 조는 술회의 개념을 어느 정도 협소화하여 마음속에 있는 모든 생각과 감정들을 담은 가사이되, 그 생각이 아주 짙으며, 어느 정도 삶이 묻어나있으며 솔직한 것이라 정했다. 사람마다 작품에서 느끼는 절절함과 솔직함이 어느 정도 차이는 있다 하겠으나, 그것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여 우리 조는 술회를 조금 좁혀 한탄과 비애와 탄식과 회한의 정서가 뚜렷하게 배어있는 작품들을 정하여 술회의 개념을 정하였고, 가사 작품 중에서 그러한 술회가 드러나 있다고 여긴 것들을 술회계 가사로 묶어 작품을 살펴보겠다.
Ⅱ. 본론
1. 사대부 남성의 고뇌와 번민
《우활가 (迂闊歌)》
엇지 삼긴 몸이 이대도록 迂 迂(우활) : 실제와는 거리가 멀음
고
迂도 迂샤 그레도록 迂샤
이바 벗님네야 迂 말 들어 보소
이 내 져머신 제 迂호미 그지업서
이 몸 삼겨나미 禽獸 禽獸(금수) : 날짐승과 길짐승이라는 뜻으로, ①즉 모든 짐승을 말함 ②무례(無禮)하고 추잡(醜雜)한 행실(行 實)을 하는 사람을 빗대어 하는 말
3) 愛親敬兄(애친경형) : 어버이를 사랑하고 형을 공경하는 것
에 다르므로
愛親敬兄4) 忠君弟長(충군제장) : 임금께 충성하고 어른께 공손함
과 忠君弟長5) 分內事(분내사) : 분수에 속한 일
을 分內事6) 혜엿더니 : 생각했더니
만 혜엿더니7) 一間茅屋(일간모옥) : 한 칸 초가
일도 못되며 歲月이 느저지니
平生 迂은 날 와 기러간다
아이 不足들 저녁을 근심며
一間 茅屋8) 懸百結(현순백결) : 옷이 해어져서 백 군데나 기웠다는 뜻으로, 누덕누덕 기워 짧아진 옷을 이르는 말
이 비 줄 아돗던가
懸 百結9) 무일 : 움직일
이 붓려움 어이 알며
어리고 미친 말이 무일10) 四時佳景(사시가경) : 사계절의 아름다운 경치
줄 아돗던가
迂도 迂샤 그레도록 迂샤
春山의 곳을 보고 도라올 줄 어이 알며
夏亭의 을 드러 줄 어이 알며
秋天의 마자 밤드 줄 어이 알며
冬雪에 詩興 계워 치움을 어이 알리
四時 佳景11) 榮枯(영고) : 초록이 무성함과 말라죽음을 사물의 번영과 쇠락에 비유하는 말. 번영과 쇠망
을 아므란 줄 모로라
末路애 린 몸이 므스 일을 렴고
人間 是非 듯도 보도 못거든
一身 榮枯 百年을 근심가
迂샤 迂샤 그레도록 迂샤
아의 누잇고 나죄도 그러니
하 삼긴 迂을 내 혈마 어이 리
그례도 애도다 고쳐 안자 각니
이 몸이 느저 나 애돌온 일 하고 만타
一百 번 다시 죽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