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유음화 현상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의 유음화 현상에 대하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유음화 현상의 실제
1. 고유어로 된 복합어에서의 유음화
2. 한자어에서의 유음화
3. 용언 활용에서의 유음화
4. 단어 경계 이상에서의 유음화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1998) ‘ㄴ’과 ‘ㄹ’은 둘 다 치경음으로서 조음 위치는 같은데 비해 조음 방법이 다른 음운이다. ‘표준발음법’ 제20항에 의하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ㄹ〕로 발음된다. 신라→〔실라〕, 난로 →〔날로〕, 칼날 →〔칼랄〕과 같은 것들이 그 예이다. 이것은 발화 단계에서 〔ㄴㄹ〕이나 〔ㄹㄴ〕의 연쇄가 허용되지 않는 국어의 음운 연결 제약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문양수, 이호영, 하세경 2002)
유음화는 달리 설측음화라고 하기도 한다. 그러나 설측음은 음성학적인 차원의 용어이므로 ‘ㄴ’이 ‘ㄹ’에 동화되는 음운론적인 과정을 설명하는 데에는 적합한 용어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유음화’라는 용어가 더 적합하다.(이진호 1999)
이 글에서는 유음화가 일어나는 환경을 유형별로 살펴보고 이 규칙의 적용을 받지 않는 예들을 찾아 그 원인을 밝혀 보고자 한다.
Ⅱ. 유음화 현상의 실제
1. 고유어로 된 복합어에서의 유음화
단일어인 고유어의 내부에서 ‘ㄴ,ㄹ’이 연계하는 경우는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유어에서의 유음화는 주로 복합어에서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아래의 예들을 보자.
(1) a. 칼날→〔칼랄〕, 귤나무→〔귤라무〕, 불놀이→〔불로리〕, 한글날→〔한글랄〕
달나라→〔달라라〕, 들나물→〔들라물〕, 줄넘기→〔줄럼끼〕, 땔나무→〔땔라무〕
b. 서울내기→〔서울래기〕, 달님→〔달림〕, 별님→〔별림〕
c. 솔+나무→소나무〔소나무〕, 열+남은→여남은〔여나믄〕, 스물+남은→스무남은〔스무나믄〕
d. 딸+님→따님〔따님〕, 아들+님→아드님〔아드님〕, 가을+내→가으내〔가으내〕
e. 물엿→〔물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2.13
  • 저작시기201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10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