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817건

모음조화 강릉과 삼척방언에서 자음으로 끝난 어간에 반말체 종결어미로 양성모음의 어미 \'-아\'가 통합됨 \'먹아, 싫아, 추와\' 활음화 삼척 방언에서는 말음이 \'우\'로 끝난 동사 어간에 어미 \'-어\'가 연결될 때 \'-와:\'로 실현 담배 하나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13.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모음조화(VOWEL HARMONY)나 비음화(Nasalization) 등의 설명을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으며, Goldsmith(1976)가 제안한 초기의 이론에는 그 뒤 많은 수정이 가해졌다. 자립분절음운론을 좀더 깊이 파고 들어보자. 자립분절음운론적 분석에 있어 가장 직관적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모음조화 현상 영남방언에서는 /ㅅ,ㅆ//ㅔ,ㅐ//ㅡ,ㅓ/가 구분되지 않음 자음동화현상 : 언제나 환경이 정해지면 적용되는 절대적 변동 현상 어휘의 특질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의 삼중 체계 → ‘소젖-우유-밀크’와 같이 유의어의 위상적 대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1.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모음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린다. (모음조화 현상 때문이다) 뿌옇다: 뿌옇+어 ⇒ ”뿌예”가 되며 +었(과거시제) ⇒ ‘뿌옛다‘가 된다. 예) - 눈은 차곡차곡 키를 높여 쌓여 가고, 먼 하늘은 은은한 자황색을 띠고 있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모음동화는 크게 전설모음화, 모음조화를 들 수 있다. (이관규, 2003, 94~98) 를 설명할 때는 자음동화뿐만 아니라 모음동화까지 포함하여 함께 다루는 것이 좋은데 자음동화만 다루고 있어 모음동화 부분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 음운의 축약과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3.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모음조화 2. 구개음화 3. 원순모음화 4. 전설 모음화 5. 단모음화 6. ‘ㅣ’모음 동화 7. 축약 8. 탈락 9. 동음 생략 10. 이화 11. 강화 12. 첨가 13. 두음법칙 14. 모음 충돌 회피 15. 자음 충돌 회피 16. 설측음화 17. 유추 작용 18.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2.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모음 동화 : 현대 국어에 非적용법칙, 역행동화의 일종 예외 - 냄비, 동댕이치다, 댕기다 10. 유음화 : 자음동화, 물난리[물랄리], 줄넘기[줄럼끼] 11. 구개음화 : 근대 국어에서 본격화, 끝을[끄틀] 12. 모음조화의 예외 : 깡충깡충, 오순도순, 오뚝
  • 페이지 6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모음(6), 이중모음(31), 음장성조(127), 억양(4), 자음탈락(4), 불규칙활용(47), 자음축약(5), 경음화(4), 비음절화(21), 모음조화(9), 움라우트(42), 외래어(14) ※참고 ① 자음탈락: 형태소 내부에서 자음이 탈락하는 현상. (예: 솔나무 → 소나무, 딸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모음이면 ‘와’가 쓰였고, 자음인 경우 ‘과’가 쓰였다는 점이 현대 국어와 다르다. 원인 부사격은 현대 국어에는 ‘에’로만 나타내는데 비해, 여기서는 모음조화 현상에 따라 ‘바라매’(제2장)처럼‘애’로도 나타난다. 처소 부사격도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모음조화 규칙으로 인해 혼동되는 경우이다. 이 규칙에 따르면 ‘괴로와, 가까워’가 맞지만 실제 일상 생활에서는 ‘괴로워, 가까워’를 더 많이 사용하므로 현실 발음대로 한 것이다. 다만 ‘돕-, 곱-’과 같은 단음절 어간에 어미 ‘-어’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