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한다. 터키어에서 가장 잘 지켜지며, 국어의 경우도 15세기 중엽의 모음조화가 현대 국어보다는 그 체계가 정연했다. ② 어두에 자음군이 오지 못한다. 어두음 제약의 일종으로 한국어의 경우 한 때 자음군으로 판단되는 요소가 나타나기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2.09.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일 때에는 \'-어\'로 적는다.
⇒ 해설
위 사례의 ‘막어’와 ‘알어’의 어간 끝 음절의 모음이 ‘ㅏ’(양성 모음)이므로 어미를 \'아\' 계열로 적어야 한다. 이것은 전통적인 형식으로서의 모음조화(母音調和)의 규칙성에 따른 구별인데,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적으로 목적격조사의 기본형 ‘ㄹ’에서 다시 ‘/을’이 결합한 이중형이다.
독부수ㄹ 셤기시니 <용비어천가 11장>
지혜ㄹ 여러 뵈샤 <법화경 삼 8장>
셋째, ‘/을’, ‘/를’의 교체는 모음조화에 의한다.
천하 맛시릴 <용비어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7.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 조화 및 자음 동화 현상이 있다.
어휘에서는 ① 국어의 어휘는 고유어와 외래어로 나누어진다. ② 고유어에는 의성어와 의태어와 같은 상징어가 발달되어 있으며, 감각어가 풍부하다. ③ 외래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한자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9.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니라 어간과 어미의 결합에서도 적용된다.
예) , 거우루는, 사, 수른, 오닌, 이젠
, 거우루, 사, 수를, 智慧ㄹ, 머릴
소로, 므로, 左手로, 믈로
2) 모음조화 규칙만 적용되는 조사
양성모음 아래
음성모음아래
중성모음아래
의
관형격조사와 처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조화, 처소부사격조사)
→강(江) (강에)
비취요미: 비취+j +오+ㅁ+이
(비침과)
비취 : ‘비취다’의 어간
‘ j ’ : ‘ ㅣ ’ 모음 순행동화로 /j/첨가.
[옴(x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3.2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조화 및 유음동화의 원칙에 따라 규칙적으로 발생하며 다음 표와 같다.
단어의 성질/ 단어의 마지막 음
후설모음
전설모음
무성자음
유성자음 중 б, в, г, лг,
-тар
-тер
유성자음 중 з, ж
공명음 중 л, м, н, н
-лар
-дер
모음
공명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7.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일 때 ‘ㄹ’, ‘/를’ 기원적으로 목적격 조사의 기본형 ‘ㄹ’에서 다시 ‘/을’이 결합한 이중형이다.
독부수ㄹ 셤기시니 <용비어천가 11장>
지혜ㄹ 여러 뵈샤 <법화경 삼 8장>
셋째, ‘/을’, ‘/를’의 교체는 모음조화에 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조화
2. 단모음화
3. 움라우트
Ⅶ. 육진 지역어(사투리, 방언)
1. 음운체계
1) 모음체계
2) 이중모음체계
3) 자음체계
4) 운소체계
2. 음운의 변화와 변동
1) 부사형어미 \'-아/-어\'의 교체
2) 활음화
3) 경음화
4) 자음군단순화
5) 구개음화
참고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이 양모음(陽母音)임을 나타내 주고, 아래쪽과 왼쪽에 찍힌 것은 음모음(陰母音)임을 나타내 주는 것이 그것이다. 당시에는 지금보다도 더 엄격한 모음조화 규칙이 있었으며, 더욱이 훈민정음 제작의 철학적 배경이 되었던 성리학(性理學
우리말 한국어, 국어 우리글,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중요성,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장점,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