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사
가/아 →의문보조사
현대국어의 ‘과/와’는 체언의 끝소리가 자음이냐 모음이냐에 따라 구별되지만 중세국어는 ‘ㄹ’받침 아래에서도 ‘와’가 선택되었다. (곳/옷, 가/아 도 마찬가지)
<조사의 갈래와 격조사>
<조사의 갈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사도 현대국어와 마찬가지로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의 세 갈래로 나뉜다.
조사 ┰ 격조사 : 주격, 서술격, 목적격, 보격, 관형격, 부사격, 호격
┠ 접속조사
┗ 보조사
2. 격조사
격조사에는 주격, 서술격, 목적격, 보격, 관형격, 부사격, 호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사(助詞)
☐ 중세국어 조사의 변이양상
☐ 중세국어 조사의 갈래
☐ 격조사
(1) 주격조사
(2) 서술격조사
(3) 목적격조사
(4) 소유격조사(속격조사)
(5) 처소격조사(처격조사)
(6) 호격조사
☐ 접속조사
☐ 보조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7.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사에 비해 분포가 매우 제한되어 있고, 선행하는 문법 단위와 통 합되었을 때 격조사는 문법적인 자격을 부여하는 반면 보조사는 말 뜻만 보태준다.
마. 주격표시 \'이라셔\'
1) 나히 스믈 다시라셔 百歲옛 사 <법화 5:115>
2) 중세국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 국어를 되짚어 보면서, 확실히 현대의 국어와는 다른 모습이지만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의 뿌리를 찾아볼 수 있었고, 훈민정음이 우리말에 끼친 지대한 영향 또한 느껴볼 수 있었다.
참고자료
안병희,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1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