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 있다
3. 사잇소리 현상의 유무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
4.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한자어가 많다
Ⅶ. 사잇소리현상의 표기
1. 전개
2. 사잇소리가 사용되는 조건
3. 사잇소리의 쓰임
Ⅷ. 사잇소리현상의 문법범주
참고문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8.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현상에 속하는 음운 변동으로는 평 파열음화, 비음동화, 유음화, /ㄹ/의 비음화, 구개음화, 된소리되기, 조음 위치 동화, / l /모음 역행 동화 등이 있다.
1.1 평 파열음화
가. 자료
ㄱ)/국/[국], /깍+고/[깍꼬], /낚시/[낙씨], /부엌/[부억], /부엌#안/[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8
3.이야기의 형식 구조 28
8. 국어의 규범 28
01 표준어와 표준 발음 28
1.표준어와 방언 28
2.표준 발음 29
02 한글 맞춤법 29
03 외래어 표기법과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30
1.외래어 표기법 30
2.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31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사잇소리현상
--------------------------
1. 표준어와 표준발음
1.표준어와 방언
2.표준발음
2. 한글 맞춤법
3.외래어 표기법과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1. 외래어 표기법
2.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0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이해와 탐구
1. 교체 2. 탈락 3. 첨가 4. 축약 5.
6. X 7. X8. ③9. ⑤10. ④
11. ④12. ③ 13. ① 14. ④ 15. ②
16. ④ 17. 기준 참조 18. 기준 참조
02 음운의 변동
1.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은 교체이다.
2. 두 개의 음운이 마주칠 때 그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p. 964.
(2) 사이시옷 : 복합 명사 또는 복합 명사에 준할 만한 말의 두 말 사이에서 뒷 말의 첫소리가 된소리가 나고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앞말에 받쳐 적는 시옷(표기)
2.2. 규칙적 사잇소리 현상
(1) 두 개의 형태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8.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떤 자리가 완전히 막히거나 좁혀져서 障碍를 받고 나는 소리
4) 비분절 음운
2. 음운의 변동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2) 음운의 동화
3) 음운의 축약과 탈락
4) 사잇소리 현상(합성명사 생성에 한해서 고유어와 한자어에 두루 일어난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법 표준화와 다양화의 방향과 과제
4. 문법 체계와 용어의 표준화
4.2. 교육과정과 문법 교수요목 표준화 문제
4.3. 발음 교수요목의 표준화
4.4. 문법 교수요목의 표준화
4.5. 어휘 교수요목의 표준화
5. 한국어 문법 교육의 다
|
- 페이지 3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4.10.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특질
- 국어의 변천
● 국어의 이해와 탐구
- 음운 - 낱말
- 어휘 - 문장
- 의미 - 담화
●국어에 대한 태도
- 동기 - 흥미
- 습관 - 가치
● 국어의 규범과 적용
- 표준어와 표준발음 - 맞춤범 - 문법
1. 국어의 본질
- ‘국어의 이해와 탐구’ 범주의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2.10.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현상이다.
한편, 자음 축약은 표기에 반영되지 않으며, 모음 축약과 자음 탈락, 모음탈락은 표기에 반영된다.
11.다음 모음 동화의 예를 보고, 이에 대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생각해 보자.
(ㄱ) 멋쟁이 →멋쟁이, 소금장이 →소금쟁이
(ㄴ) 아지
|
- 페이지 5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